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대전 직후 미군이 개발한 자주포에 대한 내용은 M53/M55 문서 참고하십시오.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 M18 | M19 | M20 |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
M61 | M62 | M63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 M65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 M67 | M68 | M69 | M70 |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colcolor=#373a3c> M78 | M79 | M80 | |
<rowcolor=#373a3c>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
<colbgcolor=#87cefa,#44677d> M91 | M92 | M93 | M94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 M96 | M97 | <colbgcolor=#87cefa,#44677d> M98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 M107 | M108 | M109 | M110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
메시에 천체 | ||||
M54 메시에 54 궁수자리의 구상성단 |
← |
M55 여름장미 별 궁수자리의 구상성단 |
→ |
M56 메시에 56 거문고자리의 구상성단 |
NGC 천체 | ||||
NGC 6808 공작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 |
NGC 6809 궁수자리의 구상성단 |
→ |
NGC 6810 공작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M55 메시에 55 Messier 55 |
||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colbgcolor=white,#191919> 19h 39m 59.71s |
적위 | -30° 57' 53.1" | |
별자리 | 궁수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XI형 구상성단 | |
거리 |
5,400
파섹 17,600 광년 |
|
반지름 | 48 광년 | |
질량 | 2.69×105M☉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6.3 | |
명칭 | ||
M55, NGC 6809, Mel 221, GCl 113, C 1936-310, The Summer Rose Star |
1. 개요
Messier 55 / NGC 6809M55는 궁수자리에 있는 구상성단이다. 1752년 드 라카유가 발견하였다.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에 따르면 XI형 구상성단이다.
2. 역사
1752년 6월 16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발견하였고 그의 책인 Catalog of Nebulae of the Southern Sky에 Lac I.14라는 명칭으로 기록되었다.1778년 7월 24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1764년 라카유가 기록한 구역을 찾다가 실패한 후로 14년만에 독자적으로 발견하였다. 1783년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M55를 관측한 후 별로 이루어진 성단임을 밝혀냈다.
3. 특징
여름장미 별은 지구에서 17,600 광년 떨어져 있다. 시직경은 19'로 보름달의 2/3정도이며 지름 약 100광년의 영역에 5~6개의 변광성을 포함, 약 10만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약 123억년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성단의 총 질량은 태양질량의 269,000배이며 성단의 밝기는 태양밝기의 약 10만배 정도나 밝다.
성단 내부의 별들의 중원소 함량이 태양의 1.1%정도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이 성단은 중원소가 거의 없던 우주 초기의 별들임을 알 수 있다.
가장 보기 좋을 때는 6~8월 사이다. 맨눈으로는 관측할 수 없고 조건이 좋은 밤하늘에서 쌍안경이나 망원경의 파인더스코프로는 흐릿한 항성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4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 조건이 좋은 날에는 성단 주변부가 분해되어 보인다. 8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중심부까지 분해되어 보이며 핵 주변의 세세한 별들을 관측할 수 있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
궁수자리 제타(ζ)에서 동쪽으로 37m, 남쪽으로 1° 4' 떨어져 있다.
궁수자리를 이루는 '찻주전자'의 손잡이 또는 동양 별자리 '남두육성'의 국자 바닥부분인 궁수자리 타우(τ)와 궁수자리 시그마(σ)를 잇는 직선을 궁수자리 타우 방향으로 2배 정도 연장한 곳에 위치해 있다.
5.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 M18 | M19 | M20 |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
M61 | M62 | M63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 M65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 M67 | M68 | M69 | M70 |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colcolor=#373a3c> M78 | M79 | M80 | |
<rowcolor=#373a3c>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
<colbgcolor=#87cefa,#44677d> M91 | M92 | M93 | M94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 M96 | M97 | <colbgcolor=#87cefa,#44677d> M98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 M107 | M108 | M109 | M110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