稻 벼 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禾,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고등학교
|
3급
|
||||||
稲
|
|||||||
일본어 음독
|
トウ
|
||||||
일본어 훈독
|
いね, (いな)
|
||||||
-
|
|||||||
표준 중국어
|
d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稻는 '벼 도'라는 한자로, ' 벼'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벼 |
음 | 도 | |
중국어 | 표준어 | dào |
광동어 | dou6 | |
객가어 | tho | |
민북어 | tāu | |
민동어 | dô̤[文] / dêu[白] | |
민남어 | tō[文] / tiū[白] | |
오어 | dau (T3) | |
일본어 | 음독 | トウ |
훈독 | いね, (いな) | |
베트남어 | đạo |
유니코드에는 U+7A3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DBHX(竹木月竹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舀(퍼낼 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갱도( 秔稻/ 粳稻)
- 건도( 乾稻)
- 공도( 公稻)
- 도고(稻 藁)
- 도급기(稻 扱 機)
- 도묘(稻 苗)
- 도미(稻 米)
- 도손(稻 孫)
- 도식(稻 植)
- 도열병(稻 熱 病)
- 도작(稻 作)
- 도전(稻 田)
- 도충(稻 蟲)
- 매전매답 욕끽도반( 賣 田 買 畓 欲 喫稻 飯)
- 산도( 山稻)
- 수도( 水稻)
- 신도주( 新稻 酒)
- 앙도( 秧稻)
- 전도( 田稻)
- 제덕도반( 祭 德稻 飯)
- 종도( 種稻)
- 주여도반( 走 與稻 飯)
- 중도( 中稻)
- 한도( 旱稻)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니토베 이나조( 新 渡 戸 稲 造)
- 니토베 이나키치( 新 渡 米 稲 吉)
- 아마이나리 코테츠( 天稲 荷 コテツ)
- 아사누마 이네지로( 浅 沼 稲 次 郎)
- 이나가(稲 賀)
- 이나게 나츠(稲 毛 夏)
- 이나기 타다야스(稲 城 忠 保)
- 이나미네 카즈이치(稲 嶺 和 市)
- 이나바 마나카(稲 場 愛 香)
- 이나바 아츠노리(稲 葉 篤 紀)
- 이나바 쿠모리(稲 葉 曇)
- 이나바 유우(稲 葉 友)
- 이나자키 로빈(稲 崎 露 敏)
3.4. 지명
- 한국
- 중국
- 일본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轁(가기힘들 감, 감출 도)
- 塪(구덩이 감)[5]
- 㗖(먹을 담)
- 韜(감출 도)
- 鞱(감출/활집 도)
- 槄(개오동나무 도)
- 𦗌[⿰耳舀](귀이개 도)
- 慆(기뻐할 도)
- 搯(꺼낼 도)
- 縚(끈 도)
- 饀(떡소 도)
- 滔(물넘칠 도)
- 𦩹[⿰舟舀](배 도/요)[6]
- 蹈(밟을 도)
- 嫍(여자의자 도)
- 䵚(옥수수 도)
- 瑫(옥이름 도)
- 謟(의심할 도)
- 𩥅(천천히가는모양 도)
- 幍(칼전대 도, 모자 흡)
- 䤾(함 도)
- 𠋯[⿰亻舀](웅대할 빌, 많고클 필)
- 熖(불꽃 염)[7]
- 𠮐[⿰叕舀](병아리소리 출)
- 𨢝[⿰酉舀](떡소 함)[8]
- 䧟(빠질 함)[9]
- 𡺫[⿰山舀]
- 𭗧[⿰岸舀]
- 𭧏[⿰日舀]
- 𰗋[⿰月舀]
- 𥛗[⿰示舀]
- 𥔿
- 𥉰[⿰目舀]
- 𭻷[⿰留舀]
- 𲀾[⿰衤舀]
- 𮇷[⿰米舀]
- 𬚁[⿰善舀]
- 𩹴[⿰魚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