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02:34:02

농심 메밀소바

메밀소바에서 넘어옴
파일:농심 로고.svg 파일:농심 로고 컬러 화이트.svg 제품/라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60013><colcolor=#ffffff> 라면 신라면(신라면 건면 · 신라면 블랙 · 신라면 블랙 두부김치) · 안성탕면( 해물 안성탕면 · 순하군 안성탕면) · 감자탕면 · 농심 감자면 · 무파마탕면 · 보글보글 부대찌개면 · 김치사발면 · 우육탕 큰사발면( 우육탕면) · 냉라면 · 라면왕 김통깨 · 농심 사리면 · 야채라면 · 참치마요 큰사발 · 콘치즈면 · 콩나물 뚝배기 · 농심가락(업소용 사리면) · 육개장 사발면(특육개장 큰사발면) · 새우탕 큰사발면 · 사리곰탕면( 큰사발면) · 집밥감성 고추장찌개면 · 미니컵면(가쓰오우동맛 · 시원한해장국맛) · 모듬 해물탕면
짜장/짬뽕 짜파게티(사천 짜파게티) · 앵그리 짜파구리 · 신볶게티 · 짜왕(짜왕 건면 · 짜왕 매운맛) · 사천식 백짬뽕 · 짬뽕건면 · 오징어짬뽕 · 맛짬뽕
우동 농심 너구리 · 너구리 순한맛 · 너구리 얼큰한맛 · 너구리 볶음 · 너구보나라 · 카구리 · 튀김우동 · 큰튀김우동 큰사발 · 농심 生生우동 · 생생 야끼우동 · 생생 야끼우동 화끈한 맛
국수/누들 멸치칼국수 · 후루룩 국수 · 후루룩 칼국수 · 후루룩 쌀국수 · 얼큰 장칼국수 · 샐러드 누들 · 누들핏 · 누들핏 어묵탕맛 · 누들핏 떡볶이국물맛 · 드레싱 누들 · 드레싱 누들 오리엔탈 소스 맛 · 드레싱 누들 참깨 소스 맛 · 드레싱 누들 머스타드 소스 맛
기타 볶음쌀면 · 배홍동 비빔면 · 농심 찰비빔면 · 농심 스파게티(토마토 · 까르보나라) · 둥지냉면(동치미물냉면 · 비빔냉면) · 농심 메밀소바 · 시원한 메밀소바 · 파스타랑
}}}}}}}}} ||


파일:1521159236926.jpg
1. 개요2. 변천사3. 구성4. 조리법5. 평가

1. 개요

2004년 4월 13일부터 농심그룹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인스턴트 라면. 24년 8월 기준으로 5개 묶음이 5980원 정도에 팔리고 있다. 1995년 3월부터 모밀국수의 후속 제품이다. 이름이 메밀메밀이다.

메밀 소바가 여름 상품이다 보니, 겨울에는 회전율이 떨어져 농심그룹에서 물량을 적게 푸는 관계로 대형마트 등에서는 겨울에 보기 힘들다. 간혹 동네 슈퍼 구석에 여름에 다 안 팔리고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겨울에 먹는 냉메밀소바의 맛을 느끼고 싶은데 식당 가기 귀찮다거나 아니면 저렴한 값에 먹고 싶다거나 하면 동네 슈퍼에서 여름에 다 안 팔리고 남은 걸 사게 된다.

주의) 포장지 문구가 "후루룩"에서 "시원한"으로 변경 됨.

2. 변천사

원래 이 제품의 프로토타입격으로 ‘농심 모밀국수’가 1995년에 출시되었지만 그리 오래가지는 못하고 금방 단종되었으며, 5년 뒤인 2000년에 ‘찍어먹는 춘면’이라는 이름으로 나왔다가 이 역시 오래가지 못하고 사라졌다. 농심 메밀소바는 춘면을 리뉴얼해서 재출시한 것이다. 신라면과 같이 농심 회장 이름을 딴 신춘호 시리즈[1]로 나왔지만 망했다. 아무래도 '신라면'이라는 제품명과 매운(辛) 라면을 연결시키기 쉬웠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춘면'이라는 제품명과 메밀국수를 연결시키기가 힘들었던 게 원인이 아닐까 하고 추정. 일종의 브랜딩 실패 사례라고 하겠다. 과거 춘면 시절에는 녹차/메밀맛 두 가지가 있었고, 소스에 넣을 물 양을 잴 수 있는 종이컵이 들어 있었다. 그리고 깨알같이 삼다수에 소스를 타서 먹을 것을 권장했다. 농심이 제주도개발공사와의 판매 계약을 통해 막 삼다수를 런칭했을 때가 바로 이 시기였기 때문.

몇 년 전까지는 메밀가루 없이 첨가물로 향만 재현해서 ‘메밀소바맛면’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2] 새로 면을 개발하여 메밀가루를 5% 첨가한 뒤부터는 농심 메밀소바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대신 제품개발 및 시설투자 비용 등 때문인지 제품 가격도 덩달아 올랐다.

3. 구성

일반 라면에서 사용하는 유탕면이 아닌 호화건면과 쯔유소스, 무+건더기 블록으로 단출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른 비빔면처럼 하나로는 약간 허전한 기분이 들 수 있는데, 127g의 면이 적거나 한 것은 아니다. 신라면 등 다른 라면과 비슷한 중량임에도 배가 안 차는 것은 국물이 적기 때문이다. 라면이 주는 포만감의 상당량은 면이 아니라 면이 머금고 있는, 또는 따로 떠먹는 국물 때문이다. 만일 두 개를 끓여 먹을 상황이라면, 두 번 끓이거나 냄비 두 개를 이용해서 끓이는 것을 추천한다. 소스의 경우에도 하나로 합치기보다는 두 개로 나누어서 먹는 것이 좋다.

면은 메밀가루를 첨가하여 메밀소바의 느낌을 살렸고 기름에 튀기지 않은 호화건면이라 식감이 쫄깃하지만, 결국 태생이 라면인지라 진짜 메밀국수와 비교해보면 아무래도 차이가 난다. 면 자체의 식감보다도 꼬불꼬불한 면의 사출 상태 때문에 라면스러운 식감이 나는 것. 식감은 큰 차이가 있지만 맛이나 향, 분위기의 재현도는 높은 편이다.

4. 조리법

라면 중에서는 조리 난이도가 가장 까다로운 편에 속한다.

우선 두 개의 그릇이 필요하며[3], 냄비에 면을 끓이면서 다른 그릇에 찬 물을 소량 넣고 소스와 블럭을 섞어 찍어먹는 소스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끓인 면이 적절하게 익으면 면을 채에 받쳐 물을 전부 버리고 따로 찬물을 부어 식힌 뒤, 준비해둔 빈 그릇에 담고 만든 소스에 찍어 먹으면 된다.

뭉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끓일 때 가볍게 몇 번 젓가락으로 저어주고, 나중에 찬물로 헹굴 때 잘 풀어주면 된다. 그리고 접시나 그릇에 담기 전에 면이 머금은 물기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물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으면 소스가 맹물이 되어 맛없어진다.

액상소스는 제품 설명에 따라 80ml의 찬물에 무블럭과 함께 넣어 섞으면 된다. 입맛에 따라 싱겁게 혹은 짜게 느껴질 수도 있으니 좀 짜게 먹는 사람은 입맛에 따라 물을 약간 줄이고, 맛을 봐가며 물을 조금씩 타가면 된다. 예전에는 무블럭에 겨자가 많이 들어 있었지만, 조금씩 소비자의 입맛에 맞게끔 마일드하게 바뀌었으므로, 취향에 따라 와사비를 조금 첨가해 먹으면 더 맛있게 즐길 수 있다. 이는 그때그때 조금씩 차이가 있다. 메밀소바맛면 시절엔 마일드했다가 다시 와사비 맛이 진해졌다가 다시 약해졌다. 소비자 반응 봐가면서 조금씩 수정하는 듯 하다. 일단 디폴트로 톡쏘는게 강하다고 보면 됨

이 제품 자체가 장국에 면을 찍어 먹는 형태의 일반적인 메밀국수로 조리해서 먹는 것을 상정하여 개발된 제품이기에, 물냉면처럼 육수에 면을 말아 먹는 형태의 메밀국수[4]로는 조리하기 힘드므로 이 점에도 유의. 소스에 물을 타 희석해서 장국을 만든다는 점에서 눈썰미 좋은 사람은 이미 눈치 챌 수 있겠지만, 같은 회사의 인스턴트 냉면인 둥지냉면 물냉면과 유사한 조리법으로 조리하는 제품이므로 억지로 만들려면 만들 수는 있긴 한데, 아무래도 소스의 간이 면을 찍어 먹는 장국을 만드는 데에 최적화되어 있고 면을 말아 먹는 육수를 만드는 데에는 부적합한 감이 크기에, 실제로 만들어 보면 간이 잘 맞지 않는 느낌이 있어 맛이 영 좋지 않게 된다. 이럴 때는 간장이나 츠유를 아주 약간 극미량으로 추가해서 부족해진 간을 맞추어 줄 수 있는데, 간장의 경우에는 조금이라도 양 조절을 잘못하면 소바 맛의 핵심인 츠유 특유의 가쓰오부시 맛이 죽어버리는 사태가 터지기 쉬워 간을 맞추는 데 실패할 위험이 상당히 크므로 간장 대신 츠유로 간을 맞추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찍어먹을 때보다 쏘는 매운맛이 강해지므로 여기에도 주의할 것. 요약하자면 아무것도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일 때에는 그냥 포장지 매뉴얼의 설명에 따라서 찍어 먹는 메밀국수로 조리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고 할 수 있다[5] 간 맞출 용도로 츠유를 따로 사 놓았다면 상관 없지만.

이 문제점에 대해서 농심 측에서도 나름대로 인식을 했는 지, 2018년에 리뉴얼된 포장지 매뉴얼에서는 면을 말아 먹는 형태의 메밀국수(냉모밀)로 조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새롭게 설명이 추가되었다. 즉 이 제품으로도 면을 말아 먹는 형태의 메밀국수를 만드는 게 사실 조리법을 잘 구사한다면 얼마든지 가능하긴 했었다는 것이다. 새롭게 바뀐 포장지 매뉴얼의 설명에 따르면 간장 10ml와 설탕 0.3g을 준비하고, 이것들과 제품의 소스 및 무블럭을 160ml의 찬물에 섞으면 면을 말아 먹는 육수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되었다. 간 맞출 용도로 일반적인 간장 대신 츠유를 따로 사 놓았다면 그걸 간장 대신 넣어도 되며, 소바 맛의 핵심인 츠유 특유의 가쓰오부시 맛이 죽어버리는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역시 이쪽이 현명할 것이다. 덧붙여 이 조리법은 2018년 7월 시점에서는 5개묶음 제품의 겉포장의 포장지 매뉴얼에만 기재되어 있고, 단품 제품의 포장지 매뉴얼에는 여전히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로 찍어먹지 않고 아예 다 때려부어 그야말로 비빔면스럽게 섞어먹는 방법도 있다. 다만 이렇게 먹을 때에는 찍어먹을 때보다 쏘는 매운맛이 강해지는 현상이 있으므로 주의할 것.

5. 평가

인스턴트 소바 치고는 의외로 그럴듯한 맛이 난다. 보통 분식점에서 메밀 장국을 희석해서 내놓는 소바가 5~7000원 정도인데, 1000원 미만의 가격으로 대리만족할 수 있을 정도이다. 물론 전문점 소바에 비할 바는 아니다. 면의 퀄리티부터가 다르기도 하고 장국 자체도 비교할 것도 없이 더 싼맛이 난다.

장국이 일반 소바의 그것보다는 단맛이 적고 짠맛이 강하며 고추냉이의 쏘는 맛이 강하다. 무 블럭을 넣으면 코를 찌르는 매운 맛이 강해지며 이 점에선 호불호가 갈린다.

좀 더 진짜 메밀면에 가까운 소바를 먹고 싶다면 약간 더 귀찮아지더라도 다른 인스턴트 냉동 소바가 낫다.

지방 함랑이 3g밖에 안되기 때문에 설거지를 할 때 기름기가 적어 다른 것들과 같이 설거지를 해도 기름이 옮겨가지 않아 편하다.

지방 함량이 제로이고 봉지라면류 치고 칼로리가 낮아 칼로리 걱정 없이 먹을 수 있다.[6] 1봉으론 배가 안 찬다는 건 넘어가자 다만 나트륨 함량은 높은 편이니 찍어먹고 남은 소스를 먹지 않는 편이 몸에 좋다.

이 라면을 먹어본 일본인들 사이에선 대체로 호평이다. 본토식 자루소바와 비슷하면서도 의외로 맛을 잘 살렸다는 평가가 많다.


[1] 어째선지 신라면, 춘면과 함께 신춘호 회장의 이름 중 '호'에 해당하는 라면으로 호탕면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는데, 호탕면은 삼립식품에서 나온, 농심과는 전혀 관계 없는 제품이다. [2] 바나나맛 우유의 예처럼 해당 재료가 들어가 있지 않으면 식품명에 사용할 수 없고, 굳이 쓰려면 '맛'을 붙여서 써야 한다. [3] 말아먹는 방법이라면 하나만 있어도 된다. [4] 흔히 '냉모밀' 등의 명칭으로 부르는 그것 [5] 한편 타 업체의 유사 상품인 풀무원 자연은 맛있다 가쓰오 메밀냉소바 쪽은 말아 먹는 형태로도 찍어 먹는 형태로도 조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포장지 매뉴얼에서도 이를 강조하고 있다. 찍어 먹는 형태가 디폴트인 농심 메밀소바와는 달리 이쪽은 말아 먹는 형태가 디폴트이기도 하며, 소스도 거기에 맞춘 것 같다. 투박할 정도로 간이 강렬한 소스를 사용하는 농심 메밀소바에 비해서 소스의 톡 쏘는 맛이 약하고 뒷맛이나 감칠맛이 더 드러나는 편이다. 면의 양도 116g으로 농심 메밀소바의 127g보다 약간 적다. [6] 2019년 기준 1봉지당 400k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