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4 07:54:20

명예 진급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 군사 계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3573e,#161D15> 장교 장성급 장교
{{{#!folding [ 원수 ]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준장 계급장.svg
준장
파일:소장 계급장.svg
소장
파일:중장 계급장.svg
중장
파일:대장 계급장.svg
대장
}}}
영관급 장교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소령 계급장.svg
소령
파일:중령 계급장.svg
중령
파일:대령 계급장.svg
대령
}}}
위관급 장교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소위 계급장.svg
소위
파일:중위 계급장.svg
중위
파일:대위 계급장.svg
대위
}}}
준사관 파일:준위 계급장.svg
준위
부사관 파일:하사 계급장.svg
하사
파일:중사 계급장.svg
중사
파일:상사 계급장.svg
상사
파일:원사 계급장.svg
원사
파일:국군 이병 계급장.svg
이등병
파일:국군 일병 계급장.svg
일등병
파일:국군 상병 계급장.svg
상등병
파일:국군 병장 계급장.svg
병장
양성 | 훈련병 · 부사관후보생 · 준사관후보생 · 사관후보생 · 사관생도
진급 | 진급예정 · 임기제 진급 · 진급 상한선 · 보직해임
서열 | 국군 의전서열 · 대한민국 장성급 장교( 인사· 전역)
기타 | 사병( 말년) · 간부( 말년· 초급· 장포대) | 용사 · 수병 · 해병
※ 둘러보기: 군사계급 · 경찰계급 · 소방계급 · 교정계급 · 철도경찰계급 · 출입국관리계급
}}}}}}}}} ||


1. 개요2. 진급 가능 계급3. 사례

1. 개요

명예 진급은 복무중 뚜렷한 공적이 있는 군인으로서 20년 이상 근속한 사람이 정년 전 스스로 명예롭게 전역하는 경우에 해당 계급으로 전역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즉, 정년 전 자진 전역하는 사람을 위한 진급제도인 셈.

2. 진급 가능 계급

중령 → 대령
소령 → 중령[1]
상사 → 원사

3. 사례

공식적인 기사 등이 존재하지 않아 정확한 규모는 파악이 불가하다.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성회[2]는 중령시절 모종의 사유로 번번이 대령 진급에 실패하자 중령 정년을 6년이나 남겨두고도 명예진급 후 대령으로 전역했다.

2012년에는, 육군 제56보병사단 예하 대대장이 대령으로 명예진급하여 부연대장으로 잠시 근무했다 전역한 사례가 있다. 해당 대령은 전역후 군단전문평가관으로 재취업했다.

2021년에는,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 천안함장이었던 최원일 중령이 대령으로 명예진급하는 동시에 전역한 바 있다. 사실 최원일 예)대령의 경우 스스로 명예 진급 신청을 한 것이 아니라 해군측에서 제안했으며, 최원일 함장은 최초에는 거부했으나 천안함 생존장병들의 설득으로 응한 것으로 알려져있다.[3]



[1] 현행 규정으로는 소령으로서 군생활을 20년 채우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상 해당되는 인원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소령 정년이 연장되면 명예진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3차례 중령진급에서 비선된 소령의 경우 보통 임기제 진급을 신청하여 선발되면 2년간 중령(동원사단 대대장)으로 근무 후 전역한다. [2] 보수정당 소속 [3] 그는 부하들은 탈출할 수 있을 때까지 내보내고 자신은 천안함과 운명을 함께하려던 지휘관이었다. 그러나 다른 부하들에 의해 내팽겨져 탈출한 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