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계급체계이다. 무장친위대의 계급체계는 슈츠슈타펠/계급 문서를 참조.육군과 공군 군의관의 경우 계급을 다음과 같이 표기하며, 이 표기는 현행 독일연방군에서도 사용 중이다.
- 대장(Generaloberstabsarzt), 중장(Generalstabsarzt), 소장(Generalarzt)
- 대령(Oberstarzt), 중령(Oberfeldarzt), 소령(Oberstabsarzt)
-
대위(Stabsarzt), 중위(Oberarzt), 소위(Assistenzarzt)
또한 독일국방군에는 'Hauptfeldwebel(참모부사관)'이라는 직책이 있었는데, 현대의 주임원사와 같은 역할을 수행했으며 주로 상사(Feldwebel) 계급 이상의 상급부사관들이 임명되었다.
준사관 신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건 지금의 독일연방군도 마찬가지.
원수 계급은 독일 국방군/원수 문서 참조.
2. 육군
계급 | 옷깃장/견장 | 소매장[1] |
이등병 Soldat |
|
|
일등병 Obersoldat |
|
|
상등병 Gefreiter |
|
|
병장 Obergefreiter |
|
|
상급병장 Stabsgefreiter |
|
|
하사 Unteroffizier |
|
|
중사 Unterfeldwebel |
|
|
상사 Feldwebel |
|
|
원사 Oberfeldwebel |
|
|
선임원사 Stabsfeldwebel |
|
|
소위 Leutnant |
|
|
중위 Oberleutnant |
|
|
대위 Hauptmann |
|
|
소령 Major |
|
|
중령 Oberstleutnant |
|
|
대령 Oberst |
|
|
소장 Generalmajor |
|
|
중장 Generalleutnant |
|
|
병과대장[2][3] General der Waffengattung |
|
|
상급대장 Generaloberst |
|
|
원수 Generalfeldmarschall |
|
|
대령 이하는 병과를 상징하는 금속제, 포제 조형물 외에도 견장의 색깔을 이용하여 병과를 표기하기도 한다.
예) 보병 : 흰색, 기갑 : 분홍, 공병 : 검정, 포병 : 빨강, 산악 : 녹색, 의무 : 콘플라워 블루, 보라색 : 군종, 밝은노랑 : 기병, 짙은노랑 : 통신 등
육군 장성의 금장은 현대 독일 연방군 육, 공군 장성들에게 계승되어 사용되고 있다.
3. 해군
계급 | 계급장 | |
견장/옷깃장 | 어깨/소매장 | |
이등병 Matrose |
||
일등병 Matrosengefreiter |
||
상등병 Matrosenstabsgefreiter |
||
상급상등병 Matrosenobergefreiter |
||
병장 Matrosenoberstabsgefreiter |
||
상급병장 Matrosenhauptgefreiter |
||
하사 Maat |
||
중사 OberlMaat |
||
이등상사 Matrosenfeldwebel |
||
일등상사 Matrosenstabsfeldwebel |
||
원사 Matrosenoberfeldwebel |
||
선임원사 Matrosenstabsoberfeldwebel |
||
소위[4] Leutnant zur See |
||
중위[5] Oberleutnant zur See |
||
대위[6] Kapitänleutnant |
||
소령[7] Korvettenkapitän |
||
중령[8] Fregattenkapitän |
||
대령[9] Kapitän zur See |
||
준장[10][11] Kommodore |
||
소장[12] Konteradmiral |
||
중장[13] Vizeadmiral |
||
대장[14] Admiral |
||
상급대장[15] Generaladmiral |
||
원수 Großadmiral |
4. 공군
야전사단의 경보병들은 녹색을 썼고, 포병이나 의무, 헌병 등 기타 병과는 자기 고유의 것을 사용했다.
5. 관련 문서
[1]
여기서 말하는 소매라 함은 상완, 즉 팔꿈치부터 겨드랑이 사이의 구간을 일컫는다.
[2]
육군과 공군에서만 사용하던 계급으로, 해당 장성의 출신 병과를 기재한다. 항공대장(General der Flieger), 기병대장(General der Kavallerie), 통신대장(General der Nachrichtentruppe) 등으로 표기하는 식.
[3]
군의(Generaloberstabsarzt(장군상급참모의)), 수의(Generaloberstabveterinär(장군상급참모수의))의 경우는 병과대장 식 표기법이 아닌 별도의 표기가 따로 있다.
[4]
군의 : Marineassistenzarzt
[5]
군의 : Marineoberarzt
[6]
군의 : Marinestabsarzt
[7]
군의 : Marineoberstabsarzt
[8]
군의 : Geschwaderarzt
[9]
군의 : Flottenarzt
[10]
바이마르 정부 시절까지는 없다가 나치가 집권하면서 신설된 계급. 대령과 동일한 견장을 쓰지만 모자는 제독의 것을 사용한다.
영관급 장교가 아니라
제독으로 대우받는다.
SS의
상급대령은 영관급 장교로 분류되므로 해군의 준장보다 낮은 계급이다.
[11]
제독을 나타내는 굵은 수장의 경우 사진상의 것은 영미의 제독 수장의 모습에 더 가까우므로 주의를 요한다. 국방군 및 연방군 제독 수장은 영미권 제독의 수장과 그 무늬 구성이 다르다.
[12]
군의 : Admiralarzt
[13]
군의 : Admiralstabsarzt
[14]
군의 : Admiraloberstabsarzt
[15]
해군총사령관을 동 계급으로 재직시 원수 수장을 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