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02:17:02

언리얼 시리즈

파일:attachment/언리얼 시리즈/unrealseries.jpg

1. 개요2. 출시된 언리얼 게임 시리즈 목록
2.1. 언리얼 싱글플레이 시리즈2.2. 언리얼 토너먼트 시리즈2.3. 언리얼 챔피언십 시리즈
3. 합본 패키지
3.1. 토탈리 언리얼 (북미 이외 지역)3.2. 토탈리 언리얼 (북미 지역)3.3. 토탈리 언리얼: 아타리 히어로즈 에디션 (호주 지역)3.4. 언리얼 토너먼트 2003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 골드 에디션 더블 게임 팩3.5. 언리얼 앤솔로지 (독일 이외 지역 출시 버전)3.6. 언리얼 앤솔로지 (독일 지역 출시 버전)3.7. 언리얼 유니버스 골드 콜렉션
4. ESD 출시
4.1. 스팀4.2. GOG.com
5. 개발 취소된 언리얼 게임 목록
5.1. 게임기 이식 취소 언리얼 게임5.2. 언리얼 워페어 (Windows)5.3. 언리얼 어썰트 (PlayStation 2)5.4. 언리얼 토너먼트 리부트 (Windows)
6. 관련 문서 및 외부 링크7. 멀티플레이 서버 폐쇄 및 디지털 상점 판매 중단8. 기타

1. 개요

1998년 첫 작품이 출시된 에픽게임즈 FPS 게임 시리즈로, 싱글플레이 중심의 언리얼 시리즈와 멀티플레이 중심의 언리얼 토너먼트 시리즈, 그리고 Xbox 전용으로 출시된 언리얼 챔피언십 시리즈가 있다.

언리얼 시리즈는 우수한 그래픽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특히 1999년 출시한 언리얼 토너먼트는 퀘이크 3와 더불어 아레나 FPS 양대산맥으로 꼽히며 많은 인기를 구가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빠른 슈팅 스타일의 하이퍼 FPS가 비주류로 밀려나면서 언리얼 시리즈의 인기도 언리얼 토너먼트 3를 마지막으로 개발되지 않고 2010년대 중반 이후로 언리얼 시리즈는 잊혀진 프랜차이즈가 되었다. 오늘날 언리얼이라는 명칭은 게임 언리얼 시리즈가 아닌, 실시간 3D 그래픽 창작 툴인 언리얼 엔진으로 통한다.

2. 출시된 언리얼 게임 시리즈 목록

2.1. 언리얼 싱글플레이 시리즈

2.2. 언리얼 토너먼트 시리즈

2.3. 언리얼 챔피언십 시리즈


3. 합본 패키지

3.1. 토탈리 언리얼 (북미 이외 지역)

토탈리 언리얼은 크게 세 가지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2001년 6월 10일, 한국을 포함하여 유럽 등 북미를 제하고 각지에서 먼저 출시된 버전은 언리얼과 리턴 투 나 팔리, 언리얼 토너먼트 모두 최신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최초 출시 버전이며, 언리얼 토너먼트는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도 아니기 때문에 언리얼 토너먼트 CD 2에 담긴 콘텐츠는 고해상도 텍스처뿐이고, 로켓 아레나 UT와 카오스UT가 담겨 있지 않다.

패키지에 박스 자체에도 최초 출시 버전의 패키지 사진이 있다.

토탈리 언리얼 (북미 이외 지역 출시 버전) 구성
  • 첫 번째 CD - 언리얼[1]
  • 두 번째 CD - 언리얼 미션 팩 I: 리턴 투 나 팔리[2]
  • 세 번째 CD - 언리얼 토너먼트 CD 1[3]
  • 네 번째 CD - 언리얼 토너먼트 CD 2[4]

3.2. 토탈리 언리얼 (북미 지역)

2001년 8월 29일, 북미 지역에 출시된 버전은 언리얼과 리턴 투 나 팔리가 언리얼 골드 CD 1장에 담겨 있기 때문에 남는 한장의 CD는 언리얼 II 및 언리얼 침피언십의 프리뷰 CD로 구성되었으며, 언리얼 토너먼트는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버전으로 담겨 있다.
토탈리 언리얼 (북미 지역 출시 버전) 구성
  • 첫 번째 CD - 언리얼 골드[5]
  • 두 번째 CD -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CD 1[6]
  • 세 번째 CD -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CD 2[7]
  • 네 번째 CD - 언리얼 II와 언리얼 챔피언십 프리뷰 CD[8]

3.3. 토탈리 언리얼: 아타리 히어로즈 에디션 (호주 지역)

2003년에 호주 지역에만 재출시한 버전은 북미 버전과 같으나, 이미 언리얼 챔피언십과 언리얼 II가 출시된 시점이기 때문에 네 번째 CD에 언리얼 II 및 언리얼 챔피언십의 프리뷰 대신 아타리 히어로즈 데모 게임들이 들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토탈리 언리얼: 아타리 히어로즈 에디션 구성
  • 첫 번째 CD - 언리얼 골드
  • 두 번째 CD -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CD 1
  • 세 번째 CD -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CD 2
  • 네 번째 CD - 아타리 히어로즈 게임들의 데모 CD[9]

3.4. 언리얼 토너먼트 2003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 골드 에디션 더블 게임 팩

언리얼 토너먼트 2003과 언리얼 II를 하나로 묶어서 판매한 패키지다.

패키지를 개봉하면 언리얼 토너먼트 2003 패키지 박스에 담겨 있는 CD 케이스와 메뉴얼, 언리얼 2 패키지 박스에 담겨 있는 CD 케이스와 메뉴얼이 그대로 들어있다.

단순히 두 개의 패키지 박스에 담긴 내용물을 하나의 패키지 박스에 담은 것과 불과하다.

3.5. 언리얼 앤솔로지 (독일 이외 지역 출시 버전)

2004년을 마지막으로 아타리와 언리얼 시리즈 유통 계약을 종료하고 미드웨이와 언리얼 시리즈 유통 계약을 체결한 뒤 2005년에 언리얼 챔피언십 2를 출시했고 2007년에 언리얼 토너먼트 3를 출시하기로 예정된 중간인 2006년 8월에 언리얼 토너먼트 2004도 미드웨이를 통해 재출시했는데, 출시된지 2년이 넘은 게임이 여전히 높은 판매고를 올리자 기존에 출시됐던 모든 PC용 언리얼 시리즈들을 미드웨이를 통해 재출시하기 위해 합본 패키지로 만들어 출시했다.

유통사가 아타리에서 미드웨이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2006년 재출시판처럼 언리얼 골드,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언리얼 2에도 게임 시작 시 출력되는 스플래시 이미지 및 게임 메뉴나 크레딧 등에 표기된 아타리 로고와 문구 등이 모두 제거했고, 에픽 게임즈의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 스타일로 변경되어 있다.

2006년 10월 31일 출시된 미드웨이를 통해 언리얼 앤솔로지는 게임이 담긴 DVD 1장과 음악 CD 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중에 스팀과 GOG로 츨시된 언리얼 시리즈도 이 언리얼 앤솔로지에 출시된 미드웨이 출시 버전을 기반으로 했다.

언리얼 2를 제외한 나머지 게임들은 원래 설치 시 언리얼 엔진 인스톨러를 활용했었으나,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2006년 재출시판처럼 언리얼 앤솔로지도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일반 윈도우 인스톨쉴드[10]를 사용하고, 체크 박스를 통해 4개의 게임들을 각각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DVD에 담긴 내용 및 기존 대비 변경점
  • 언리얼 골드[11]
    • 언리얼의 성 날아다니기 타이틀 데모 맵에서 좌측에 출력되는 개발, 유통사 로고 중 GT 인터랙티브 로고가 삭제되었다.
    • 리턴 투 나 팔리의 성 날아다니기 타이틀 데모 맵에서 좌측에 출력되는 개발, 유통사 로고 중 인포그램즈 로고가 삭제되었다.
  •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12]
    • 언리얼 토너먼트 최종 공식 패치인 436 버전이 적용되어 있다.
    • 게임 실행 시 출력되는 5개의 스플래시 이미지[13]에서 아타리 로고가 삭제되었고, 에픽 게임즈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로 변경되었다.
    • 도시 날아다니기 타이틀 맵에서 지하도를 빠져나간 후에 언리얼 토너먼트 우승컵 로고 아래쪽에 디지털 익스트림즈(좌측), 에픽 게임즈(중간), 인포그램즈(우측) 로고가 있는 부분이 에픽 게임즈(좌측), 디지털 익스트림즈(중간), 에픽 게임즈(우측)로 변경되었다.
    • CD 2번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고해상도 텍스처와 유저 제작 MOD 2개(로켓 아레나 UT, 카오스UT)가 없다.[14]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15]
    • 첫 번째 공식 패치이자 최종 패치인 v1403(언리얼 엔진 2 v2001) 버전이 적용되어 있다.
    • 게임 실행 시 출력되는 13개의 스플래시 이미지[16]에서 아타리 로고가 삭제되었고, 에픽 게임즈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로 변경되었다.
    • 언리얼 에디터 실행 시 출력되는 1개의 스플래시 이미지에서 아타리 로고가 삭제되었고, 에픽 게임즈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로 변경되었다.
    • 스페셜 에디션이 아니므로, XMP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2006년 재출시판
    • 최종 패치인 3369 버전이 적용되어 있다.
    • 메가팩(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의 모든 추가 콘텐츠 + 9개 새로운 맵)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다.
    • Windows XP 보너스 맵 2개(ONS-Aridoom, ONS-Ascendancy)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인터넷에서 무료 다운로드 받아 적용할 수 있다.
    • 게임 실행 시 스플래시 화면에 아타리 로고가 삭제되었고, 에픽 게임즈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로 변경되었다.[17]
    • 처음 게임 시작 시 나오는 엔비디아 3D 로고는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의 금색 빛깔이 아닌, 첫 출시 버전과 같은 흰색이다. 텍스처 폴더에 있는 NvidiaLogo_T.utx 텍스처 패키지 파일 자체가 첫 출시 버전의 파일이다.
    • 3D 모델로 나오는 엔비디아 로고 후에 나오는 에픽 게임즈, 디지털 익스트림즈, 아타리 로고가 화면을 가득 채우는 이미지[18] 대신 2006년 당시 최신 에픽 게임즈 로고와 디지털 익스트림즈 로고, 그리고 기타 저작권 문구가 나오는 이미지[19]으로 대체되었다.
    • 첫 출시 버전의 CD 6,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의 CD 7에 들어 있던 카르마 물리 엔진 툴(KAT), 캐릭터 텍스처 툴(uPaint) 및 uPaint에서 활용할 메쉬 및 텍스처 파일들이 들어있지 않다.[20]
    •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CD/DVD에 담겨 있던 유저 제작 MOD 11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21]

음악 CD (A History of Unreal Music) 수록곡
  • 언리얼 음악 6곡
    • Flight Castle (0:51)
    • Shared Dig (2:34)
    • Dusk Horizon (2:31)
    • Bluff Eversmoking (3:57)
    • Isotoxin (4:09)
    • Unreal Temple (Crypt) (4:12)
  • 언리얼 미션 팩 I: 리턴 투 나 팔리 음악 1곡
    • Black Wind (3:10)
  • 언리얼 토너먼트 음악 8곡
    • Unreal Tournament Menu (2:00)
    • Foregone Destruction (4:11)
    • Go Down (3:00)
    • Botpack Nine (4:49)
    • Mechanism Eight (6:12)
    • Skyward Fire (4:56)
    • Razorback (4:49)
    • The Course (4:28)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음악 8곡
    • UTMenu Redux (4:14)
    • Ghost of Anubis (2:01)
    • Infernal Realm (1:59)
    • Assault (1:59)
    • Arena (0:53)
    • From Below (1:59)
    • Sniper Time (2:00)
    • Onslaught One (3:48)

위와 같이 총 23곡이 CD 오디오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다.

3.6. 언리얼 앤솔로지 (독일 지역 출시 버전)

독일 지역에 출시된 버전은 검열 문제로 오리지널 언리얼 토너먼트가 제외되어 있다.

DVD 1장에 3개의 게임들(언리얼 골드, 언리얼 2, 언리얼 토너먼트 2004)만 포함되어 있다.

3개 게임들은 독일 이외 지역 출시 버전과 동일하게 최종 버전 패치 적용, 에픽 게임즈 로고 최신화 및 기존 유통사 로고(GT 인터랙티브, 인포그램즈, 아타리) 삭제가 적용되어 있으며, 기존 독일 출시판처럼 검열 문제로 고어 모드에 락을 걸어 놓은 버전이다.

23곡이 담긴 음악 CD는 이외 지역 출시 버전과 동일하게 들어 있다.

3.7. 언리얼 유니버스 골드 콜렉션

언리얼 앤솔로지 DVD 케이스와, 언리얼 토너먼트 3 일반판 DVD 케이스를 하나의 박스로 포장한 제품이다.

언리얼 앤솔로지 DVD 케이스에는 언리얼 앤솔로지 게임 DVD와 음악 CD가 담겨 있고, 언리얼 토너먼트 3 DVD 케이스에는 언리얼 토너먼트 3 DVD가 담겨 있다.

"언리얼 토너먼트 2003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 골드 에디션 더블 게임 팩"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각각 다른 두 개의 패키지에 담긴 DVD 케이스를 하나의 박스에 담았을 뿐이다.

4. ESD 출시

4.1. 스팀

2008년 3월 18일, 스팀에 5개의 PC용 언리얼 시리즈들을 출시했다.

그리고 각각 개별로 구매하는 가격보다 약간 할인된 가격으로 5개 게임응 한꺼번에 구매 할 수 있는 언리얼 딜 팩이라는 묶음도 언리얼 시리즈를 스팀에 출시하면서 동시에 나왔다.
  • 언리얼 골드
    •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동일하나, 텍스처 폴더에 있는 Credits.utx 패키지 파일 내용 중 디지털 익스트림즈 로고 이미지가 있던 자리에 전체가 검정색으로 처리된 차이점이 있다.
  •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완전히 동일하게 CD 2번의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고해상도 텍스처와 로켓 아레나 UT, 카오스UT가 제외되어 있다.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완전히 동일하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 2006년 재출시판이다. 즉, 이것도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완전히 동일하다.
  • 언리얼 토너먼트 3

4.2. GOG.com

2008년 11월 18일 GOG.com에도 언리얼 시리즈들이 등록되었다. 스팀과 다르게 언리얼 토너먼트 3를 제외하고 4개의 게임들이 출시되었다.
  • 언리얼 골드
    • 스팀괴 동일하게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동일하나, 텍스처 폴더에 있는 Credits.utx 패키지 파일 내용 중 디지털 익스트림즈 로고 이미지가 있던 자리에 전체가 검정색으로 처리되어 있다.
  •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 역시 스팀과 동일하다.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완전히 동일하게 CD 2번의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고해상도 텍스처와 로켓 아레나 UT, 카오스UT가 제외되어 있다.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스페셜 에디션
    • 스팀은 일반판이라서 XMP가 없지만, GOG에서는 스페셜 에디션이기 때문에 XMP가 포함되어 있다. 싱글플레이 언리얼 2는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완전히 동일하며, XMP는 기존 스페셜 에디션 패키지에 있는 것과 동일하게 첫 번째 공식 패치이자 최종 패치인 v7710(언리얼 엔진 2 v2226)이 적용되어 있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 스팀과 마친가지로 2006년 재출시판이며, 언리얼 앤솔로지에 담긴 버전과 완전히 동일하다.

5. 개발 취소된 언리얼 게임 목록

5.1. 게임기 이식 취소 언리얼 게임

  • 언리얼 (PlayStation): 언리얼 정식 출시전부터 Pterodactyl Software에 의해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이식 작업을 하고 있었으나 취소되었다.
  • 언리얼 64 (Nintendo 64)[22]: 언리얼이 한참 개발 도중인 1996년 레밍즈 시리즈로 유명한 DMA Design에 의해 닌텐도 64로 이식 작업을 시작했으나 취소되었다.
  • 언리얼 (Dreamcast): 에픽게임즈에서 직접 드림캐스트로 이식 작업을 하고 있었으나 이식을 지원하던 GT 인터랙티브가 재정적인 어려움에 빠지면서 이식이 취소되었다.
  • 언리얼 토너먼트 (PlayStation): 초대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이식 작업 도중 기기의 성능 제한으로 이식을 포기하고 취소되었다.

5.2. 언리얼 워페어 (Windows)

언리얼 토너먼트 출시 전 시점에서 이미 싱글플레이어 게임 언리얼의 후속작 언리얼 2는 레전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을 전담하도록 맡겨 둔 상태였고, 멀티플레이어 위주의 언리얼 토너먼트가 원작 언리얼보다도 더 크게 성공하자, 에픽게임즈는 또 다시 멀티플레이어 위주에 이번에는 팀 기반의 게임으로 기획하여 개발한다.

에픽게임즈는 언리얼 토너먼트 출시 후 언리얼 토너먼트의 무료 보너스팩과 함께 언리얼 엔진의 업그레이드에만 집중하고 있었다. 약 1년이 지나고 언리얼 엔진의 차세대 업그레이드가 어느정도 모습을 갖추면서 2001년 1월부터 신작 게임의 개발을 시작하며 제목을 언리얼 워페어라고 정한다.

2001년 1월 30일, 차세대 언리얼 엔진[23]의 공식적인 첫번째 버전으로 빌드 633이 언리얼 워페어 엔진이라고 불렸는데, 처음에는 이것이 게임 제목이라고 발표하지 않아서 언리얼 워페어가 단순한 엔진의 명칭인지 게임의 제목인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었다. 그러나 얼마 후 에픽게임즈의 부사장 마크 레인이 언리얼 워페어는 에픽게임즈가 직접 개발하는 게임의 제목이라고 언급하여 게임 제목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2002년 3월에 열린 GDC 2002에서 공개한 언리얼 엔진 기술 데모 영상을 통해 언리얼 엔진의 여러가지 발전된 모습을 보여줬는데, 이 때 시연한 영상에는 언리얼 워페어라는 단어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그것이 언리얼 워페어의 영상이라는 점은 쉽게 예측할 수 있었다.

디지털 익스트림즈는 이 언리얼 워페어 엔진을 통해 언리얼 챔피언십이라는 Xbox 전용 게임을 개발하고 있었고 언리얼 2는 레전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고 있으므로, 더 이상 디지털 익스트림즈와의 합작이 아닌 에픽게임즈 단독으로 언리얼 워페어를 개발했다.

하지만 언리얼 챔피언십의 PC 이식 버전인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개발을 디지털 익스트림즈에서 에픽게임즈로 이전하면서 언리얼 워페어의 개발을 잠정 중단했다가, 언리얼 토너먼트 2003 완성 후 언리얼 토너먼트 2004를 개발하게 되면서 결국 언리얼 워페어의 개발을 완전히 취소한다.

나중에 언리얼 엔진 3로 개발된 기어스 오브 워에 일부 콘셉트가 사용되었는데, COG 마크, 폐허가 된 도시, 노란색의 이멀젼, 엄폐, 분대, 유사인류, 그들의 문양, 지하동굴, 근접격투, 처형 등의 상당히 유사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개발과정상 기어스 오브 워의 개발 시작점은 언리얼 워페어라고 볼 수 있으나, 최종적으로는 일부 콘셉트만 유사할 뿐, 언리얼 워페어는 팀플레이 중심에 차량 기반의 FPS 게임으로 개발되고 있었으니 게임의 장르나 전반적인 구상 자체가 다르며, 일부 유사한 콘셉트도 단지 적은 부분의 콘셉트일뿐, 세부 설정 등도 다르고 그 콘셉트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애셋도 완전히 다르므로 언리얼 워페어가 제목만 바꿔서 기어스 오브 워로 출시됐다고 볼 수는 없다. 엄밀히 말한다면 개발 취소된 언리얼 워페어와 기어스 오브 워는 크게 상관없는 전혀 다른 게임이다.

5.3. 언리얼 어썰트 (PlayStation 2)

언리얼 엔진 2의 플레이스테이션 2 및 게임큐브 이식을 담당한 외주 개발사 Secret Level에 의해 개발되던 신작 게임이나, 개발한지 얼마 안 되어 취소되었다.

5.4. 언리얼 토너먼트 리부트 (Windows)

2010년대는 카운터 스트라이크, 배틀필드, 콜 오브 듀티 같은 밀리터리 FPS 게임들이 꽉 잡고 있던 시대였지만, 2013년 즈음에는 슬슬 고전 FPS들이 서서히 재조명되기 시작한다. 그것을 의식했는지 에픽게임즈에서는 초대 언리얼 토너먼트를 리메이크 하는 차원에서 새로운 언리얼 토너먼트를 제작하겠다고 발표하였다. 팬덤에서는 리부트이긴 하나 편의상 언리얼 토너먼트 4(Unreal Tournament 4)로 구분한다.

2014년 5월 9일에 제작을 발표[24]하였으며 제작하는 방식도 참 파격적인데, 개발자와 포럼에서 활동하는 유저들과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식이다. 즉 포럼에서 단순히 유저가 개발자에게 피드백을 넘기는 수준을 넘어서 유저가 만든 맵이나 게임 모드를 자유롭게 투고할 수도 있다! 유튜브 채널에서 개발진척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언리얼 엔진 4 라이선스에 가입되어 있는 계정이 있을 경우 GitHub를 통해 본작의 프로젝트까지 내려받을 수 있다.

2014년 8월 13일부로 프리알파 빌드가 배포되었다.

이후로 소식이 잦아든것같지만, 에픽게임즈 스토어 출범 이후 무료 게임으로 본작의 개발판이 배포중이다.

그러나 결국 완성되지 못하고 결국 버려졌다. 2018년 하반기에 포트나이트의 성공이 확실시되자 에픽에서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기어즈 오브 워 3편 이후 늘어나는 개발비에 부담을 느끼던 에픽은 AAA급 게임 개발에 회의감을 가지고 있었는데, 개발비를 줄이기 위해 커뮤니티의 참여를 받는 형식으로 언리얼 토너먼트 리부트를 개발해 보려 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개발은 지지부진할 수 밖에 없었고 유저들의 반응도 미적지근해 결국 버려졌다.

허나 2020년 다시 에픽게임즈 스토어에서 상시 무료 게임으로 배포중인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지원은 여전히 종료되었으며, 마지막 업데이트인 0.1.12는 2017년 6월 경에 이루어졌다. 이후 2023년 1월 24일 다른 오래된 게임들과 함께 서비스를 종료했다. #

6. 관련 문서 및 외부 링크

7. 멀티플레이 서버 폐쇄 및 디지털 상점 판매 중단

2022년 12월 19일, 에픽게임즈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에게 부모 동의 없이 13세 미만 아동의 무단 게임 서비스 가입을 허용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문자, 음성 채팅을 허용하고 결제를 유도해 아동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법(COPPA)을 위반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에픽게임즈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와 기소 유예 합의 조건으로 2억 7천만 달러의 벌금과 2억 4500만 달러 환불 및 연령 확인 시스템 구축, 연령 미확인 계정 및 부모 미동의 아동 계정의 개인정보 삭제, 아동 계정의 문자, 음성 채팅 금지 기능을 넣기로 했다. #

에픽게임즈는 합의 내용을 포트나이트에는 적용했으나 옛 게임들에 적용하기에는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는지 합의서 발표 직전인 2022년 12월 14일, 에픽게임즈는 언리얼 시리즈 및 자회사 하모닉스가 서비스하는 옛 게임들의 멀티플레이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다. # 2023년 1월 24일, 에픽게임즈는 모든 언리얼 시리즈의 디지털 상점(스팀, GOG, 에픽 게임즈 스토어[25]) 판매를 중단하고 멀티플레이 마스터 서버를 껐다. 그러나 커뮤니티에서 운영하는 마스터 서버를 통해 계속 플레이할 수 있다.

8. 기타

  • 언리얼 시리즈의 로켓 런처, 플랙 캐논, 쇼크 라이플이 디지털 익스트림즈의 TPS 온라인 게임인 Warframe에 각각 오그리스, 드락군, 스탈타의 스킨으로 등장하였다. 3D 모델은 결과적으로 개발이 취소된 언리얼 토너먼트 리부트에서 가져왔다.

    이는 2020년 12월 11일에 Warframe의 에픽게임즈 스토어 서비스 진출을 기념하여 동년 동월 24일까지 번들(애드온) 형식으로 얻을 수 있었다.


[1] 최종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최초 출시된 200 버전이다. [2] 최종 패치가 적용되지 않고 224 버전이 적용되어 있는 리턴 투 나 팔리 최초 출시 버전이다. [3] 최종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최초 출시된 400 버전이다. [4]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버전이 아닌 최초 출시 버전으로, 고해상도 텍스처만 있고 로켓 아레나 UT와 카오스UT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5] 변경사항 없이 226b 버전이 적용된 언리얼 골드 원본 CD가 그대로 담겨 있다. [6] 변경사항 없이 432 버전이 적용되어 있는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원본 CD가 그대로 담겨 있다. [7] 변경사항 없이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CD 2번이 그대로 담겨 있으므로 고해상도 텍스처, 로켓 아레나 UT, 카오스UT가 담겨 있다. [8] 언리얼 II 및 언리얼 챔피언십의 스크린샷, 동영상, 콘셉트 아트, 바탕화면 배경 등이 들어 있다. 그리고 언리얼 토너먼트 보너스 팩 4 설치 파일과 언리얼 토너먼트 최종 패치인 436 버전 설치 파일이 들어 있다. 이 둘은 인터넷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한 것들이다. [9] 아타리 히어로즈 게임들의 데모가 담겨 있으며, 언리얼 토너먼트 보너스 팩 4 설치 파일과 언리얼 토너먼트 최종 패치인 436 버전 설치 파일은 두 번째 버전과 동일하게 들어 있다. [10] Data.cab 파일 등으로 구성된 설치 패키지 파일들이 있고, setup.exe로 실행되는 흔히 볼 수 있는 설치 방식 [11] 박스 이미지는 언리얼 오리지널 사진이다. 게임 설치 선택 창에서는 언리얼 골드로 표기되지 않고 Unreal & Return To Na Pali"로 표기되어 있으나, 설치 후 확인해보면 각각 별도 스탠드얼론으로 출시된 버전이 아닌, 언리얼 골드가 맞다. [12] CD 2번 콘텐츠가 제외되어 있어서 고해상도 텍스처가 없으며,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의 가장 큰 특징인 로켓 아레나 UT, 카오스UT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의 의미가 없다. [13] 실행할 때 마다 다른 이미지가 출력되는데 그 이미지가 각각 5개 존재한다. [14]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 패키지 발매 시 해당 MOD를 제작한 개발자들과 모종의 계약을 했었으나, 나중에는 계약이 만료되어 판매되는 제품에 유저 제작 MOD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없던 것으로 보인다. 모두 인터넷에서 무료 다운로드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15] XMP가 동봉된 스페셜 에디션이 아니다. 박스 표지에도 스페셜 에디션이 아닌 일반판 사진이 있다. [16] 실행할 때 마다 다른 이미지가 출력되는데 그 이미지가 각각 13개 존재한다. [17] 언리얼 II처럼 언리얼 에디터 실행 시 나오는 스플래시 이미지의 에픽 게임즈 로고는 최신 로고로 변경하지 않고 예전 로고를 그대로 두었다. [18] 텍스처 폴더에 NvidiaLogo_T.utx 패키지 내의 Logos에 있다. [19] 텍스처 폴더에 NvidiaLogo_2.utx라는 파일이 추가되었고 그 패키지 내에 하나의 큰 이미지 파일로 존재한다. [20] 이미 언리얼 엔진 3가 막 시용되고 있는 시점이었으니 더 이상 언리얼 엔진 2의 모딩은 권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해당 툴들을 패키지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21]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과 마찬가지로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패키지 발매 시 해당 MOD를 제작한 개발자들과 모종의 계약을 했었으나, 나중에는 계약이 만료되어 판매되는 제품에 유저 제작 MOD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없던 것으로 보인다. 모두 인터넷에서 무료 다운로드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22] 64DD 전용 [23] 언리얼 엔진 2 [24] 어느 정도 개발된 게임을 공개하는것이 아닌 순수 0%서 부터 개발이 시작 되었음을 발표한 것. [25] 언리얼 토너먼트 리부트는 에픽 게임즈 스토어에서 무료 배포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