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8:57:53

디지몬 테이머즈: 모험자들의 싸움

디지몬 테이머즈: 모험자들의 싸움 (2001)
Digimon Tamers: Battle of Adventurers
デジモンテイマーズ 冒険者たちの戦
파일:digimon tamers movie_1.jpg
{{{#!wiki style="margin: -16px -11px" 디지몬 애니메이션 극장판 시리즈
디아블로몬의 역습 모험자들의 싸움 폭주 디지몬 특급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장르 애니메이션, SF, 액션
감독 이마자와 테츠오
각본 코바야시 야스코
원작 혼고 아키요시
주연 츠무라 마코토, 야마구치 마유미, 타다 아오이, 노자와 마사코, 오리카사 후미코, 이마이 유카
음악 아리사와 타카노리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토에이 애니메이션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온미디어, 얼리버드픽쳐스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얼리버드픽쳐스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01년 7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개봉[1]
상영 시간 50분
일본 박스오피스 9.6억 엔
국내 스트리밍
[[왓챠|
WATCHA
]]



상영 등급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관람가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줄거리3. 등장인물
3.1. 디지몬
4. 사운드트랙5. 평가6. 기타

[clearfix]

1. 개요

디지몬 테이머즈의 첫 번째 극장판. 영화 근육맨 2세 극장판 Second Generations와 꼬마마법사 레미 ƒ: 개구리 바위의 비밀과 동시상영.

시점은 일본판 기준 20화와 21화 사이로 추정된다.

2.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오메가몬 아포카리몬의 데이터 잔해에서 태어난 메피스몬을 처리하려고 한다. 그러나 메피스몬은 또 다른 현실세계인 테이머즈의 세계로 도망쳐버린다. 한편 여름방학을 맞아 바쁜 부모를 대신해 성묘를 위해 혼자 오키나와의 외가로 놀러간 타카토, 길몬, 동글몬, 젠랴, 테리어몬. 타카토는 외가에서 사촌인 카이(박해찬)와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젠랴는 유적발굴 현장에서 견학을 하고 있었다.

그 때 일본 각지에서는 메피스몬이 퍼트린 V펫이라는 애완동물 프로그램에 심어진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이변이 일어나고 있었다. 타카토와 카이가 해변에서 놀 때 갑자기 디지몬에게 쫓기는 미나미가 나타난다. 미나미의 아버지가 만든 백신 프로그램을 노린 메피스몬이 보낸 디지몬들이었다. 타카토 일행은 디지몬들과 싸우고 도중 미나미의 컴퓨터로부터 시사몬이 나타난다. 디지몬들을 모두 물리친 듯했으나 가오리몬이 나타나 미나미는 납치되어버린다. 한편 젠랴와 루키는 오메가몬에 의해 메피스몬을 물리치기 위해 불려진다.

납치된 미나미를 쫓아간 타카토, 거기서 미나미 아버지의 동료가 메피스몬이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타카토 일행이 메피스몬에 맞서 싸우기에는 역부족일 때, 오메가몬에 의해 디지털 통로로 나타난 루키, 젠랴와 함께 메피스몬이 만든 디지털 세계에서 메피스몬을 물리친다. 도중 시사몬은 메이의 말에 의해 기동하여 백신으로 작동하여 바이러스들을 물리친다. 메피스몬은 가르프몬으로 진화하자마자 다시 나타나지만, 완전체로 진화한 디지몬들에 의해 퇴치되고 평화가 찾아온다.

3. 등장인물

3.1. 디지몬

<colcolor=#000000,#dddddd> 성장기 성숙기 완전체 궁극체
길몬 그라우몬 메가로그라우몬 -
테리어몬 가르고몬 래피드몬 -
레나몬 구미호몬 도사몬 -
래브라몬 시사몬 - -
코쿠와몬 - - -
- 가재드라몬 - -
- - 다이버몬 -
- - 블루메라몬 -
- - 스콜피오몬 -
- - 메피스몬 가르프몬
- - - 오메가몬

4. 사운드트랙

삽입곡
トモダチの海
친구들의 바다
일본판
한국판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Samm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용신
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다 히로시(山田 ひろし)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동준
작곡 야마자키 요(山崎 耀)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한국판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하늘은 푸른 빛을 흩뿌려 눈부시고
수면 위엔 고요히 꿈들이 드리워져 있어
바람은 파도 위로 흩어져 춤을 추고
물결 너머 저편엔 희망이 손짓하며 미소 짓네

가끔씩은 말 없는 저 바다에 우리 모든 걸 맡겨도 돼
태양이 우리를 비춰줄 테니까

너의 그 눈빛 속에 담겨진 모습은
바다 같은 여유로움
하늘에 닿은 푸른 물에 우리의 마음을 담아봐

파도에 몸을 싣고 소망을 띄우면
물결치는 우리 마음
함께 나누던 시간들은 모두 우리 가슴에 영원히 간직해
함께 나누던 시간들은 모두 우리 가슴에 영원히 간직해
}}}}}}}}} ||
ED
Moving On!
일본판
한국판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AiM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용신
작사 파일:일본 국기.svg ai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동준
작곡 오오타 미치히코(太田 美知彦)
편곡

5. 평가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없음% 관객 점수 7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
별점 없음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2.14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7.3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3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없음%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81299"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81299;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1299|{{{#!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없음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393f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없음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6A5ACD><tablebordercolor=#6A5ACD><tablebgcolor=#fff,#191919>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
별점 4.0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bordercolor=#2f51a2><bgcolor=#2f51a2> 파일:MyAnimeList 로고 화이트.svg ||
평점 6.97 / 10.0
기준: / ()


깔끔한 전개를 보여주는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가 다소 엉성하다. TVA의 진화씬 재탕을 제외하면[3] 완성도 높은 작화와 연출을 보여주고 있다.

6. 기타

파트너 디지몬들의 궁극체가 공개되지 않은 시기라 궁극체인 가르프몬을 해치우기 위해 궁극체가 아닌 완전체로 합체공격하는 트리니티 버스트라는 기술을 쓴다. 카드로도 발매되었다.


[1] 2004년 7월 9일 투니버스를 통해 방송하면서 처음 공개되었다. [2] KBS판에서는 창민. [3] 전작 극장판들이 자체적으로 진화씬을 새로 그렸다는 걸 생각하면 제작진의 성의 부족으로도 볼 수 있다. 명색이 극장판인데 TV판의 뱅크씬을 갖다 썼다는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