擁 낄 옹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ヨウ
|
||||||
일본어 훈독
|
いだ-く, だ-く, まも-る
|
||||||
拥
|
|||||||
표준 중국어
|
yōng, yǒ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擁은 '낄 옹'이라는 한자로, '끼다', '끌어안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끼다 |
음 | 옹 | |
중국어 | 표준어 | yōng[1], yǒng[2] |
광동어 | jung2 | |
객가어 | yúng | |
민북어 | ě̤ng | |
민동어 | ṳ̆ng[文] / é̤ṳng[白] | |
민남어 | ióng | |
오어 | ion (T2) | |
일본어 | 음독 | ヨウ |
훈독 | いだ-く, だ-く, まも-る | |
베트남어 | ủng |
유니코드에는 U+64C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YVG(手卜女土)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雍(화할 옹)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𤢐[⿰犭雍](길들지않을 앙)
- 㒕(뻣뻣할 앙)
- 𩏨[⿰韋雍]/ 𩍓[⿰革雍](가죽신 옹)
- 𢢓[⿰忄雍](근심할 옹)
- 澭(내이름 옹)
- 㙲(막을 옹)[5]
- 𧝸[⿰衤雍](버선 옹)
- 臃(부스럼 옹)
- 𡗌[⿰多雍](성하게많을 옹)
- 噰(새소리 옹)
- 𩟀[⿰𩙿雍](아침밥 옹)[6]
- 𧒱[⿰虫雍](옴벌레 옹)[7]
- 𪖿[⿰鼻雍](코막힐 옹)[8]
- 𧴗[⿰豸雍](큰원숭이 옹)
- 𭬎[⿰木雍]
- 𥀪[⿰皮雍]
- 𬬑[⿰金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