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20:11:05

간장·막야

간장 막야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이 문서는 '간장'과 '막야'가 동시에 언급되는 때에 대해 다룹니다. 각각의 무기에 대해서는 각 개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2. 전설3. 2차 창작물에서4. 관련 문서

1. 개요

干將·莫耶

중국의 전설에 등장하는 한 쌍의 부부검을 통칭하는 것. 고사성어로도 쓰이는 단어로 흔히 ' 명검'을 일컫을 때나 '아무리 명검이라도 사람의 손길이 닿아야 빛을 발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간장, 막야로 이루어져 있다.

2. 전설

2.1. 오월춘추 / 월절서

오월춘추》및 《 월절서》에 의하면, 검을 만든 간장은 춘추전국시대 오나라 사람으로, 어장 담로를 만든 구야자와 동문이라 한다.

오왕 합려는 나라에서 구야자가 만든 검 3자루( 담로, 반영, 어장)을 받았는데, 합려는 간장에게 이보다 더 좋은 검을 만들라고 명했다. 간장은 천하에서 최고의 재료만 모아 최상의 조건에서 검을 만들려 했으나, 급격히 온도가 떨어져 철이 녹지 않았다. 석 달 동안 손가락만 빨다가 아내인 막야가 자신의 손톱과 머리카락[1]을 넣자 겨우 철이 녹아내렸다.[2] 어떤 판본에선 막야가 목욕재계 후 도가니에 몸을 던졌다고도 한다. 이렇게 완성된 검 두 자루 중 간장검은 숨겨두고 막야검만 합려에게 바쳤다.[3] 합려는 노나라에서 온 사신에게 막야를 주려 했으나, 사신은 칼을 뽑아 날 상태를 한 번 보고는 오나라가 멸망할 것이라고 생각해 받지 않았다.

2.2. 수신기

《수신기》에는 초나라 버전 이야기도 있는데, 여기서는 간장이 초나라의 왕을 위해 한 쌍의 암수검을 만들었지만[4] 기한을 넘겨 완성되었기에 자신이 목숨을 잃을 것을 직감한다. 그래서 암검만을 초왕에게 가져가기로 하고 수검은 바위 위에 솟아난 소나무, 즉 집 기둥에 숨기고 아들에게 복수를 명할 것을 막야에게 당부했다. 그리고 간장의 예상대로 초왕은 간장을 처형했고, 막야는 아들 적비[5]를 낳았다. 적비는 무술을 연마하며 복수를 노렸으나 초왕이 적비가 자신의 목숨을 노린다는 꿈을 꾸고 전국에 방을 내려 산으로 도망갔다. 슬퍼하고 있던 와중 적비는 어떤 협객을 만나는데, 그 협객은 적비에게 그의 목을 주면 자신이 원수를 갚아주겠다고 했고, 그러자 적비는 자신의 목을 스스로 쳐 수검과 함께 그 협객에게 맡기었다고 한다. 적비가 자신의 목을 베고 나서도 몸은 여전히 꼿꼿이 서 있었으며 협객이 그에게 반드시 약속을 지키겠다는 맹세를 하고 나서야 비로소 시체가 쓰러졌다.

협객은 적비의 몸을 묻어준 후, 초왕에게 가 그의 목을 내놓으면서 적비를 해치웠다고 말했고, 원한을 없애야 한다며 솥에 적비의 머리를 끓이게 했다. 그럼에도 사흘이 지나도 머리가 문드러지지 않고 둥둥 떠있어 협객은 왕이 살펴보아야 한다며 솥에 접근하게 했다. 왕이 솥에 접근한 바로 그 때 협객은 몸을 날려 초왕의 목을 쳐 솥에 넣었다. 놀란 군사들이 달려들려 하자 협객은 자신의 머리도 베어 솥에 빠뜨렸다. 그리하여 솥에 세 개의 머리가 삶아져서 누구의 것인지 분간할 길이 없어 신하들은 난처해졌다. 그런 와중에 무당이 원수를 갚기 위해서 자신의 목을 자른 적비와 자기 목숨을 걸고 원수를 갚은 협객의 의를 생각해서 왕과 함께 장사를 지내라 하여 장사를 지낸 다음 한 곳에 묻은 이 묘를 삼왕묘(三王墓)라고 이름지었다고 전해지며 지금의 여남군 북쪽 의남현에 존재한다고 한다.

3. 2차 창작물에서

두 개의 검이 별개의 검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만 서술.
  • 드라마 삼국에서 칠보도의 기원을 이야기할 때도 언급된다.
  • 이문열 초한지에서는 항우가 한창 승승장구할때 이 검을 얻는다고 나온다. 나중에 전설의 검을 얻었다는 소문이 퍼지자 항우는 진짜면 좋고 아니어도 사기를 위해 그냥 소문이 퍼지게 놔두면 그만이라 여겼다. 근데 간장 막야를 본 노나라 사신이 오나라가 멸망할거라 예견했던 걸 생각하면 그 검을 가지게 된 것이 오히려 안좋은 복선이었을지도 모른다.
  • 가면라이더 가이무의 등장 라이더인 류겐의 머리를 이루는 부분인 소룡면에 간장아와 막야석이라는 이름의 구조부분이 있다.
  • 던전앤파이터에서는 에픽 대검 '양검 간장'과 에픽 소검 '음검 막야'로 나왔다. 전설을 따서 파티원 중 두 무기를 가진 사람에겐 시너지 버프를 준다. 자세한 건 대검(던전 앤 파이터) 소검(던전 앤 파이터) 참고.
  • 루쉰도 이 이야기로 <주검(鑄劍, 벼린 검)>이라는 소설을 쓴 바 있다. 국내 번역본 중에는 제목이 '검을 벼린 이야기', '도공의 복수'라고 의역 또는 아예 바뀐 판본도 있다. 이 작품에서는 아들의 이름으로 적비 대신 미간척이란 이름을 쓴다. 미간척을 대신해 복수를 수행해주는 무사(작중에서는 '문문향 출신의 연지오자'라는 이름이다)의 광기어린 면모가 일품. 국내에서 연극으로 상연된 적도 있다. 끓는 솥 안에서도 세 머리가 치열하게 물고 뜯고 싸우는 모습의 묘사가 충격과 공포.
  • 신조협려에선 군자검과 숙녀검을 설명할때 간장막야 이야기가 나왔다.
  • 요괴소년 호야에서도 요괴의 창을 만드는 이야기 도중에 간장·막야 이야기가 나왔다. 고대 중국에 만들어졌으며, 완성을 못 하다가 제작자의 가족이 자신을 바쳐 완성시킨 점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 이터널 리턴에서는 전설 무기로 등장한다. 전설 무기답게 강력한 깡딜과 사거리 증가 옵션이 붙어있어 쌍검의 단점인 낮은 사거리를 보완해준다.
  • 태합입지전5에서 어전무술시합 우승상품중 하나. 검중에선 무력이 제일 높다.
  • 판타시 스타 포터블 시리즈 2편에서 이 버전의 간장 막야가 콜라보레이션 아이템으로 등장한다. 어디까지나 취미용 아이템이라 성능은 평균.
  • 날아라 슈퍼보드 -환상서유기-에서도 복면남자 전용 무기로 등장. 초반에 폐허가 된 아스람에서 막야(검)를 구매할 수 있는데, 아이템 툴팁은 버리지 말라는 떡밥을 남겨둔다. 이후 북주 화산에서 간장(액세서리)을 습득하여 부부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면남자는 부부검을 갖추면(ATT 498, AP 4 등등) 쌍검으로 공격하는데, 앞에 세 칸을 공격할 수 있다.
간장: ATT 470, DEF 100, DEX 8, INT 3, LUCK 5, AP 3 (남편검. 간장, 막야 부부가 함께 만든 검. 부부쌍검 공격 유효) ||
  • 악비를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인 설악전전에서는 악비가 담로의 내역을 설명하는데 왠지 이야기는 간장 막야의 이야기를 조금 비튼 것이다.
  • 대만의 무협게임 풍운(風雲之天下會)에서 간장과 막야의 이벤트가 있다. 주인공 보경운이 능운굴에서 얻은 간장(干將)이 한산파에서 동영 세력의 봉월뇌장(峰月雷藏)이 든 막야와 부딪혀 파괴된다. 다만 한국어판에서 우장으로 표기되는데, 번역자(방패 간)과 (어조사 우)를 혼동한 것 같다.
  • 네이버 웹툰 무사만리행 180화에서 라에투스가 소장중이던 골동품으로 등장. 그리고 후술하는 Fate 간장막야가 너무 유명한 탓에 관련 드립이 당연히 나왔다. 콤모두스 황제를 시해하기로 결심한 라에투스가 이에 동참하기로 한 나루에게 양도했다. 간장 막야를 제대로 발음하기 어려워 하는 라에투스는 덤. 진품인지 모조품인지는 알 수 없으나 상당한 명검인 것은 분명하며 나루는 '보물'창고에 처박혀 있기엔 아까운 '무기'라고 평가, 황제와의 결전에서 매우 요긴하게 잘 사용한다.

3.1. Fate 시리즈 보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간장·막야(Fate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



[1] 다른 설로는 아내 막야가 자신의 음모를 넣었다고도 한다. [2] 용광로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제철을 위해서 철광석 이외에 뭔가 더 넣긴 넣어야 되는데, 뭘 넣을지 몰라서 이것저것 마구 넣다보니 만들어졌을지도 모른다. 청동기문화에서 본격 철기문화로 접어드는 장면이다. [3] 합려는 막야를 보고는 대단히 흡족해했지만, 월나라에 가서 이보다 더 좋은 칼을 만들까 두려워하여 간장의 목을 쳐버렸다고도 한다. [4] 위앤커의 저서에 의하면, 이 칼을 만드는 데 쓰인 철은 초왕의 왕비가 여름날 더위 때문에 무쇠 기둥을 끌어안았다가 갑자기 임신한 뒤 낳은 철로 된 토끼 같은 괴동물이라고 한다. 재료부터 비범한 검.... 이 설화를 바탕으로 한 루쉰의 단편소설에서는 괴동물 대신 투명하고 푸르스름한 쇳덩이를 낳았다고 나온다. [5] 미간이 넓어 미간척이라는 이름의 버전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