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18:49:26

묵사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의 묵 요리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974363><colcolor=#fff> 건조묵 · 도토리묵 · 메밀묵 · 박대묵 · 올갱이묵 · 올챙이묵 · 우무 · 청포묵(동부묵 · 황포묵)
요리 녹두나화 · 묵국 · 묵국수( 묵사발) · 묵밥 · 올챙이국수 · 우뭇가사리 냉콩국 · 탕평채 }}}}}}}}}

1. 을 담은 사발 혹은 그 요리2. 속어3. 포켓몬스터 기술

1. 을 담은 사발 혹은 그 요리

파일:external/img.danawa.com/2401351_1_1373208271.jpg
길게 썬 묵과 여러 재료들을 그릇에 담은 뒤 육수를 붓고 위에 김가루를 올려 먹는 음식을 뜻한다. 묵국수라고도 불리며 여기에 밥을 넣으면 묵밥이 된다.

묵은 긴 방향을 따라 최대한 길고 가늘게 썰지만, 그냥 적당히 먹기 좋게 썰기도 한다.

육수의 종류나 온도는 취향에 따라 조절하면 된다. 보통 여름철에 묵을 삶아 부드럽게 한 후 찬물에 식히고 얼음을 띄운 육수[1]와 같이 김치, 채썬 야채 등을 고명으로 올려 차게 먹는다.

육수는 냉면, 오이냉국과 꽤 유사하다. 따라서 시장에서 묵사발을 사와 냉면으로 먹는 사람도 있다.

재료만 있다면 금방 만들수 있고, 새콤하고 차갑다는 특성상 비빔국수와 함께 여름철 농번기 새참으로 많이 소비된다.

2. 속어

얻어맞아서 형편없이 얼굴이 망가지거나 패망한 상태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쓰인다. 비슷한 말로 사발이 있다.

3. 포켓몬스터 기술

[include(틀:포켓몬 기술, 노말=, 물리=,
파일=8세대 묵사발.png,
한칭=묵사발, 일칭=にぎりつぶす, 영칭=Crush Grip,
위력=-, 명중=100, PP=5,
효과=굉장한 힘으로 상대를 묵사발로 만든다. 상대의 HP가 남아 있을수록 위력이 올라간다.,
성질=접촉)]

레지기가스의 전용기다. 기술의 위력은 1 + 119 × (대상의 현재 HP/최대 HP) 이며, 상대가 만피일 때 120[2]로 시작해서, 상대 체력이 적을수록 최소 1까지 줄어든다. 상대가 풀피라는 가정 하에 이판사판태클의 완벽한 상위 호환. 일칭 "にぎりつぶす"는 "쥐어 으스러뜨리다", "깔아뭉개다"라는 뜻이며 영칭의 뉘앙스 또한 쥐어부순다는 것으로, 엄청난 악력으로 상대를 뭉개버리는 기술인 듯 하다.

레지기가스의 무지막지한 공격과 자속 보정 때문에 반감이 아닌 저내구 어태커는 대부분 한 방에 보내버리는 막강한 위력을 자랑해야 하나, 레지기가스의 특성은 슬로스타트라서 특성이 풀리지 않으면 제 위력이 안 나온다.

그리고 무엇보다 상대의 체력에 의존한다는 점이 치명적인 단점. 만약 이 기술로 상대를 한 방에 못 죽이면 2타째엔 상대의 체력이 떨어지며, 그러면 이 기술의 위력 또한 그에 비례해 감소하기 때문에, 이것만 난사하면 상대를 죽일 수 없다.[3] 설령 위액이나 고민씨 등으로 슬로스타트를 풀어버린 상태라 해도 차라리 은혜갚기를 쓰는 게 더 낫다. PP가 겨우 5라는 것도 소소한 단점.

물론 첫 타는 묵사발을 때리고 2타는 은혜갚기를 때리는 게 가장 효율적이지만, 자속기만으로 두 칸이나 채워야 하는데다가 노말 타입 기술은 약점을 찌를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보통은 둘 중 하나를 택한다. 슬로스타트만 풀린다면 어지간한 포켓몬은 반감이 아닌 한 무조건 1타이기 때문에, 보통은 위력이 더 높은 이 기술을 쓴다.

이 기술의 특수 버전으로 쥐어짜기가 있다. 이쪽은 꽤나 많은 포켓몬이 배운다.

참고로 포켓우드에서 모니카가 이 기술을 날리는데, 레벨 99에 공격 종족치 100, 천하장사 특성, 자속기 때문에 첫 턴에 날아오면 무효로 받는 고스트 타입이 아닌 이상 무조건 1방에 죽는다. 단, 대여 포켓몬인 코코파스는 옹골참 덕분에 1 남기고 버틴다. 그 후엔 아픔나누기로 회복하면서 옹골참으로 버티면 된다.

여러모로 전용기인데 이펙트가 너무 심심하단 평도 있다.


[1] 가정에서 해먹을 때는 주로 시판되는 물냉면 육수가 가장 많이 쓰인다. [2] 4세대는 121 [3] 물론 난수나 소수점 올림 때문에 죽일 수는 있지만, 상대가 바보가 아니고서야 눈뜨고 당해줄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