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12-20 22:52:12

권주가(소춘풍)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

1. 개요

조선 전기 함경도 영흥(永興)의 기생인 소춘풍(笑春風)이 당시 왕이었던 성종 앞에서 창작한 3수의 한글 권주가. 해동가요(海東歌謠), 청구영언(青丘永言)에 그 시조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2. 내용

조선 성종(1469~1494) 때의 함경도 영흥(永興) 기생이었던 소춘풍(笑春風)이 왕인 성종의 총애를 받아 선상기(選上妓)가 되어 궁중의 연회에 참석하였을 때 지은 3곡의 시조이다.

성종이 연회에서 대신들에게 소춘풍의 기재를 자랑하며 즉석에서 싯구를 짓게 하자 바로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었다.
唐虞(당우)를 어제 본 듯 漢唐宋(한당송)을 오늘 본 듯 요순 태평 시대 어제 본 듯 한당송 시대 오늘 본 듯
通古今(통고금) 達事理(달사리) 하는 明哲士(명철사)를 어떻다고 예부터 사물 이치 밝으신 선비를 그냥 두고
저 설 데 歷歷(역력)히 모르는 武夫(무부)를 어이 쫓으리 제 분수 똑똑히 모르는 무사를 어이 내가 따르리

이에 문신을 높이고 무신을 깔아 낮추는 내용이라 하여 그 자리에 있던 무신들이 불쾌해했다. 그러자 웃으며 바로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었다.
前言(전언)은 戱之耳(희지이) 라 내 말씀 허물 마오 앞 말씀 농담 이오니 내 말씀 허물 마소서
文武一體( 문무일체) 인 줄 나도 暫間(잠간) 아옵나니 문무가 같은 줄 나도 조금 아옵니다
두어라 赳赳武夫(규규무부)를 아니 쫓고 어이리 어째서 용맹스런 무사를 아니 따를 수 있겠습니까

이에 무관들이 흡족해 하였으나 이젠 문관들이 삐질려고 하자 또 다시 웃으며 바로 다음과 같은 시조를 지었다.
齊(제)도 大國(대국)이요 楚(초)도 亦(역) 大國(대국) 이라 제도 큰 나라요 초도 역시 큰 나라다
조그만 螣國(등국)이 間於齊楚(간어제초) 하였으니 조그만 등국이 제 나라와 초 나라에 끼었으니
두어라 이 다 좋으니 事齊事楚(사제사초) 하리라. 차라리 다 좋은 일이라 제도 섬기고 초도 섬기리라

이 마지막 시조까지 모두 듣고나자 그 자리에 있던 문관과 무관 모두가 기뻐하며 기생 소춘풍의 재능에 크게 감탄하였다고 한다.

왕 앞에서 문관과 무관을 마음대로 희롱하는 대담함과 순발력 있는 재치, 그리고 연회를 화락한 분위기로 이끌며 즐거움을 더하는 기지가 일품인 작품들로 기녀 시조 특유의 멋을 볼 수 있는 작품으로 인정받는다.

월탄 박종화는 어째서인지 소설 '세종대왕'에서 성종대의 인물인 그녀와 이 권주가를 뜬금없이 태종대에 등장시킨다. 심지어 그녀의 딸인 비오리는 한글창제에 사실상 주역으로 참여(...) 더 어이가 없는것은 권주가의 배경이 문관과 무관 사이의 대립이 아니라 그냥 쓸개빠진 권신을 희롱하기 위한 것으로 각색된데다가, 작가가 쓰다가 설정을 까먹은것인지 소춘풍과 비오리가 등장하기 한참 전에는 가희아라는 이숙번네 집 가희가 등장해 태종이 참석한 연회에서 이와 비슷한 내용의 권주가를 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가희아는 무려 효빈 김씨가 된다(...)[1]

3. 외부 링크



[1] 실록에서 언급하기로는 효빈 김씨는 원경왕후 민씨의 몸종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