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몽골어에서 쓰는 키릴 문자에 대한 내용은 몽골식 키릴 문자 문서 참고하십시오.
분절 문자의 계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 |||||||||
이집트 상형 문자 | 신관문자 | 민중문자 | 메로이트 문자 | |||||||
원시 시나이 문자 | 우가리트 문자 | |||||||||
페니키아 문자 | 고대 히브리 문자 | 사마리아 문자 | ||||||||
아람 문자 | 카로슈티 문자 | |||||||||
브라흐미 문자 | 바티프롤루 문자 | 칸나다 문자 | ||||||||
텔루구 문자 | ||||||||||
팔라바 문자 | ||||||||||
참 문자 | ||||||||||
그란타 문자 | 싱할라 문자 | |||||||||
말라얄람 문자 | ||||||||||
타밀 문자 |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
라오 문자 | ||||||||||
카위 문자 | 발리 문자 | |||||||||
순다 문자 | ||||||||||
자바 문자 | ||||||||||
바이바이인 문자 | ||||||||||
버마 문자 | ||||||||||
굽타 문자 | 실담 | 나가리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 캐나다 원주민 문자 | ||||||
모디 문자 | ||||||||||
구자라트 문자 | ||||||||||
난디나가리 문자 | ||||||||||
카이티 문자 | ||||||||||
가우디 문자 | 동부 나가리 문자 | |||||||||
오리야 문자 | ||||||||||
네팔 문자 | 란자나 문자 | 소욤보 | ||||||||
티베트 문자 | 파스파 문자 | |||||||||
타나 문자 | ||||||||||
시리아 문자 | 나바테아 문자 | 아랍 문자 | 타나 문자 | |||||||
페르시아 문자 | ||||||||||
자위 문자 | ||||||||||
응코 문자 | ||||||||||
소그드 문자 | 돌궐문자 | 로바시 문자 | ||||||||
위구르 문자 | 몽골 문자 | 만주 문자 | ||||||||
팔라비 문자 | 아베스타 문자 | |||||||||
히브리 문자 | ||||||||||
팔미라 문자 | ||||||||||
만다야 문자 | ||||||||||
그리스 문자 | 에트루리아 문자 | 로마자 | 체로키 문자 | |||||||
오세이지 문자 | ||||||||||
프레이저 문자 | ||||||||||
데저렛 문자 | ||||||||||
홋착 문자 | ||||||||||
룬 문자 | ||||||||||
오검 문자 | ||||||||||
콥트 문자 | ||||||||||
고트 문자 | ||||||||||
아르메니아 문자 | ||||||||||
조지아 문자 | ||||||||||
글라골 문자 | ||||||||||
키릴 문자 | 아부르 문자 | |||||||||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 티피나그 문자 | |||||||||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 ||||||||||
남아랍 문자 | 그으즈 문자 | |||||||||
고대 북아랍 문자 | ||||||||||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 |
한자문화권의 문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지역 | 현재 사용되는 문자 | 사라진 문자 | |
대한민국 | 한글 | 구결 · 옛한글 | ||
한자 |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
대만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 |||
홍콩 · 마카오 | ||||
중국 대륙 |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
싱가포르 |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 502 간체자 | ||
일본 | 신자체 | 만요가나 |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
베트남 | 쯔꾸옥응으 | 쯔놈 | }}}}}}}}} |
1. 개요
ᠮᠣᠩᠭᠣᠯ ᠪᠢᠴᠢᠭ(Mongγol bičig)Монгол бичиг(Mongol bichig)
몽골 문자 배우기(영문)
몽골 혹은 몽골인의 고유 문자. 몽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한다.
세로쓰기를 기본으로 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지금은 몽골 문자로 표기된 단어를 그대로 눕혀 가로쓰기로 표기하기도 한다.
2. 유래
몽골족은 고대부터 형성되었지만 고유한 문자는 비교적 늦게 생겼다. 13세기 초에 칭기스 칸이 위구르를 정복하면서 위구르 문자를 받아들이고 이를 개량해 만들었다. 위구르인 재상 타타통가가 포로로 잡혔을 때 칭기스 칸의 명을 받아서 만들었다.몽골 문자의 계통적 기원은 페니키아 문자다. 페니키아 문자에서 아람 문자가, 그리고 여기에서 소그드 문자가 파생되었고 이후 위구르 문자가 되었으며 여기서 몽골 문자가 파생되었다. 즉,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와는 친척 관계다. 실제로 몽골 문자를 가로로 보면 쿠란을 빨리 적기 위해 고안된 필기체 형태인 아랍 문자와 유사하게 보인다.
만주 문자가 몽골 문자에서 약간 개량된 것이기 때문에 글자 자체는 거의 같은 문자라고 할 수 있다. 둘은 필기법이 다른데 바로 문자열의 좌우(세로쓰기 기준)에 붙는 점이나 원의 유무이다. 본래의 몽골 문자에서는 일부 글자가 한 글자당 두 가지 소리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만주 문자에서는 만주어 표기를 위해 몽골 문자를 개량하면서 기존의 몽골 문자에서 한 글자로 표기되는 두 발음을 구분하거나 몽골어에 없는 만주어의 발음을 표현하기 위해 점을 추가하여 철저하게 한 글자당 하나의 소리만 대응하도록 만든 것이다.
3. 현대의 용례
독립국 외몽골은 1930년대 몽골 인민공화국이 세워진 이후로 몽골어 표기를 키릴 문자로 바꾸었지만, 중국 치하 내몽골은 여전히 공식적으로 몽골 문자를 사용한다. 내몽골에서도 몽골어를 사용해서 외몽골 사람들과 말은 통하지만, 키릴 문자로 쓰여있는 몽골어는 못 읽는 사람이 대부분이다.1990년 몽골의 민주화 이후에는 소련 시절 정착된 키릴 문자를 대체하여 다시 몽골 문자를 사용하려는 민족주의적 움직임이 존재한다. 사실 몽골 문자를 쓰는 것을 딱히 금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가면 간혹 옛스러운 느낌을 내기 위해 몽골 문자로 쓰인 간판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한국에서 간판 중 가끔씩 한글이 아니라 한자를 쓴 간판이 있는 것과 비슷하다.
다만 몽골 문자가 세로쓰기라서 가독성에 적응을 다시 해야 하는 데다 키릴 문자보다 전산화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문자 개혁에 난항을 겪었고 결국 키릴 문자 표기를 유지하기로 정했다. 예를 들면 몽골어 위키백과는 키릴 문자로만 운영되고, 몽골 문자 표기는 인큐베이터 상태에 머문다. 몽골 문자를 지금도 쓰는 내몽골이 소속된 중국에서 위키백과가 차단되었음도 한 가지 요인일 것이다.
그래도 몽골 중, 고등학교에서는 몽골 전통 문자를 가르치고 있어서 많은 몽골 사람들이 읽을 수는 있다고 한다. 현대 한국에서 한자를 실생활에 손글씨로 쓸 일은 별로 없지만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과 비슷하다. 2020년 몽골 정부는 2025년까지 정부기관의 문서나 미디어 등에서 몽골 문자와 키릴 문자를 함께 사용하게 하는 등 몽골 문자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겠다고 발표하였다. # 몽골 문자를 사용한 몽골 대통령실 홈페이지가 있다.
4. 문자
글자 모양은 가로로 눕힌 것이며 원칙대로 세로로 쓸 때는 이를 다시 세워서 표기한다.4.1. 모음
몽골 문자 | 라틴 문자[A] | 키릴 문자 | 발음 |
ᠠ | a | а | 아 /a/ |
ᠡ | e | э | 에 /e/ |
ᠢ | i | и | 이 /i/ |
ᠣ | o | о | 어 /ɔ/ |
ᠤ | u | у | 오 /ʊ/[2] |
ᠥ | ö | ө | 으 /ɵ/[3] |
ᠦ | ü | ү | 우 /u/ |
4.2. 자음
몽골 문자 | 라틴 문자[A] | 키릴 문자 | 발음 |
ᠨ | n | н | ㄴ /n/ |
ᠨ | ng | ㅇ[5] /ŋ/ | |
ᠪ | b | б, в | ㅂ /p~w/ |
ᠫ | p | п | ㅍ /pʰ/ |
ᠬ | q, k | х | ㅎ /x/ |
ᠭ | γ, g | г | ㄱ /ɢ~ɡ/ |
ᠮ | m | м | ㅁ /m/ |
ᠯ | l | л | ㄹ /ɮ/ |
ᠰ | s | с | ㅅ /s/ |
ᠱ | š | ш | 시 /ʃ/ |
ᠲ | t | т | ㅌ /tʰ/ |
ᠳ | d | д | ㄷ /t/ |
ᠴ | č | ч, ц | ㅊ /tʃʰ~tsʰ/ |
ᠵ | ǰ | ж, з | ㅈ /tʃ~ts/ |
ᠶ | y | й | 반모음 이 /j/ |
ᠷ | r | р | ㄹ /r/ |
4.3. 외래어 표기 전용 자모
몽골 문자 | 라틴 문자[A] | 키릴 문자 | 발음 |
ᠧ | ē | е | 에 /e/ |
ᠸ | w | в | 우 /w/ |
ᠹ | f | ф | ㅍ /f/ |
ᠺ | g | г | ㄱ /k/ |
ᠻ | k | к | ㅋ /kʰ/ |
ᠼ | c | ц | ㅊ /tsʰ/ |
ᠼ | z | з | ㅈ /ts/ |
ᠾ | h | х | ㅎ /h/ |
ᠿ | ž | ж | ㅈ /ʐ/ |
ᡀ | lh | лх | ㅎ /ɬ/ |
ᡁ | zh | ж | ㅈ /tʂ/ |
ᡂ | ch | ч | ㅊ /tʂʰ/ |
5. 여담
일부 글자가 한 글자당 두 가지 발음을 나타낸다는 특징 때문에 초급자는 아랍어를 처음 읽을 때처럼 몽골문의 모음이나 각종 자음군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몽골어의 음소배열론과 음절 구조를 어느 정도 익히면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몽골식 키릴 문자에 비해 맞춤법이 고어의 형태를 많이 유지하고 있는데, 다르게 말하면 표기 심도가 깊은 편이다. '가령' 영웅이란 뜻의 단어인 바트르 [ˈpaːtʰər̥]는 키릴 문자로는 баатар(baatar)라고 쓰지만, 몽골 문자로는 모음 사이에서 탈락한 /ɣ/ 발음과 u의 원순성이 살아 있는 ᠪᠠᠭ᠋ᠠᠲᠤᠷ(baγatur)로 표기한다.
애플 기기로 세로쓰기된 몽골 문자를 볼 때 형태를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