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01:50:57

검엑스

껌엑스에서 넘어옴
파일:68310782_2488988407828251_1172952368786964480_n.jpg
데뷔 1999년 8월 14일 BOGUS PUNK CIRCLE![1]
2003년 6월 12일 WHAT'S BEEN UP?[2]
활동유형 록 밴드
멤버 이용원(보컬, 기타), Yuto(드럼, 보컬), Yoshi(베이스, 보컬)
소속사 Old Records (한국)
Caffeine Bomb Records (일본)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소개3. 활동4. 인지도5. 디스코그래피
5.1. 정규 앨범
5.1.1. BOGUS PUNK CIRCLE! (1999)5.1.2. WHAT'S BEEN UP? (2003)5.1.3. Green Freakzilla? (2005)5.1.4. OLD (2008)5.1.5. Emotional Trash (2023)
5.2. SINGLE
5.2.1. You Are So Beautiful (2001)
5.3. EP
5.3.1. AMERICAN STANDARD (2009)5.3.2. BUST A NUT (2020)
6.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3인조 펑크 밴드.

2. 소개

한국의 3인조 펑크[3] 밴드이다.

1996년, 고등학생인 이용원이 김원구(베이스,보컬), 이응균[4](드럼) 과 함께 우리의 음악을 막 씹어달라 의미의 이름을 지닌 펑크밴드 GUM 결성하고 길지 않은 활동 이후, 그동안의 밴드 생활을 정리하고, "우리들은 더 이상 GUM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GUM뒤에 X를 붙여 GUMX로 새출발을 했다.

GUMX 결성 후, 이근영(베이스,보컬), 최건(드럼)과 함께 3인조로 활동하게 되었고 2009년의 EP 발매를 마지막으로 휴식기에 들어갔다.

2019년 8월16일 올드레코드 소속사에서 새 멤버인 Yuto(드럼,보컬), Yoshi(베이스,보컬)와 함께 10년 만에 활동을 재개했다.

2022년 베스트 앨범인 <WORST GREATEST HITS EVER!>를 발매하면서 오랜만에 EBS 스페이스 공감에 출연했다. 이 방송은 2022년 12월 16일에 방영되었다. 링크

3. 활동

GUM 시절일때 앨범인 'BOGUS PUNK CIRCLE!'을 발매했으나 별 호응을 얻지 못한 채 묻혀버렸다.[5] 베이시스트 이근영이 들어오고 밴드명을 GUMX로 바꾼 뒤, 싱글인 'You are so Beautiful'을 내며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이후 코코뱃(COCOBAT)이라는 일본밴드의 내한 공연에서 오프닝 밴드를 맡게 됐고, 그 일이 계기가 되어 코코뱃의 리더인 타케시(TAKE-SHIT)의 눈에 띄게 되었으며 그 이후 토이즈 팩토리와 계약하게 되었다.

1집 'What`s Been Up?'은 일본에서 5만장을 판매했고, 1집의 타이틀곡인 'Hymn To Love[6]'는 일본 방송 TV프로그램의 OST로도 사용되었으며, 각종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달의 곡'으로 선정되었다. 일본의 유명 아티스트들을 배출한 전설의 클럽인 동경 '신주쿠 로프트(SHINJUKU LOFT) 에서 GUMX 의 이름을 내건 단독공연으로 공연장을 가득 메운 팬들과 함께한 감동적인 무대를 장식하며 이어지는 나고야 단독공연, 오사카 '미나미 휠(MINAMI WHEEL) 2003 FESTIVAL' 까지, 성공적인 일본 투어를 마치고 2004년 2월 삿포로 '노 매터 보드(NO MATTER BOARD) FESTIVAL' 을 끝으로 1집 'WHAT'S BEEN UP?'의 모든 활동을 마감하며 새로운 앨범 작업에 착수한다.

2집 'Green Freakzilia?'는 한국어, 영어버전이 발매됐고 10만장이라는 놀라운 앨범판매량을 선보였다.

멤버들이 군대를 갔다와서 낸 앨범인 3집 'OLD'는 2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후 2009년에 EP 'American Standard'[7]를 발매하며 도쿄,오사카,나고야 등의 11개 도시에서 17회 일본투어공연을 했다. 이후 GUMX는 긴 휴식기에 들어갔다.

활동기간 동안 역대 한국 출신 아티스트로 최다 관객 동원(4,000여명 운집) 이라는 기록을 세운 후지 락 페스티벌에 참가하기도 했고 미국 밴드 건즈 앤 로지스, 오프스프링 내한공연 오프닝 게스트 무대에 참여했으며 서태지가 주최한 대형 락페스티벌 ETPFEST에서는 2차례 참여를 해왔고 각종 콘서트에도 오프닝 게스트 무대에 서는등 국내와 해외를 넘나들며 굉장히 많은 공연을 했다.

사실 GUMX가 활동하던 시절에는 한국가수 중에서는 유일하게 보아만이 활동하고 있던 중이였기에, K-POP 열풍의 시초이기도 한 밴드이다. 한국 인디씬에서 가장 대중적이라고 할수있는 장기하와 얼굴들이 약 4만장의 앨범판매고를 올리고 있다는 것만 봐도 그당시에 내수용 음악들로 가득한 일본에서 1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올렸다는건 굉장한 일이였다. 이들의 활동은 한국 인디씬의 전무후무한 기록이다.

아직까지 트위터를 돌아다니다 보면, GUMX를 그리워 하는 일본팬들이 꽤 많다.[8]

2013년 1월 18일 4년만에 단독공연 소식이 나오면서 홍대 상상마당에서 단독공연 "GUMX IS FAT"을 개최하였다. 이후에는 2013년 4월 23일 옐로우 몬스터즈 결성 3주년 단독 콘서트 오프닝 게스트를 끝으로 이들의 마지막 활동이 되었다.[9]

2019년 8월 16일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일본레이블 Caffeine Bomb Records[10]와 계약을 체결하고 2020년 1월1일에 EP 앨범 발매와 함께 활동을 재개 할것을 발표했으며 2020년 2월부터 시작된 EP 앨범 발매 일본투어를 마치고 5월의 뮤직 페스티벌 그린플러그드 서울 2차 라인업으로 나오면서 본격적인 한국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지만 코로나 19 여파로 인해 대부분의 뮤직 페스티벌 일정들이 개최가 취소 되면서 활동 소식도 한동안 힘들것으로 보인다.

4. 인지도

이러한 이들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상당히 낮은편이다. 이는 이들의 활동이 주로 일본에서 이뤄졌다는 것도 있고, 지상파 TV에도 얼굴을 비추지 않았던 것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인디씬에 대한 관심이 적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타국 밴드 치고는 꽤 잘나가는 편이며, 전성기 시절에는 길거리에서 이들을 알아보는 사람들도 있었다 하고 토이즈 팩토리의 펑크팀 중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오히려 이용원이 결성한 옐로우 몬스터즈가 뜨고나서 GUMX를 알게된 경우도 허다하다(...).

5. 디스코그래피

이 문서에서는 GUM 밴드명으로 활동했던 시기의 앨범까지 포함하여 다룬다.
음반 제목 발매일
ALBUM BOGUS PUNK CIRCLE! 1999.08.14
SINGLE You Are So Beautiful 2001.06.01
ALBUM WHAT'S BEEN UP? 2003.06.12
ALBUM Green Freakzilla? (Korean Ver.) 2004.07.15
ALBUM Green Freakzilla? (English Ver.) 2005.07.07
ALBUM Old 2008.07.17
ALBUM Emotional Trash 2023.09.06
EP AMERICAN STANDARD 2009.08.07
EP BUST A NUT 2020.01.01

5.1. 정규 앨범

5.1.1. BOGUS PUNK CIRCLE! (1999)

파일:boguspunkcircle.jpg
BOGUS PUNK CIRCLE!
트랙 제목 비고
01 무관심
02 얌냠냠
03 벽장 속에 유부녀
04 NINETEEN GIRL [11]
05 바닥에 딱 붙은 껌
06 PUNK는 지겨워!
07 과일농장
08 이것이 나인데...
09 HAPPY BIRTHDAY TO YOU
10 내가 할 수 있는 것 중 하나
11 배가 많이 불렀구나!
12 시험공부
13 못난 사나이
14 강아지

GUM 밴드명으로 활동하던 때의 유일한 앨범. 전형적인 조선펑크의 사운드가 특징이며 가사도 모두 한글이다. GUMX와는 다르게 가벼운 느낌의 곡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5.1.2. WHAT'S BEEN UP? (2003)

파일:whatsbeenup.jpg


WHAT'S BEEN UP?
트랙 제목 비고
01 Turn Off
02 You Are So Beautiful (Even Without Two Arms)
03 Perfect
04 I Love Tramp
05 Billy's Day
06 Hymn To Love[12] MV, 소녀[13]
07 Last Life
08 Pine Tree
09 Never Go Back
10 Pain II
11 Texas Song
12 Unfinished
13 Mountain

5.1.3. Green Freakzilla? (2005)

영어판 (2005) 한글판 (2004)
파일:greenfreakzillaeng.jpg 파일:greenfreakzilla.jpg
Green Freakzilla?
트랙 영어판 제목 한글판 제목 비고
01 Drop Dead
02 Green Freakzilla
03 What I Wanted 내가 원한 건
04 Road 2 Nowhere
05 The Way I Walked 노을
06 Brit And Clit 그리고
07 Aperican Chic 작은 나의 친구여
08 Yesterday Yes A Day[14] MV, 7년 동안[15]
09 It's All Over 이젠
10 Loser
11 An Echo Of Naught 메아리는 돌아오지 않는다
12 Father
13 Why Do You Look So Strange Tonight? 어디로 가는지...

5.1.4. OLD (2008)

영어판 한글판
파일:zaP2_G2341103W.jpg 파일:old.jpg
OLD
트랙 영어판 제목 한글판 제목 비고
01 Silence The Enemy's Guns MV
02 The Road Untaken
03 All Ends
04 Flower N' Shit
05 Needless Story 불필요한 이야기
06 My Bassist Likes This Song
07 Still Walking MV
08 Someday
09 Hollow
10 Million Miles
11 My Song's Not Ended
12 Day Fly 하루살이

5.1.5. Emotional Trash (2023)

3집 Old 발매 이후 무려 15년이 지난 2023년 9월 6일에 정식 발매되었다. 지난 2019년부터 영입된 새로운 멤버들인 Yuto, Yoshi와 함께 작업하여 발매된 첫 정규 앨범이기도 하다.

수록곡
1. TRASH REVOLUTION
2. THE SOUND OF OUR LOVE [title]
3. BUDS
4. FATHER AND ME [title]
5. UNDERGROUND SUCKS
6. FINGER TALKER
7. MORNING TREE
8. SADNESS IS OVER (Feat. Yuta Yasuno Of Hawaiian6)
9. NEW YORK BOY
10. I LOVE YOU BUT
11. NIGHT PICNIC
12. LET ME GO
13. NOTORIETY
14. TATTOO ON MY HEART

<앨범 소개>
한국 POP PUNK의 시작!
한국 대표 MELODIC PUNK 밴드 GUMX가 2023년9월6일 정오, 15년만에 새로운 정규앨범 “EMOTIONAL TRASH"로 돌아온다!
2003년 WHAT'S BEEN UP?
2004년 GREEN FREAKZILLA?
2008년 OLD
그리고 2023년
정규4집 EMOTIONAL TRASH.

GUMX가 15년만에 드디어 정규 4집 앨범 EMOTIONAL TRASH를 발매한다.

2020년 초반 시작되었던 펜데믹 시대.
세계가 문 닫았던 시절.
한국과 일본에서 서로 떨어져 지내던 GUMX 멤버 용원, 요시, 유토는 우리가 만날 수 없는
이 시기에 느끼는 감정들을 음악으로 옮겨보자라는 마음으로 새 앨범 준비에 착수한다.
용원은 거주지인 밴쿠버와 서울에서 한 없이 걸으며, 가사와 멜로디를 만들어 갔고,
도쿄에 있는 요시와 유토에게 음원파일을 보내고 서로 살을 붙여가며 차근차근 한곡씩 만들어 갔다.
코로나로 인해 일상 생활의 소중함을 느끼며 1년 넘게 멤버가 서로 만날 수 없었던 현실.
하지만 곧 괜찮아지겠지란 희망을 갖고 GUMX의 대한 열망은 높아져만 갔다.
끝날듯 끝날듯 끝나지 않았던 코로나로 인한 불안감과 우울감은 끝없이 지속되었고, 지친 마음과 그리움과 두려움이 교차하는 힘들었던 감정들.
그 쓰디쓴 감정들은 결국 꿈을 찾아 헤매는 열정의 조각들이었고, 그 조각들이 모여 마침내 EMOTIONAL TRASH앨범이 완성되었다.
EMOTIONAL TRASH를 한마디로 표현 하자면, 꿈에 대한 이야기이다.
꿈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 힘들었던 수 많은 감정 쓰레기들을 쓰레기통에 넣어 버리자란 제목처럼 긍정적인 메세지의 앨범이다.
GUMX는 항상 음악으로 자신에 대한 이야기만 해 왔다면, 15년이 지난 지금 GUMX는 자신이 아닌 우리를 이야기하고 있다.
한 곳을 바라보고 그 곳으로 가고 있는 GUMX.
늦깎이로 다시 시작하는 용원과 요시, 유토 세명의 꿈은 GUMX이다.
멤버들은 EMOTIONAL TRASH 앨범 마스터링을 받은 날 2년반에 길었던 펜데믹시대가 헛된 시간이 아니었음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한다.

MIXING에는 일본 최고의 PUNK SOUND MASTER인 STUDIO COOPER OSAKA의 SUSUMU NAGATA가 맡아주었고, MASTERING은
희대의 명반 NIRVANA NEVERMIND를 맡았던 HOWIE WEINBERG가 앨범을 완성시켰다.

포효하는 사자처럼 달리는 첫곡 TRASH REVOLUTION을 시작으로 GUMX만의 전매특허 멜로딕 펑크 곡 THE SOUND OF OUR LOVE, BUDS,
UNDERGROUND SUCKS, hawaiian6 보컬 Yuta가 피쳐링에 참여한 SADNESS IS OVER, 강한 하드코어 메탈 곡 NEW YORK BOY,
처음으로 Reggae를 시도한 I LOVE YOU BUT 그리고 GUMX만의 감성곡 FATHER AND ME, TATTOO ON MY HEART
그리고 그외에 곡들까지 총14곡을 담은 EMOTIONAL TRASH는 MELODIC PUNK를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시도를 하고 있다.

ASIAN PUNK의 새로운 길을 만들어 가고 있는 GUMX!
음악엔 국경은 없다는것을 PUNK ROCK으로 보여주고 있는 GUMX가 만들어가고 있는 길을 함께 걸어가보자!
LET'S GO GUMX!

GUMX is

Boss: Moppy
Vocals & Guitar: Yongwon Lee
Bass & Vocals: Yoshi Nagashima
Drums & Vocals: Yuto Miyazaki

All Songs Written by Yongwon Lee
All Songs Arranged by GUMX

Executive Producer: Moppy (Caffeine Bomb Records & Organics)
Produced by Yongwon Lee
Recorded & Mixed by Susumu Nagata at Studio Cooper (Osaka)
Chorus Recorded by Kentaro Kamada (STUDIO K5)
Mastered by Howie Weinberg
Cover Artwork by KISHI KOUJI (RODORI ST.)
Management: Caffeine Bomb Records(Japan), OLD RECORDS & LOVE CHIPS INTERNATIONAL Inc.(South Korea)

Additional Musicians:
Track.8 Vocals by Yuta Yasuno of hawaiian6
Track.10 Organs by Susumu Nagata of Studio Cooper(Osaka)
Track.14 Keyboards by Yoko of Unlimited

GUMX Networks

gumxofficial.com

Thanx to

Caffeine Bomb Records & OLD RECORDS & LOVE CHIPS INTERNATIONAL Inc. Family, Support Bands for GUMX Tour & GUMX Fans!

5.2. SINGLE

5.2.1. You Are So Beautiful (2001)

파일:210230_1_f.jpg
You Are So Beautiful
트랙 제목 비고
01 Drop Dead! [16]
02 You Are So Beautiful [17]
03 Mountain [18]
04 Lazy Again

GUM 밴드명으로 활동하던 때의 유일한 싱글. 4번 트랙을 제외한 나머지 곡들은 GUMX 1집, 2집 앨범의 트랙으로 재수록이 되었다.

FAT WRECK CHORD에 들어가기 위해 이 싱글을 보냈었고 퇴짜를 맞은 적이 있다.

5.3. EP

5.3.1. AMERICAN STANDARD (2009)

파일:americanstandard.jpg
AMERICAN STANDARD
트랙 제목 비고
01 Bad Song
02 Mucky [19]
03 Wonder Years
04 We Have No Producer [20]
05 Dusk Falls

일본 투어 활동 시기에 공연장에서만 한정으로 판매했기 때문에 소장 가치가 높은 앨범이다.

5.3.2. BUST A NUT (2020)

파일:fdsfs.jpg
BUST A NUT
트랙 제목 비고
01 PINK LIPS MV
02 FUCK LEE
03 KOMM SÜSSER TOD[21]
04 THE ANSWER MV
05 BIG PIZZA
06 APERICAN CHIC

새멤버 Yuto(드럼,보컬), Yoshi(베이스,보컬) 와 함께 처음으로 발매한 앨범으로 2020년 1월1일 한일양국에서 CD로만 먼저 발매되었다.[22]

일본 방송국 TBS의 예능 세계 섬머 리조트에 'THE ANSWER'가 수록되었다.

앨범의 평은 한,일 양국에서 모두 아주 좋다. 성공적인 복귀를 이뤄냈다는 평.

6. 여담


2019년 10월 30일 과거에 그린 데이 소속사로부터 검엑스의 데모 CD를 보냈는데 맥도날드에서 감자나 튀기면 잘하겠다 이런 답변이 왔다는 내용으로 유튜브로 포스팅된 영상을 우연히 이용원이 저 영상을 보게되면서 재미있게 잘 봤다는 답변과 함께 잘못된 소문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줬다.

그린데이 소속사가 아닌 NOFX가 소속돼있는 FAT WRECK CHORDS 레이블을 통해 데모 시디를 보냈으며 그때 당시에는 인터넷이 현재만큼 활성화되지 않았던 시기였다보니 이후에 소속사를 통해 음악 괜찮아. 근데 별로 특별한거 없어.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1] GUM 1집 앨범 발매 기준 [2] 일본 메이저 데뷔, 검엑스 1집 앨범 발매 기준 [3] '멜로딕 하드코어'로 불리는 장르로 80년대 미국에서 탄생한 장르로 하드코어 펑크에 뿌리를 두고 있다. 밴드의 주 활동 무대였던 일본에서 당시 꽤 인기가 있던 장르였다. [4] 펑크 밴드 푸펑충에서 활동했었다. [5] 당시 이 앨범을 발매했을 때 라디오 프로그램 '신해철의 고스트스테이션' 에 출현하면서 앨범 내에서 3번 트랙 '벽장 속에 유부녀' 로 이름을 알리는 계기 정도는 있었다고 한다. 후에 1집 발매 후 다시 이 프로그램에 출현해서 멤버 이용원이 '그 때 만들었을 때는 멋있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좀 부끄러운 곡' 이라고 코멘트를 남겼다. [6] 하지만 한국판 앨범에는 이 곡이 없다이 곡으로 인기를 얻었는데? [7] 투어 한정판이라 구하기가 매우 힘들다. [8] Y2K의 마츠오 형제도 일본에서 이들을 알게 됐으며 굉장한 팬이라고 한다. Swanky Dank로 내한당시 인터뷰에 따르면, 보컬 이용원이 옐로우몬스터즈를 결성했다가 활동을 중지한 사실은 알고 있으며, 다시 검엑스의 활동을 시작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9] 2014년 3월 29일 일본 밴드 locofrank 내한공연 오프닝 게스트로 출연 예정이었으나 내부 사정으로 인해 취소되었고 옐로우 몬스터즈로 대치되었다. [10] 내한공연을 해왔던 소속아티스트 중에 Hey Smith, Dizzy Sunfist 가 소속되어있다. [11] 'WHAT'S BEEN UP?' 앨범에서 '소녀' 라는 타이틀로 재수록된다. [12] 에디트 피아프의 동명의 곡을 리메이크 한 것이다. [13] 영어판에는 'Hymn to love', 한국판에는 '소녀' 가 수록되었다. 일본판은 6번 트랙, 한국판에는 11번 트랙이다. [14] 제인 버킨의 동명의 곡을 리메이크 한 것이다. [15] 영어판에는 'Yesterday Yes A Day', 한글판에는 '7년 동안' 이 수록되었다. 영어판은 8번 트랙, 한글판은 13번 트랙이다. [16] 'Green Freakzilla?' 앨범 1번 트랙으로 재수록 되었다. [17] 'WHAT'S BEEN UP?' 앨범 2번 트랙으로 재수록 되었다. [18] 'WHAT'S BEEN UP?' 앨범 13번 트랙으로 재수록 되었다. [19] 이용원이 옐로우 몬스터즈에서 활동했을 때 'Alibi' 라는 타이틀로 리메이크 되었다. [20] 이용원이 옐로우 몬스터즈에서 활동했을 때 동명의 타이틀로 리메이크 되었다. [21]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의 동명의 삽입곡을 커버했다 [22] 앨범의 초판이 타워레코드에서 SOLD OUT 되어 산뜻한 출발을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