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2 00:36:40

린버그 콤스톡


1. 린버그 콤스톡
1.1. 발생률
2. 원인
2.1. 과다 사용이 문제인가요?
3. 증상4. 치료법과 후유증5. 기타

1. 린버그 콤스톡

린버그-컴스톡(LC) 증후군은 집게손가락의 원위 IP 관절을 동시에 굴곡시키지 않으면서 엄지손가락의 지절간(IP) 관절을 능동적으로 굴곡시킬 수 없다는 점으로 구별됩니다.

.

1.1. 발생률

린버그 콤스톡 증후군은 검지 심지굴근(FDP)의 힘줄과 장지굴근(FPL)의 힘줄을 연결하는 해부학적 기형입니다. 힘줄의 이러한 연결은 엄지손가락의 IP(IP) 관절의 굴곡과 함께 원위 지절간(DIP) 관절에서 검지의 불수의적 굴곡으로 이어 집니다 . 이 기형의 발생률은
37%로 양측성보다 일측성 징후의 분포가 더 높습니다

2. 원인

Linburg-Comstock 기형은 일반적으로 두 번째 손가락의 긴 무지 굴근과 심지 굴근 힘줄 사이의 건활막 상호 연결로 정의됩니다. 현재의 기형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많이 있습니다.

현재 연구에서는 과다 사용이 Linburg-Comstock 변칙 존재 및 관련 증상의 병인적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현재의 기형은 후천적인 요인보다는 선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는 긴수지굴근(FPL)과 심수지굴근(FDP) 사이의 비정상적인 힘줄 연결 때문입니다.

린버그-컴스톡 변칙은 증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변칙을 가진 개인은 이를 인식하지 못한 채 삶을 이어갑니다. 증상이 있는 개인에서는 아래팔 손바닥 표면의 간헐적인 통증, 손가락의 무감각, 따끔거림, 정중신경 신경병증의 소견을 동반하는 야간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손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올바르지 않게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손과 손가락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활동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2.1. 과다 사용이 문제인가요?

Linburg-Comstock 기형은 일반적으로 두 번째 손가락의 긴 무지 굴근과 심지 굴근 힘줄 사이의 건활막 상호 연결로 정의됩니다. 현재의 기형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많이 있습니다.

하루 6시간 이상 컴퓨터 키보드를 사용하여 근무하는 의료비서 313명을 연구군으로 정의하였다.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손과 손가락 활동을 필요로 하는 직업이 없는 자원봉사자 323명을 대조군으로 정의했습니다. 모든 개인은 정형 외과 의사의 검사를 받았습니다. 또한, Linburg-Comstock 기형이 있는 사례를 팔뚝 통증 및 수근관 증후군의 주관적 소견과 관련하여 평가했습니다.

Linburg-Comstock 이상은 의료비서그룹에서 27.8%, 건강대조그룹에서 32.2%에서 확인되었다. Linburg-Comstock 기형이 있는 비서의 경우 25.3%에서 팔뚝 통증이 있었고 5.7%에서 수근관 증후군 소견이 있었습니다. Linburg-Comstock 기형이 있는 대조군에서는 21.2%에서 팔뚝 통증이 있었고 13.5%에서 수근관 증후군이 나타났습니다. 손의 남용과 Linburg-Comstock 이상 및 이상에 수반되는 증상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과다 사용이 Linburg-Comstock 변칙 존재 및 관련 증상의 병인적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현재의 기형은 후천적인 요인보다는 선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3. 증상

엄지굴근에서 심지굴근까지의 비정상적인 힘줄 연결로 긴엄지 굴근의 독립적인 이동이 어렵습니다
반응에 대한 저항은 손목의 손바닥 쪽이나 팔뚝의 말단 부분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4. 치료법과 후유증

치료 수술은 연결의 성격에 따라 힘줄 연결부를 절제하거나 분할하여 두 개의 별도 힘줄을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습니다.
힘줄 제거시 후유증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의 의하면 엄지와 상관 없이 검지는 반대로 완전히 펴지지 않고 검지는 접어지지 않습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5. 기타

대부분의 경우 린버그-콤스톡 증후군은 증상이 없지만 말단 팔뚝, 손목 또는 손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근관과 유사한 정중 신경 증상은 힘줄 염증, 추가 힘줄 존재 또는 수근관 내 윤활막염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음악가와 같이 엄지손가락과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개인은 통증이나 손목터널과 같은 증상에 더 취약합니다. FPL과 FDP 연결을 외과적으로 풀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린버그 콤스톡 증후군은 반드시 병적인 상황을 초래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수지 운동 시 불편함이나. 통증이 있을 경우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국내 기준이 아닌 해외 기준입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