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01 13:18:34

피처링

feat.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사례' 문단을 삭제하고\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사례' 문단을 삭제하고\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개요2. 역사3. 의미 확장4. 비슷한 표현5. 여담
[clearfix]

1. 개요

Featuring

가요에서 원래 가수가 아닌 다른 가수가 해당 곡의 특정 부분을 불러 주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것.

가수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또는 커다란 명성을 얻은 가수에게 피처링을 담당시켜 해당 가수의 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프로듀싱이 주가 되는 앨범이라면 거의 매 트랙이 피처링. 이나 보컬뿐 아니라 악기 연주 및 DJ 등 다른 분야에 피처링의 개념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 노래에 (feat. A) 또는 (ft. A)라고 붙어있는 노래가 피처링을 한 노래며, A 부분에 피처링을 담당한 아티스트를 표시한다.

2. 역사

피처링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중반 본래 영국의 음악 차트들에서 유래되었다고도 알려져 있지만 보다 엄밀한 의미로 피처링이 대중의 인식에서 등장하고 발전한 것은 1990년대부터이며, 힙합의 발전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1990년 7월 글렌 메데이로스가 부르고 바비 브라운이 랩을 맡은 < She Ain't Worth It>은 최초로 feat.라는 용어를 빌보드 1위에 등장시킨 곡으로 이전에도 피처링 곡은 여럿 있었지만 본격적인 의미에서 피처링 대상을 내세운 곡은 많지 않았다.

예컨대 1940년의 토미 도시 프랭크 시나트라가 만든 < I'll Never Smile Again>이었지만 당시엔 시나트라보다는 도시가 더 유명했기에 시나트라의 이름은 어디에도 올라와있지 않았다. 그나마 이러한 부분의 예외가 60년대의 비틀즈였는데 비틀즈는 1969년의 싱글 < Get Back>에 대해서 비틀즈와 빌리 프레스턴이라는 이름을 병기했다.[1]

이러한 부분이 변화한 건 80년대 힙합의 주류업계 진출과 큰 관련이 있는데 힙합분야는 다른 어떤 음악 장르보다도 래퍼와 프로듀서의 협력이 중요한 분야였기 때문에 이들이 서로의 이름 모두를 앨범에 명기하는 경향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랩과 팝 분야의 크로스오버 장르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아예 협업을 전제로 하는 곡들까지 나타나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이는 < She Ain't Worth It> 등의 곡이 차트 1위를 석권하면서 대중들에게 피처링이 강력하게 인식되게 되었다.

3. 의미 확장

2010년대 중반부터 한국에서는 일상적인 의미로 무언가가 해당 사건의 조연격으로 붙어나오는 경우에 피쳐링이란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4. 비슷한 표현

  • Narr.( 내레이션): 내레이션을 해준 사람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 Duet( 듀엣): 곡을 함께 부른 사람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 Prod.( 프로듀싱): 프로듀싱을 해준 사람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 With( 위드): 보컬/랩 등의 피쳐링 외에도 작사/작곡/편곡 등의 곡 작업을 같이 한 경우에 사용한다.
  • Vocal( 보컬): 작곡과 프로듀싱만 하고 보컬을 부르지 않은 싱어송라이터의 곡에 보컬을 맡아준 보컬리스트를 표기할 때 사용한다.

이 외에도 유명한 세션과 협업한 경우 Gt.(기타)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Duet이나 With 같은 경우엔 줄임말이 아님에도 .를 붙이는 경우가 자주 있다. 반대로 줄임말임에도 .를 안 붙이는 경우도 자주 있으며, Duet With 같은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는 등 개인마다 다 다르게 사용하는 일이 많다.

5. 여담

철저히 상업적인 이유로 '협업'을 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피처링은 정식으로 '비용'을 지불하지는 않는다. 피처링을 부탁한 당사자의 개인 신념이나 성격에 따라 '피처링비'를 따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친분 관계'를 통한 것이기 때문에 지불하지 않는 경우가 보통이다. 해석에 따라 논란이 될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위에도 언급했듯 '상업적인 이유로 협업'을 한 경우라면 당연히 피처링비 명목으로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고, 친분관계를 통해 피처링을 '받은' 경우라면 애초에 '거부권'을 행사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보통 따로 비용을 받지 않아도 넘어가는 편이다.[2]

성시경농담삼아 말하길 토이가 가요계를 다 망쳐놨다고...그리고 윤종신도 따라한다 카더라 싱어송라이터 조정치가 2집 타이틀을 본인이 부르지 않고 피처링으로( 정준일이 보컬을 맡았다.) 해결한 것에 대해, 조정치 본인과 이야기를 하다가 나온 발언. 성시경 스스로도 윤종신의 곡에 피처링을 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이기도 했다. 대신 윤종신을 2013년말 음악도시 종무식 사회자(?)로 세웠으니, 나름 상환받았을지도?

보통 힙합 가수들의 노래들에서 피처링은 다른 가수가 노래의 후렴구 보컬을 불러 주거나 다른 래퍼들이 랩을 작사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고, 힙합 가수들을 제외한 다른 가수들의 노래들에서 피처링은 다른 보컬이나 래퍼가 몇 소절을 불러주는 경우가 많다.

음성 합성 엔진 오리지널 곡의 경우 아티스트 표시를 '( 프로듀서 이름) (feat. (음성 합성 엔진 이름))'처럼 표시하는 경우가 간혹 있다.


[1] 다만 빌리 프레스턴의 사례는 빌리 프레스턴과 비틀즈의 관계가 매우 돈독했기에 나온 예외적인 사례에 가까웠고 비틀즈와 협업한 다른 아티스트들 또한 이런 기회를 얻을 수 있었던건 아니었다. [2] 다만 저작인접권에 의해 실연료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