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6 18:50:24

무녀도(애니메이션)

무녀도 (2021)
A Bizarre Love Triangle
파일:무녀도 포스터.jpg
장르
감독
각본
안재훈, 윤가란
원작
김동리의 소설 ' 무녀도'
제작
한혜진, 홍건택
출연
소냐, 김다현, 장원영, 안정아, 달시 파켓 외
촬영
이상규, 김채형
편집
함종민
음악
강상구
OST참여
정미정(아쟁), 유태평양(구음)[1]
미술
장민지
조감독
조슬기
무속고증
이해경[2]
제작사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씨네필운, 미로비젼(해외배급)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11월 24일
상영 시간
86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5,375명(최종)
상영 등급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
5.1. 원작과의 차이
6. 수록곡7. 평가8. 흥행

[clearfix]

1. 개요

안재훈이 연출한 대한민국의 2021년[3] 애니메이션 뮤지컬[4] 영화이다. 김동리의 소설 무녀도를 원작으로 한다.

2. 예고편

무녀도 예고편

3. 시놉시스

영험이 점점 사라져가는 것을 느끼는 이름난 무녀 ‘모화’
아들 ‘욱이’를 절에 보내고 아픈 딸 ‘낭이’를 애지중지 키우며 살아간다.
하지만 10년 만에 돌아온 아들 ‘욱이’와 그가 섬기는 예수님이
‘모화’ 자신의 삶을 점점 흔들기 시작하는데...

모화의 무녀 인생을 건, 마지막 굿판이 시작된다!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4. 등장인물

5. 줄거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녀도(소설) 문서
번 문단을
줄거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원작과의 차이

원작을 충실히 묘사했지만, 소소한 차이는 있다.
  • 원작에선 3인칭 관찰자 시점의 화자(話者)가 도입부에만 나오고 본편은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진행되지만, 여기서는 도입부의 화자가 본편의 나레이션도 맡았다.
  • 경주에 교회가 세워지는 과정이 원작에서 비교적 자세히 묘사된 데 비해 애니메이션에선 거의 생략되어서, 원작을 모른다면 "경주에 이렇게 빨리 교회가 세워지게 된 것은 모두 이 분의 공"이라는 대사가 뜬금없이 다가올 수 있다.
  • 소설에선 모화가 물에 빠져 죽은 뒤에 아버지가 찾아와서 낭이를 데려가고 이 때 낭이가 말문이 틔였다는 묘사가 있지만, 애니메이션은 모화가 죽는 장면에서 끝났다. 따라서 낭이가 말문이 틔였는지를 확인할 수 없다.
  • 소설에선 욱이가 절에 공부하러 갔다고 했고 절 이름은 지림사라고 했는데,[7] 애니메이션에선 욱이가 들어간 절을 이 곳으로 묘사했다.[8]

6. 수록곡

너는 알고 있니 - 욱이( 김다현)
복숭아꽃 - 모화( 소냐)

7.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평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영화 코드>"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영화 코드>;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영화 코드>|{{{#!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전문가 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전문가 평점> / 10
관람객
<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네티즌 평점>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
별점 <평점> / 5.0



날 선 그림, 울림 있는 소리
2012년 <메밀꽃 필 무렵>부터 시작된 안재훈 감독과 한국 단편 소설의 만남은 다섯 번째 프로젝트인 <무녀도>에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한국에선 좀처럼 제작되지 않는 장편 뮤지컬 애니메이션인 <무녀도>에서 가장 먼저 관객을 사로잡는 것은 눈을 찌르는 듯한 컬러. 특히 붉은 톤의 다양한 색채들은 날이 서 있는 그림체와 함께 관객을 감각적으로 자극한다. 웅장하면서도 때론 처연하고 구슬프기도 한 뮤지컬 넘버들은 비주얼과 결합되어 강한 인상을 남기는데, ‘한국적 애니메이션’의 시도로 여길 만하다. 한국 애니메이션 역사에서 두고두고 회자될 작품.
김형석 | ★★★★
찬란한 색과 노래로 피어난 문학적 아름다움
원작 단편 소설이 가진 문학적 아름다움이 뮤지컬의 자유로운 형식을 입고 더욱 인상적으로 피어났다. 디테일 표현이나 뮤지컬 시퀀스들 사이 연출의 강약 조절은 아쉬움이 남기도 하지만, 관념적인 것들을 시각화한 방식과 색의 황홀경은 분명 깊은 감흥을 남긴다. 한때는 보편적이었으나 이제는 낯설게 사라져가는 것, 변화 앞에서 신념을 지키려 하는 인간의 운명에 대한 애수가 읽힌다. 시대의 변화 앞에 설 곳을 잃은 무녀라는 존재와 ‘연필로 명상하기’의 작품 중 종이와 연필로 직접 작화한 마지막 애니메이션이라는 사실 역시 작품의 주제의식과 나란하다.
이은선 | ★★★
한국적인 것, 새로운 것
김동리가 1939년 발표한 단편소설 <무녀도>를 애니메이션으로 옮긴 작품. 무려, 뮤지컬 형식이다. 무당인 ‘모화’와 기독교에 귀의한 아들 ‘욱이’가 대립하다 파국으로 내달리는 모습이 다채로운 색채의 그림과 구슬픈 국악 가락 안에서 휘몰아친다. 붉은 색감의 쓰임이 특히나 흥미롭다. ‘한국적인 것’에 대한 애정과 새로운 시도를 멈추지 않는 스튜디오 ‘연필로 명상하기’의 현재와 미래를 엿볼 수 있다.
정시우 | ★★★
부족해도 크로스오버 시도에 주목
박평식 | ★★★
신상옥, 임권택 시대 영화처럼 예스럽게 슬프고 아름다운
배동미 |
강렬한 적색 하나는 일품
이용철 |

상영 등급도 고연령층인 12세 이상 관람가이기도 하지만 작화 퀄리티는 너무 낮다는 평가를 받았다.

8.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중국 미정 미개봉 미정

8.1. 대한민국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ffffff,#fff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1,757명 미집계 12,815,200원
1주차 2021-11-24. 1일차(수) 115명 2,971명 44위 976,500원 21,574,300원
2021-11-25. 2일차(목) 113명 37위 1,078,500원
2021-11-26. 3일차(금) 120명 37위 1,293,500원
2021-11-27. 4일차(토) 189명 28위 2,244,800원
2021-11-28. 5일차(일) 161명 29위 1,690,500원
2021-11-29. 6일차(월) 2,065명 7위 12,586,000원
2021-11-30. 7일차(화) 208명 25위 1,704,500원
2주차 2021-12-01. 8일차(수) 84명 242명 36위 914,000원 2,424,500원
2021-12-02. 9일차(목) 23명 84위 208,000원
2021-12-03. 10일차(금) 33명 75위 365,000원
2021-12-04. 11일차(토) 47명 55위 464,000원
2021-12-05. 12일차(일) 29명 63위 252,000원
2021-12-06. 13일차(월) 10명 79위 85,500원
2021-12-07. 14일차(화) 16명 80위 136,000원
3주차 2021-12-08. 15일차(수) 64명 90명 50위 474,000원 656,000원
2021-12-09. 16일차(목) 1명 117위 8,000원
2021-12-10. 17일차(금) 2명 115위 15,000원
2021-12-11. 18일차(토) 7명 105위 49,000원
2021-12-12. 19일차(일) 13명 85위 91,000원
2021-12-13. 20일차(월) -명 -위 -원
2021-12-14. 21일차(화) 3명 113위 19,000원
4주차 2021-12-15. 22일차(수) 31명 88명 61위 248,000원 626,000원
2021-12-16. 23일차(목) 7명 76위 49,000원
2021-12-17. 24일차(금) 8명 77위 52,000원
2021-12-18. 25일차(토) 28명 61위 168,000원
2021-12-19. 26일차(일) 10명 64위 77,000원
2021-12-20. 27일차(월) -명 -위 -원
2021-12-21. 28일차(화) 4명 92위 32,000원
합계 누적관객수 5,375명, 누적매출액 39,449,000원[9]

[1] 출처: # [2] 출처: # [3] 2018년에 완성해서 부산국제영화제와 서울독립영화제에서 공개한 뒤, 수정작업을 거쳐서 2021년에 개봉 [4] 이를 위해 목소리 출연 배우 이외에 주인공의 뮤지컬 연기를 한 배우가 따로 있다. [5] 꼬마버스 타요의 주제곡을 불렀다. [6] 초등학생 때부터 창작동요제 등 여러 무대에서 노래를 불렀고, 서울대학교 국악과를 졸업한 보컬리스트. 다만 낭이의 목소리로 모화나 욱이와 직접 대화한 부분은 많지 않고, 주로 낭이의 심리를 구음으로 표현했다. [7] 그조차 모화가 적당히 둘러댄 말이었다. [8] 일제가 '대충' 복원해놓고는 그걸 잘 했다고 찍은 사진을 바탕으로 했다. [9] ~ 2022/09/28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