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7 10:13:59

동자이음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wiki style="margin:-8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logoHomeSc-removebg-preview (1).png '''''' }}}
급수별 배정한자
8급
50字
7급Ⅱ
100字
7급
150字
6급Ⅱ
225字
6급
300字
5급Ⅱ
400字
5급
500字
4급Ⅱ
750字
4급
1,000字
3급Ⅱ
1,500字
3급
1,817字
2급
2,355字
1급
3,500字
특급Ⅱ
4,650字
특급
5,978字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 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문제 유형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한자 중 여러 독음을 가진 한자가 존재한다. 대부분 어문회 공식 대표훈음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일부 대표훈음에는 하나의 독음만 있음에도 다른 독음으로 출제가 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런 경우는 1급~특급 지침서의 부록에 명시되어 있는 '동자이음자(동자다음 한자어)'에서 주로 출제된다.
  • 급수별로 분류하기는 하였으나 주로 1급 이상에서 출제된다. 다만, 언제나 예외는 존재할 수 있다.[1]
  • 반드시 어문회에서 지정한 것만 작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아래의 작성 규칙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
    • 아래 한자들의 훈음은 어문회에서 지정한 것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문회에서 지정한 것과 일치하는 훈음에만 볼드체 처리한다.
    • 아래 한자들 중 어문회에서 지정한 한자와 지정하지 않은 한자가 섞여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문회에서 지정한 한자에 볼드체 처리한다.[2]
    • 한자를 추가할 때는 네이버 사전이나 종이 자전에 있다고 무조건 등재하기보다는 국가공인 한자 시험 기관에서 등재했거나 국어 용례가 있는 것으로 작성한다.

2. 목록

2.1. 8급~ 6급

한자 급수 훈음 1 훈음 2 훈음 3 훈음 4
준7급 수레 거 수레 차[3][4]
8급 쇠 금 성(姓) 김[5]
8급 큰 대 클 태[6]
6급 법도 도 헤아릴 탁[7]
준6급 읽을 독 구절 두[8]
7급 골 동/마을 동 밝을 통[9]
8급 아비 부 남자 미칭 보[10][11]
8급 북녘 북 달아날 배[12]
준6급 살필 성 덜 생[13]
7급 셈 수 자주 삭[14] 빽빽할 촉[15]
준7급 밥 식/먹을 식 밥 사[16]
준6급 노래 악 즐길 락[17] 좋아할 요[18]
6급 합할 합 홉 홉[19]
6급 다닐 행 항렬 항[20]
6급 그림 화 그을 획[21]

2.2. 5급~ 3급

한자 급수 훈음 1 훈음 2 훈음 3 훈음 4
4급 방패 간 벼슬아치 한[22]
준4급 다시 갱 고칠 경[23][24]
준3급 하늘 건/마를 건 마를 간[25]
5급 볼 견 뵈올 현/드러낼 현[26]
준5급 맺을 결 상투 계[27]
준3급 맺을 계 근고할 결[28] 나라 이름[29] 사람 이름 설[30]
5급 고할 고 고할 곡/청할 곡[31]
준3급 골 곡 나라 이름[32]
준3급 견줄 교/비교할 교 견줄 각[33]
3급 거북 귀[34] 거북 구[35] 터질 균[36]
준3급 차 다[37] 차 차[38]
준4급 홑 단 오랑캐 임금 선[39]
3급 뛸 도 뛸 조[40]
[41] 준3급 질그릇 도 화락할 요[42]
[43] 3급 종 례 종 예[44]
준3급 면할 면 상복 문[45]
3급 무릅쓸 모 선우 이름 [46]
준3급 덮을 복/다시 복 덮을 부[47]
4급 엎드릴 복 새 알 품을 부[48]
준4급 회복할 복 다시 부[49]
4급 아닐 부 막힐 비[50]
준4급 절 사 내관 시[51]
준3급 노 삭/새끼줄 삭[52] 찾을 색[53]
준4급 죽일 살 감할 쇄/빠를 쇄[54]
준4급 형상 상 문서 장[55]
준3급 변방 새[56] 막힐 색[57]
준3급 말씀 설 달랠 세[58] 기쁠 열[59]
준3급 거느릴 솔[60] 비율 률[61] 우두머리 수[62]
준3급 쇠할 쇠 상복 최[63]
3급 장수 수[64] 거느릴 솔[65]
宿 준5급 잘 숙 별자리 수[66]
준5급 알 식 기록할 지[67]
4급 각씨 씨/성씨 씨 나라 이름[68]
준5급 악할 악 미워할 오[69]
준3급 같을 약 반야 야[70]
3급 어조사 어 탄식할 오[71]
3급 나 여/줄 여/미리 여[72][73]
4급 바꿀 역 쉬울 이[74]
5급 잎 엽 고을 이름 섭[75]
4급 미리 예 미리 여[76]
준3급 찌를 자 찌를 척[77]
준3급 나타날 저 붙을 착[78]
준5급 끊을 절 온통 체[79]
준3급 모두 제 어조사 저[80]
준3급 다섯째 지지 진/별 진/때 진[81] 때 신/별 신[82][83]
준3급 부를 징 음률 이름 치/화음 치[84]
4급 다를 차 어긋날 치[85] 부릴 채[86]
준5급 참여할 참 석 삼[87]
준3급 넓힐 척 박을 탁[88]
4급 밀 추 밀 퇴[89]
4급 뜻 취 뜻 추[90]
5급 법칙 칙 곧 즉[91]
준3급 잠길 침 성(姓) 심/즙 심[92]
3급 두루 편 두루 변[93][94]
준4급 베 포/펼 포 보시 보/펼 보[95][96]
준4급 사나울 폭/쬘 폭 모질 포[97]
4급 항복할 항[98] 내릴 강[99]

2.3. 2급~ 1급

한자 급수 훈음 1 훈음 2 훈음 3 훈음 4
1급 꾸짖을 갈 꾸짖을 할[속음][101]
1급 추렴할 갹 추렴할 거[102]
2급 장사 고[103] 성 가/값 가[104]
1급 두드릴 고 두드릴 구[105]
1급 고니 곡/과녁 곡 고니 혹[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2.4. 준특급~ 특급

한자 급수 훈음 1 훈음 2 훈음 3 훈음 4
[120] [121] [122] [123]

2.5. 기타 한자

  • 한국어문회 급수에 배정되지 않은 한자 중 동자이음자. 단, 위 문단에 있는 한자의 이체자는 제외한다.
한자 급수 훈음 1 훈음 2 훈음 3 훈음 4
[124] [125] [126] [127]

[1] 2급 16회 시험에서 '皐陶'의 음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고 대부분은 '고도'라고 적었으나 정답은 ' 고요'. 대표훈음은 '질그릇 도'로만 되어 있었기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이 혼란스러워했다. 참고로 저 문제의 '陶'는 아직도 어문회 동자이음자 리스트에 없다. 본 문서에서는 자주 출제되므로 임의로 추가하였다. [2] 폰트에 따라 한자의 볼드체 여부가 잘 구분되지 않는다. 이 경우 훈음에 볼드체가 없으면 한자에도 볼드체가 없는 것이다. [3] 客車(객차), 車庫(차고) [4] 주로 '훈음 1'이 한자의 '대표 훈음'인 경우가 많으므로 '훈음 1'로의 쓰임이 압도적으로 많다. 즉 이 한자를 알고 있다면 '훈음 2'부터는 모를지라도 '훈음 1'은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생소할 수 있는 '훈음 2'부터 각주로 단어 예시를 추가하였다. [5] 金氏(김씨) [6] 大保(태보), 大僕(태복), 大傅(태부), 大社(태사). 大僕은 고려와 조선의 관아 중 하나이다. 위 단어들 중에서 앞의 2개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인정하지만, 뒤의 2개는 太로 표기되어 있다. [7] 度支(탁지), 豫度(예탁) [8] 句讀(구두), 吏讀(이두) [9] 洞達(통달), 洞察(통찰), 洞燭(통촉) [10] 尙父(상보), 尼父(이보), 古公亶父(고공단보). 尙父는 임금이 신하에게 특별한 대우를 할 때 내리는 존칭이다. [11] 漁父는 주로 '어부'라고 읽으나, 어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로 '어보'로도 읽는다. 다만 '어부'를 夫(남편 부)를 사용하여 漁夫로 적었을 때는 '어부'로만 읽는다. [12] 敗北(패배). 사실상 사용되는 용례는 이것뿐이다. [13] [14] 疏數(소삭), 煩數(번삭) [15] 數罟(촉고). 촘촘한 그물이라는 뜻이다. [16] 簞食(단사) [17] 苦樂(고락), 極樂(극락) [18] 樂山樂水(요산요수). 사실상 사용되는 용례는 이것뿐이고, 이마저도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 단어가 익숙한 사람들은 한자 관련 도서에서 '전주'의 개념을 설명할 때 주로 樂이나 惡을 예시로 사용하는데, 이 때 樂을 '요'로 읽는 예시로 십중팔구 '樂山樂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익숙할 가능성이 높다. [19] 合(홉). 부피의 단위로, 약 180mL. 당연하지만 단어 '合'을 '합'이라고 읽으면 '모은다'는 뜻이 된다. [20] 行列(행렬/항렬). '행렬'로 읽으면 '여럿이 줄을 지음', '수학의 matrix'를 뜻하지만, '항렬'로 읽으면 '같은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낸다. [21] 과 동자(同字)로 본다. 劃順/畫順(획순), 計劃/計畫(계획) 등과 같이 '劃'이 들어간 모든 단어를 대체할 수 있다. 다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22] 阿干(아한), 鹽干(염한). 鹽干은 염전에서 소금을 만들던 사람이다. [23] 更張(경장), 變更(변경) [24] 更新(갱신/경신)은 '이미 있던 것을 고쳐 새롭게 함'의 뜻에서는 두 음으로 읽을 수 있지만, '법률관계의 존속 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갱신', '기록을 깨뜨림'은 '경신'이다. [25] 乾木水生(간목수생/건목수생), 乾淨(간정/건정), 白乾蠶(백간잠). 乾은 '하늘'의 뜻에서는 '건', '마르다'의 뜻에서는 '간'을 사용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간'으로 사용하는 단어들이 '건'으로 변하게 되었다. [26] 見齒(현치), 謁見(알현), 朝見(조현). 見齒(현치)는 이빨을 드러낸다는 뜻이다. [27] 紒(상투 틀 계)와 同字로 취급한다. 椎紒/椎結/魋結(추계)는 상투를 트는 방법 중 하나이다. [28] 契闊(결활) [29] 契丹(글안) [30] 契/卨(설)은 중국 상 왕조의 인물의 이름이다. 당연하지만 단어 契를 '계'로 읽으면 '계모임'의 '계'로 뜻이 완전히 달라진다. [31] 出必告(출필곡) [32] 吐谷渾( 토욕혼) [33] 獵較(엽각/엽교) [34] 龜鑑(귀감) [35] 龜旨歌(구지가), 龜浦洞( 구포동), 龜尾市( 구미시). '거북'이라는 뜻보다는 지명에 자주 쓴다. [36] 龜裂(균열) [37] 茶道(다도), 茶房(다방) [38] 茶(차), 綠茶(녹차), 紅茶(홍차) [39] 單于(선우) [40] 跳驅(조구), 跳騰(조등), 魚跳(어조) [41] 엄밀히 따지면 이 글자는 어문회 동자이음자 목록에는 없다. 그럼에도 볼드체로 표시한 것은 시험에 '皐陶(고요)'라는 인명의 독음을 묻는 문제가 출제된 적이 있기 때문이다. 2급 16회, 준특급 40회에 출제되었으며, 그 외에도 꽤나 빈번하게 출제되고 있다. '화락하다'라는 훈은 어문회에서 지정한 것이 아니고 '금성출판사 뉴에이스 한한사전'에 따른 것이므로 출제되지 않는다. [42] 皐陶( 고요) [43] 어문회 자형으로는 隷. [44] 家隸(가예), 奴隸(노예), 僕隸(복예)와 같이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예'로 발음되는 경우. [45] 袒免(단문) [46] 冒頓(묵돌) [47] 覆育(부육), 覆翼(부익) [48] 伏鷄(부계) [49] 復活(부활), 復興(부흥) [50] 否塞(비색), 否運(비운). 둘 다 '운수가 꽉 막힌다'는 뜻. 참고로 대변이 막히는 듯한 변비는 便祕(변비)로 祕(숨길 비)를 쓴다. [51] 寺正(시정), 九寺(구시). 寺正은 조선 시대의 벼슬 이름. [52] 索道(삭도), 鐵索(철삭). 鐵索은 쇠밧줄. [53] 檢索(검색), 思索(사색) [54] 減殺(감쇄), 惱殺(뇌쇄), 相殺(상쇄), 殺到(쇄도) [55] 告訴狀(고소장), 年賀狀(연하장), 賞狀(상장). '상장'에서 '상'이 아닌 '장'을 狀으로 써야 한다. [56] 塞翁之馬(새옹지마), 要塞(요새) [57] 拔本塞源(발본색원), 閉塞(폐색). 閉塞은 닫아서 막는 것. [58] 遊說(유세) [59] 悅樂/說樂(열락) [60] 輕率(경솔), 率先(솔선), 率直(솔직) [61] 能率(능률), 利率(이율), 稅率(세율) [62] 원래 率(거느릴 솔/우두머리 수)와 帥(장수 수/거느릴 솔)은 率이 '률'로 읽을 때를 제외하고 쓰임이 동일했다. 그래서 率과 帥를 섞어 쓰기도 하였다. [63] 斬衰(참최) [64] 將帥(장수), 統帥(통솔→통수) [65] 帥師(솔사), 師先/率先(솔선). 帥師는 군대를 통솔하는 것. [66] 星宿(성수), 辰宿(진수) [67] 標識(표지) [68] 月氏/月支( 월지) [69] 憎惡(증오), 嫌惡(혐오) [70] 般若(반야) [71] 嗚(탄식할 오)와 同字로 취급한다. 嗚呼/於呼(오호)는 감탄사로 쓰인다. [72] 與奪/予奪(여탈), 欲取先予(욕취선여). 欲取先予는 '가지고자 하면 먼저 주어라.'라는 뜻이다. [73] 훈음 중 '미리 여'는 予는 豫(미리 예)의 약자로 사용되므로 '予探(예탐/여탐)과 같이 豫를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아래 '豫(미리 예)' 부분에도 나와 있듯이 豫를 '여'로도 읽는다. [74] 簡易(간이), 容易(용이) [75] 迦葉(가섭) [76] 豫探(예탐/여탐). '예탐'으로 읽으면 '미리 탐색함', '여탐'으로 읽으면 '무슨 일이 있을 때 웃어른의 뜻을 미리 살핌'이라는 의미이다. [77] 刺殺(척살/자살). '자살'은 대부분 ' 自殺(극단적인 선택)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로 '척살'이라고 한다. [78] 著押/着押(착압). 문서에 도장 대신 특정한 문자를 쓰는 것. [79] 一切(일체/일절). '일체'는 모두, '일절'은 절대를 의미한다. [80] 忽諸(홀저), 居諸(거저) [81] 辰時(진시), 辰星(진성), 日辰(일진), 時辰(시진). 辰時는 다섯째 지지에 해당하는 時辰은 '시간' 및 '시각'을 의미한다. [82] 生辰(생신), 誕辰(탄신), 星辰(성신) [83] 어문회에서는 '별 진', '때 신'이라는 대표훈음을 정했지만, 時辰(시진: 시간 또는 시각)에서는 '때 진', 星辰(성신: 별)에서는 '별 신'이라는 훈음 또한 가능하므로 두 음을 의미상으로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다만, 다섯째 지지를 의미할 때는 '진'으로만 읽는다. [84] 徵調(치조), 宮商角徵羽(궁상각치우). 참고로 徵(치)는 한 음률의 이름이므로 어문회가 지정한 '화음(和音)'이라는 훈은 잘못되었다. [85] 參差(참치) [86] 差備(차비/채비). '차비'로 읽으면 '특별한 사무를 맡기려고 임시로 벼슬을 임명하는 일', '채비'는 '어떤 일을 위해 필요한 것을 갖춤'. [87] 갖은자. [88] 拓本(탁본) [89] 推敲(퇴고), 推窓(퇴창/추창) [90] 三惡趣(삼악추) [91] 不然則(불연즉), 必死則生 幸生則死( 필사즉생 행생즉사) [92] 沈氏(심씨) [93] 遍知(변지) [94] 遍照(편조/변조)는 '편조'로 읽으면 일반적으로 '두루 비춤', '변조'로 읽으면 불교 용어로 '부처의 광명이 온 세계와 사람의 마음을 두루 비춤'의 의미이다. [95] '보시'라는 단어 자체가 '베풂을 널리 펾'이라는 뜻에서 나왔으므로 '펼 보'로 봐도 무방하다. 오히려 '보시'라는 단어 하나만으로 '보시 보'라는 훈음을 정하기는 무리가 있다. [96] 布施(보시/포시) [97] 狂暴(광포), 橫暴(횡포) [98] 降伏/降服(항복), 投降(투항) [99] 降等(강등), 降雨(강우) [속음] [101] 喝食(할식), 喝參(할참), 喝火(할화) [102] 이 한자는 특이하게 독음이 2개이지만 둘 중 어느 것으로 읽어도 무방하다. 醵金(갹금/거금), 醵飮(갹음/거음), 醵出(갹출, 거출) 등. [103] 賈船(고선), 商賈(상고) [104] 賈島(가도) [105] 叩解(고해/구해). 음에 따라 뜻이 약간 다르다. [106] 寡鵠(과곡/과혹)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