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S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용카드 회사 Discover Financial Service에 대한 내용은
디스커버 문서, 농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도리안 핀니스미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
이론 컴퓨터 과학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family:Times New Roman, serif;font-style:itali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a36> 이론 | ||||
기본 대상 | 수학기초론{ 수리논리학( 논리 연산) · 계산 가능성 이론 · 범주론 · 집합론} · 이산수학( 그래프 이론) · 수치해석학 · 확률론 및 통계학 · 선형대수학 |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 |||||
계산 가능성 이론 | 재귀함수 · 튜링 머신 · 람다대수 · 처치-튜링 명제 · 바쁜 비버 | ||||
오토마타 이론 | FSM · 푸시다운 · 튜링 머신( 폰노이만 구조) · 정규 표현식 · 콘웨이의 생명 게임 · 형식언어 | ||||
계산 복잡도 이론 | 점근 표기법 · 튜링 기계^ 고전, 양자, 비결정론적, 병렬 임의접근 기계^ · 알고리즘 · 자료구조 · 알고리즘 패러다임( 그리디 알고리즘, 동적 계획법) | ||||
정보이론 | 데이터 압축( 무손실 압축 포맷 · 손실 압축 포맷) · 채널 코딩(채널 용량) · 알고리즘 정보 이론(AIT) · 양자정보과학 | ||||
프로그래밍 언어이론 | 프로그래밍 언어( 함수형 언어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증명보조기) · 메타 프로그래밍 · 유형 이론 ·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 · 파싱 · 컴파일러 이론 | ||||
주요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 | |||||
기초 | 정렬 알고리즘 · 순서도 · 탐색 알고리즘 | ||||
추상적 자료형 및 구현 | 배열^ 벡터^ · 리스트^ 연결 리스트^ · 셋(set)^ 레드-블랙 트리, B-트리^ · 우선순위 큐^ 힙, 피보나치 힙^ | ||||
수학적 최적화 | 조합 최적화 | 외판원 순회 문제 · 담금질 기법 · 유전 알고리즘 · 기계학습 | |||
볼록 최적화 | 내부점 방법 · 경사하강법 | ||||
선형계획법 | 심플렉스법 | ||||
계산 수론 및 암호학 | 밀러-라빈 소수판별법 · Pollard-rho 알고리즘 · 쇼어 알고리즘 · LLL 알고리즘 · 해시( MD5 · 암호화폐 · 사전 공격( 레인보우 테이블) · SHA) · 양자 암호 | ||||
대칭키 암호화 방식 | 블록 암호 알고리즘( AES · ARIA · LEA · Camellia) ·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RC4) | ||||
공개키 암호화 방식 |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타원 곡선 암호 · RSA) · 신원 기반 암호 알고리즘(SM9) | ||||
계산기하학 | 볼록 껍질 · 들로네 삼각분할 및 보로노이 도형^Fortune의 line-sweeping 알고리즘^ · 범위 탐색^vp-tree, R-tree^ · k-NN | ||||
그래프 이론 | 탐색^ BFS, DFS,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A* 알고리즘^ · 에드몬드-카프 · 크루스칼 알고리즘 · 위상 정렬 · 네트워크 이론 | ||||
정리 | |||||
정지 문제 대각선 논법 · 암달의 법칙 · P-NP 문제미해결 · 콜라츠 추측미해결 | |||||
틀:이산수학 · 틀:수학기초론 · 틀:컴퓨터공학 | }}}}}}}}} |
1. 개요
Depth First Search, DFS그래프 순회 방식의 일종. 거의 항상 너비우선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과 비교되어 나온다.
2. 상세
트리나 그래프에서 한 루트로 탐색하다가 특정 상황에서 최대한 깊숙이 들어가서 확인한 뒤 다시 돌아가 다른 루트로 탐색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백트래킹에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재귀호출을 사용하여 구현하지만, 단순한 스택 배열로 구현하기도 한다. 구조상 스택 오버플로우를 유의해야 한다.[1]갈림길이 나타날 때마다 '다른 길이 있다'는 정보만 기록하면서 자신이 지나간 길을 지워나간다. 그러다 막다른 곳에 도달하면 직전 갈림길까지 돌아가면서 '이 길은 아님'이라는 표식을 남긴다. 그렇게 갈림길을 순차적으로 탐색해 나가다 목적지를 발견하면 그대로 해답을 내고 종료.
단순 검색 속도 자체는 BFS에 비해서 느리다. 하지만 검색이 아닌 순회(traversal)를 할 경우는 많이 쓰인다. DFS는 특히 리프 노드에만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렬 트리 구조에서 항상 순서대로 데이터를 방문한다는 장점이 있다. 백트래킹에 사용되는 이유도 공통 상위를 가지는 아래 리프 노드들을 한방에 잘라내버리는게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동 미로 생성에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기도 하다. 방향은 무작위로 해서 계속 뚫다가 막혀서 못 뚫으면 뚫을 수 있는 곳이 발견될 때까지 되돌아가서 다시 뚫고, 또 막히면 되돌아가고 이런 식으로 무한히 반복하다 보면 생긴다. 게다가 이 방식으로 미로를 만들면 빠져나가는 경로 또한 단 하나만 생긴다. 직접 보고 싶다면 이 동영상을 보자.
루트가 있는 트리에서 정점을 깊이 우선 탐색을 통해 방문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임의의 정점을 루트로 하는 서브트리를 이루는 정점은 위의 배열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유향그래프에서 사이클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떤 한 노드에서 간선을 따라 방문하다 보면 자기 자신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경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장단점
3.1. 장점
- 단지 현 경로상의 노드들만을 기억하면 되므로 저장 공간의 수요가 비교적 적다.
- 목표 노드가 깊은 단계에 있을 경우 해를 빨리 구할 수 있다.
3.2. 단점
- 해가 없는 경로에 깊이 빠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미리 지정한 임의 깊이까지만 탐색하고 목표 노드를 발견하지 못하면 다음 경로를 따라 탐색하는 방법이 유용할 수 있다.
- 얻어진 해가 최단 경로가 된다는 보장이 없다. 이는 목표에 이르는 경로가 다수인 문제에 대해 깊이우선탐색은 해에 다다르면 탐색을 끝내버리므로, 이때 얻어진 해는 최적이 아닐 수 있다는 의미이다.
4. 소스 코드
4.1. C++
#!syntax cpp
const int MAX = 100'001;
bool visited[MAX]; // 방문 배열. visited[node] = true이면 node는 방문이 끝난 상태이다.
void dfs(const vector<int> graph[], int current) { // graph는 인접 리스트, current는 현재 노드
visited[current] = true; // current 방문
for(int next: graph[current]) { // current의 인접 노드를 확인한다. 이 노드를 next라고 하자.
if(!visited[next]) { // 만일 next에 방문하지 않았다면
dfs(graph, next); // next 방문
}
}
}
4.2. Python
#!syntax python
def dfs(graph:Dict, start:int): # Dict 자료형 형태로 준다. key는 노드, value는 인접노드를 가리킨다.
visited = {i:False for i in graph.keys()} # 방문 배열. visited[node] = True이면 node는 방문이 끝난 상태이다.
def search(current:int): # 재귀함수 정의
visited[current] = True # current 방문
for nxt in graph[current]: # current의 인접 노드를 확인한다. 이 노드를 nxt라고 하자.
if not visited[nxt]: # 만일 nxt에 방문하지 않았다면
search(nxt) #nxt 방문
search(start)
5. DFS 트리
한 정점을 두 번 이상 방문하지 않는 연결그래프에서 DFS 트리라는 유향트리 구조가 만들어진다.- Tree edge란 DFS중 a정점을 방문한 후 b정점을 처음 방문할 때, a→b의 유향간선을 말한다.
- Back edge란 DFS중 a정점을 방문한 후 이미 방문한 b 정점을 방문할 때, b가 a의 조상일 때 a→b의 유향간선을 말한다,
- Forward edge란 DFS중 a정점을 방문한 후 이미 방문한 b 정점을 방문할 때, a가 b의 조상일 때 a→b의 유향간선을 말한다.
- Cross edge란 DFS중 a정점을 방문한 후 이미 방문한 b 정점을 방문할 때, a→b의 유향간선이 Back edge나 Forward edge가 아닌 경우를 말한다.
DFS 트리를 사용하면 unrooted tree를 rooted tree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Tree edge 이외의 간선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