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0:33:04

금천IC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의 교차로에 대한 내용은 금천램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 bordercolor=green><table width=100%><-2><table bgcolor=green>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부간선도로    분기 및 합류 안내

||<table bordercolor=green><table width=100%><rowbgcolor=green><width=50%> ⬇      1 · 2 차로      ⬇

파일:최고속도제한 80.svg

서부간선 지하도로 (유료)
소형차 전용 (3m 높이 제한)
이륜차 진입 금지
||<width=50%> ⬇      3 · 4 차로      ⬇

파일:최고속도제한 60.svg

서부간선도로
(무료)

전차종 진입 가능
이륜차 진입 가능
||
||
금천 나들목
衿川 나들목
Geumcheon Interchange
목포 방면
소하JC
← 2.6 km
파일:Expressway_kor_15.svg
서부
지하
도로
1
성산대교 방면
서부간선TG
-.- km →
소하 방면
시흥대교
← -.- km
파일:Cityroad_kor_94.svg 성산대교 방면
금천교
-.- km →
주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871-45[1]
관리기관
서해안선 한국도로공사 서울경기본부 시흥지사
서부간선도로 서울시설공단
서부지하도로 서서울도시고속도로(주)
개통
서해안선 1998년 11월 25일
서부간선도로
서부지하도로 2021년 9월 1일
접속도로
[[1번 국도|
1
]] ( 서부간선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1. 개요2. 구조3. 역사4. 기타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에 위치한 서해안고속도로 나들목. 명칭은 나들목의 소재지인 금천구에서 유래하였다.

서해안고속도로 상의 나들목 번호가 없는데, 서울 방향은 진입만 가능하기에 딱히 번호를 표기할 곳이 없고 목포 방향 표지판은 엄연히 고속도로 상의 표지판이 아니라 서부간선도로 상의 표지판이라 이렇게 된 듯하다. 만일 번호를 땄다면 마지막 번호인 38번일 확률이 높았을 것이다. 서부간선지하도로 개통 이후 목포 방향 표지판에 번호가 부여되었는데, 소하 분기점과 같은 37번이나 소하 분기점 다음 번호인 38번이 아닌, 1번이 부여되었다. 서부간선지하도로의 첫 번째 나들목이기 때문으로 추정.

서해안고속도로 - 서부간선도로 헬게이트의 피크 지점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막히는 구간 중 하나이며 이 정체는 대개 서울 방향의 경우 서부간선도로 서해안고속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간의 차량 교차가 완료되는 금천교까지 이어지고, 목포 방향의 경우 이 부근부터 정체가 조금씩 풀리다가 길이 넓어지는 일직 분기점 즈음에서는 거의 풀린다. 서울 방향은 입구만 목포 방향은 출구만 있고, 서울 방향으로 진입하려는 수요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서울 방향 정체가 더 심하다. 교통방송 등에서는 철산교, 금천교의 현황을 통해 이 부근의 정체상황을 안내한다. 어차피 서울 방향은 그곳까지 출구가 없기 때문에 이 나들목 자체가 막히거나 말거나 입구뿐인 이곳에서 정체가 풀릴 리가 없으므로 서해안 → 서부간선 운전자에게 별로 도움이 되는 이야기가 못 되기 때문. 안양천, 경부선, 난개발로 난립한 건물들이 확장 공간을 완전히 가로막고 있어 확장은 물론 수요 분산도 불가능하다.

매우 아쉬운 점이, 금천 - 안산 구간을 건설하기 전부터 서해안고속도로 금천 - 안산 구간은 짓고 나면 교통정체에 시달릴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쏟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고속도로 짓기 전에도 이미 교통정체가 예상 가능한 구간이었다는 뜻이다. 금천 - 안산 구간은 왕복 8차로로 지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요구했지만 하필이면 이 때 외환위기가 터지면서 결국 일직-금천 구간은 왕복 4차로로 짓게 되어, 결국 전문가들의 예상대로 365일 상습정체구간이 됐다.

서울특별시에서는 서해안고속도로 서부간선지하도로와 연결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서부간선도로(지상)는 안양천교를 통해 이 나들목으로 넘어와, 잠시 병주한 후 다시 분리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서해선 KTX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개통으로 도로 수요를 철도로 분산하고 나서야 금천IC의 교통정체가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2. 구조

2.1. 서해안고속도로

2.1.1. 서울 방향

2.1.2. 목포 방향

2.2. 서부간선지하도로

2.2.1. 성산 방향

2.2.2. 금천 방향

2.3. 서부간선도로

2.3.1. 성산 방향

2.3.2. 소하 방향

3. 역사

  • 1998년 11월 25일 서울안산고속도로 금천 나들목 - 일직 분기점 구간 개통과 함께 서부간선도로와 서울안산고속도로를 잇는 나들목으로 개통하였다.
  • 2001년 8월 25일 서울안산고속도로가 서해안고속도로로 편입되면서 서해안고속도로의 나들목이 되었다.
  • 2021년 9월 1일 서부간선지하도로의 개통과 함께 서부간선지하도로의 나들목이 되었다.

4. 기타

서해안고속도로 이정표에는 서울, 당진, 군산, 목포 4개 주요 도시들이 표시가 되는데, 서울의 종점과 기준점이 바로 이 나들목이며 목포 방향으로 진행하면 거리기준 표지판이 당진으로 표시가 된다.

==#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wiki style="color:#000,#0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라남도 죽림JC - 일로IC - 목포TG - 무안IC - 함평JC( 파일:Expressway_kor_12.svg ) - 함평천지SA하행(←) - 함평IC - 함평천지SA상행(→) - 영광SA - 불갑산IC - 영광IC -
전북특별자치도 - 대산SA - 고창JC( 파일:Expressway_kor_253.svg ) - 고창IC - 고창고인돌SA - 선운산IC - 줄포IC - 부안SA - 부안IC - 서김제IC - 동군산IC - 군산SA하행(←) - 군산IC - 군산SA상행(→) -
충청남도 - 동서천JC( 파일:Expressway_kor_151.svg ) - 서천IC - 서천SA - 춘장대IC - 무창포IC - 대천IC - 대천SA - 광천IC - 홍성SA - 홍성IC - 해미IC - 서산SA - 서산IC - 당진JC( 파일:Expressway_kor_30.svg ) - 당진IC - 송악IC - 행담도SA -
경기도 - 서평택IC - 서평택JC( 파일:Expressway_kor_40.svg · 파일:Expressway_kor_153.svg ) - 발안IC - 화성SA - 팔탄JC( 파일:Expressway_kor_400.svg ) - 비봉IC - 매송SA - 팔곡JC( 파일:Expressway_kor_50.svg ) - 안산JC( 파일:Expressway_kor_50.svg ) - 서서울TG - 조남JC( 파일:Expressway_kor_100.svg ) - 목감SA - 목감IC - 광명역IC - 일직JC( 파일:Expressway_kor_110.svg ) - 소하JC -
서울특별시 - 금천IC - 서부간선도로 직결 }}}}}}}}}



[1]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77호, 국토교통부, 2023-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