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7 00:01:02

픽시즈

Pixies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냥코 대전쟁의 뽑기 시리즈에 대한 내용은 대정령 엘레멘탈 픽시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2 {{{#!folding [ 구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373a3c,#373a3c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

1988

1989

1990

1991

2014

2016

2019

2022
}}}}}}}}}}}}}}}}}} ||
픽시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rowcolor=#fff>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밥 딜런 롤링 스톤스 데이비드 보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rowcolor=#fff>6위 7위 8위 9위 10위
라디오헤드 레드 제플린 닐 영 프린스 비치 보이스
<rowcolor=#fff>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R.E.M. 엘비스 프레슬리 카니예 웨스트 더 후 U2
<rowcolor=#fff>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마일스 데이비스 벨벳 언더그라운드 너바나 더 클래시 지미 헨드릭스
<rowcolor=#fff>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마빈 게이 핑크 플로이드 엘비스 코스텔로 스티비 원더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rowcolor=#fff>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마돈나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더 스미스 마이클 잭슨 밴 모리슨
<rowcolor=#fff>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토킹 헤즈 켄드릭 라마 아케이드 파이어 아레사 프랭클린 비요크
<rowcolor=#fff>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JAY-Z 제임스 브라운 톰 웨이츠 존 콜트레인 PJ 하비
<rowcolor=#fff>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킹크스 퍼블릭 에너미 버즈 비스티 보이즈 조니 미첼
<rowcolor=#fff>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벡 한센 더 큐어 존 레논 도어즈 LCD 사운드시스템
<rowcolor=#fff>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블러 크라프트베르크 레너드 코헨 픽시즈 루 리드
<rowcolor=#fff>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조니 캐쉬 소닉 유스 록시 뮤직 오아시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듀크 엘링턴 더 밴드 아웃캐스트 다프트 펑크
<rowcolor=#fff>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사이먼 앤 가펑클 프랭크 시나트라 척 베리 프랭크 오션 비욘세
<rowcolor=#fff>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조이 디비전 AC/DC 윌코 오티스 레딩
<rowcolor=#fff>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뉴 오더 메탈리카 화이트 스트라입스 라몬즈 더 폴리스
<rowcolor=#fff>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스투지스 브라이언 이노 엘튼 존 뱀파이어 위켄드
<rowcolor=#fff>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섹스 피스톨즈 매시브 어택 레이 찰스 스틸리 댄 블랙 사바스
<rowcolor=#fff>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케이트 부시 악틱 몽키즈 찰스 밍거스 패티 스미스 포티스헤드
<rowcolor=#fff>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건즈 앤 로지스 페이브먼트 수프얀 스티븐스 알 그린 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80년대 최고 아티스트
<row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프린스 더 스미스 U2 브루스 스프링스틴 R.E.M.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돈나 마이클 잭슨 더 큐어 픽시즈 토킹 헤즈
''''
''''
''''
}}}}}}}}} ||


파일:UCRlogo.jpg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치 보이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밴 헤일런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도어즈 토킹 헤즈 R.E.M. 이글스 사이먼 앤 가펑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스틸리 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올맨 브라더스 밴드 너바나 라몬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ZZ 탑 버즈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카스 그레이트풀 데드 사운드가든 앨리스 쿠퍼 키스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투지스 부커 T. & 더 M.G.'s 하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템테이션스 홀 앤 오츠 시카고 펄 잼 산타나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머틀리 크루 프랭크 자파 그리고 마더스 오브 인벤션 블론디 두비 브라더스 칩 트릭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저니 보스턴 제퍼슨 에어플레인 픽시즈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플레이밍 립스 푸 파이터스
출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Pixies.gif 픽시즈
Pixies
}}}
파일:Pixies.jpg
▲왼쪽부터 조이 산티아고, 블랙 프란시스, 킴 딜, 데이비드 로버링
<colbgcolor=#fff><colcolor=#000>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결성 1986년 1월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데뷔 1987년 9월 28일
데뷔 앨범
활동 기간 1986년 ~ 1993년
2004년 ~ 현재
멤버 블랙 프랜시스 (기타, 보컬)
조이 산티아고 (기타)
데이비드 로버링 (드럼)
파즈 렌천틴 (베이스)
전 멤버 킴 딜 (베이스)
장르 얼터너티브 록, 인디 록
레이블 4AD, 일렉트라 레코드, 쿠킹 바이닐, 스핀아트 레코드, 아르테미스, 픽시즈뮤직, PIAS 레코딩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멤버3. 역사4. 음악 스타일과 음악계에 미친 영향5. 픽시즈에게 영향을 준 것들6. 음반 목록
6.1. 정규 앨범
[clearfix]

1. 개요

파일:d74a270d6391717b1a04342280ff5777.jpg
전성기 80년대 시절. 블랙 프랜시스 - 킴 딜 - 데이비드 로버링 - 조이 산티아고.
미국의 가장 위대한 밴드 중 하나.
보노 ( U2) #

미국 보스턴 출신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1986년 결성되었다. 소닉 유스와 더불어 가장 영향력 있는 80년대 미국 인디 밴드로 꼽힌다.

2. 멤버

블랙 프랜시스 - 보컬, 세컨드 기타, 주 작곡자. 솔로 활동 초중반엔 프랭크 블랙이라는 이름을 썼다.(2007년부터 쓰지 않게 되었다.) 본명은 찰스 톰슨. 록 밴드의 프론트맨 치곤 드물게 뚱뚱한 체형이라서 록음악계에서 '세상에서 가장 창조적인 뚱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조이 산티아고 - 리드 기타. 필리핀에서 태어난 필리핀인이었지만, 마르코스 대통령의 폭정을 피해 7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 갔다.

킴 딜 - 베이스. 기 센 여걸 스타일이었기 때문에 블랙 프랜시스와 충돌이 잦았다. 쌍둥이 자매 Kelley Deal과 브리더스를 결성하여 인디 음악계에 족적을 남겼다.

데이비드 로버링 - 드러머, 마술사. 픽시즈 해체 이후 드럼도 그만 두고 과학 마술과 금속탐지 취미에 매달렸다 돈이 다 떨어져 갈 때 쯤 재결성 연락을 받게 된다.

3. 역사

매사추세츠의 앰허스트 대학교에 재학 중이였던 찰스 톰슨(블랙 프랜시스)과 조이 산티아고는 같은 기숙사에서 살았고 둘 다 록음악 팬이었기 때문에 금방 친구가 된다. 같이 늘 붙어 다니며 음악 얘기도 하고 잼연주도 하면서 음악에 대한 열정이 더욱 불붙게 되었고 결국 록음악인으로의 길을 가기로 결심하고 둘 다 대학을 자퇴한다.

베이시스트와 드러머가 필요했는데, 그들이 붙인 멤버 모집 광고를 보고 찾아온 킴 딜과 그녀가 데려온 드러머 데이브 로버링이 들어오면서 드디어 1986년 1월에 픽시즈가 결성된다. 이름은 '요정'을 뜻하는 픽시에서 따왔다.

이후 4AD과 계약후, 1987년 EP인 Come On Pilgrim를 발매했다. 그 다음 해엔 스티브 알비니를 프로듀서로 하여 첫 앨범인 Surfer Rosa를 만든다. 발표 즉시 이 앨범은 평자들의 열광적인 지지를 얻어냈으며, 지금도 그런지의 흐름을 선취한 앨범으로 각별히 예우받고 있다. 또한 이 앨범은 인디 록 계의 사디스트, 스탈린(비유적인 표현이다.)으로 유명한 스티브 알비니의 프로듀싱 스타일을 알 수 있는 앨범이기도 하다. (ex. 대패를 밀어버린 사운드 질감과 미친듯이 광분해대는 기타와 보컬. 요새는 그래도 많이 유화됐다고 하지만...) 파이트 클럽에서 클라이맥스에 쓰인 ' Where Is My Mind?'도 여기 실려있다. 참고로 토킹 헤즈의 ' Once in a Lifetime'의 화답가라고 한다.

다음 해 그들은 두번째 앨범인 Doolittle을 발표한다. 전작에 비해 팝적인 선율과 조화가 강조된 이 앨범은 1집만큼이나 혁신적이다라는 평을 들으면서 대중들의 호응까지 얻어낸다. 하지만 이때부터 킴 딜과 블랙 프랜시스의 갈등이 심각해졌다.[1] 그 뒤, 보다 차분해진 스타일의 Bossanova와 Trompe le Monde를 발표했다.

그러나 결국 1992년에 밴드는 해체된다.[2] 해체후 킴 딜은 쌍둥이 동생 켈리 딜(Kelley Deal) 과 스로잉 뮤지스의 타냐 도넬리를 끌어들여 만들었던 브리더스 Cannonball을 비롯한 히트 싱글을 냈고, 블랙 프랜시스는 프랭크 블랙이란 이름으로 솔로 활동을 개시한 후 Teenage of the Year 같은 수작을 내놓기도 했다. 기타리스트 조이 산티아고는 부인과 함께 Martinis라는 밴드를 결성하였는데 여기에 픽시즈의 David Lovering이 잠깐 드러머로 활동한적이 있다. 너무 활동기간이 짧아서 영화 Empire Records의 사운드트랙용으로 재녹음한 Free란 곡에만 참여했는데 전성기 시절의 픽시즈 느낌(특히 귀여운면)이 고스란히 담겨있으니 픽시즈 초기작 팬들은 꼭 들어보기를 추천한다.

2004년에 다시 재결성[3]했다. 그러나 2013년 킴 딜이 다시 탈퇴했다. 영국에서 녹음 세션을 진행하던 중 한 커피숍에서 쿨하게 집에 가겠다고 얘기했다고 한다.[4] 이후 Bagboy[5] 를 비롯한 새로운 곡을 담은 EP1, EP2, 그리고 정규 LP Indie Cindy를 연이어 발표했으나 평단의 반응은 그다지 좋지 않다.

4. 음악 스타일과 음악계에 미친 영향

내 인생을 바꿨다.
톰 요크 #

음악 스타일을 보면 파격적인 곡 구조와 노이즈 기타 사운드, 미친듯이 광적으로 질러대는 보컬, 엽기적인 가사 등 과격하고 실험적인 면과 아름다운 멜로디 감각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고 이런 요소들이 서로 기가 막히게 잘 융합/조화되었는데, 이런 특이한 색깔이 픽시즈의 개성적인 매력의 원천으로 작용했다.[6]

이들의 이런 독특한 사운드는 주류 록과는 당연히 달랐을 뿐 아니라, 음악적 센스와 아이디어가 이미 바닥을 드러냈는데도 그저 대안없는 분노만을 계속 토해내던 기존 하드코어 펑크와도 차별화 된 음악이었다. 이런 픽시즈의 음악 스타일을 많은 후배 밴드들이 추종하면서 새로운 음악 조류( 얼터너티브 록)가 생성되고 발전한 것이다. 그래서 픽시즈를 가리켜 90년대 초반 록음악계에 불어닥친 거대한 판도 변화의 원동력이자 배후 조종자같은 존재였다고 평가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그런지 계열 음악들의 직접적인 선조에 해당한다. 단적으로 너바나 커트 코베인은 '우리는 픽시즈를 베꼈다'였다고 고백했을 정도.

특히 한 곡 내에서 강약의 대비를 강조하는, 소위 'loud quiet loud[7]'라고 불린 다이내믹한 곡 구조는 픽시즈 이후 너바나를 비롯한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가사 역시 파격적인데,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라는 반응이 나올 정도로 뒤틀려 있다. 그의 가사는 초현실주의, 변태 섹스 중독자, 외계인, 괴물, 해커, UFO, 근친상간, 서프광, 성경에 등장하는 폭력 사건 등을 소재로 삼았으며, 구체적인 가사 내용 역시 현지인조차 이해하기 힘든 수준이라고 한다. 이 파격적인 가사 역시 그런지/얼터너티브 세대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 출신이지만 영국에서 먼저 인정받았고 대접도 더 좋았던 밴드기도 하다. 계약 레이블였던 4AD가 영국에 근거지를 두고 있다던가, 2번째 앨범 판매량이 영국에서 가장 좋았다던가... 70년대 영국에서 발흥된 펑크를 떠올리게 만드는 노이즈+팝 멜로디라는 실험이 지저스 앤 메리 체인이나 더 폴 때문에 영국인들에게 예전부터 친숙했기 때문에 인기가 좋았다는 게 정론으로 인정받고 있다.

5. 픽시즈에게 영향을 준 것들

주 작곡자이자 리드보컬, 밴드 리더인 블랙 프랜시스가 밝힌 자기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뮤지션들로는 허스커 두, 캡틴 비프하트, 이기 팝, 비틀즈, 데이빗 보위, 블랙 플래그, The Gun Club[8], 더 카스등이 있다. 그 중 특히 이기 팝은 부틀렉까지 죄다 찾아 들었을 정도로 광팬이라고 한다. 비틀즈에 대한 애정도 상당한데, 특히 화이트 앨범을 엄청나게 좋아해서 화이트 앨범의 수록곡들이 자신의 실험적이고 예측불허인 작곡 스타일에 결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밝히기도 했다.[9]

그리고 의외지만, 그의 찢어질듯 절규하며 내지르는 창법 스타일도 비틀즈로 인해 얻게 된 것이라고 한다. 픽시즈 결성 전에 비틀즈의 " Oh! Darling"[10]을 모창해 보려고 시도했지만 고음 부분이 잘 안되자 옆에서 보던 친구가 "그냥 그년을 엄청 미워하는 것처럼 소리질러버려 봐![11]라고 해서 정말 그런 심정으로 소리 질렀는데 그게 그대로 블랙 프랜시스 특유의 창법으로 굳어졌다고 한다.

이런 음악 이외에도 영화 이레이저 헤드, 안달루시아의 개, 그리고 구약성서에 나오는 폭력적이거나 기이한 이야기들도 그의 음악에 큰 영향과 영감을 줬다고 한다. 이레이저 헤드에 관하여서는 그 주요 삽입곡인 'In Heaven'을 직접 커버해서 부르기도 했고, 안달루시아의 개는 곡 ' Debaser'의 가사에 영화 제목이 나온다("나는 안달루시아의 개야!").

픽시즈의 괴이하고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내는데 크게 기여하는 리드 기타리스트인 조이 산티아고는 지미 헨드릭스, 레스 폴, 웨스 몽고메리, 조지 해리슨, 쳇 앳킨스를 자기에게 영향을 준 기타리스트들로 꼽았다. 조이는 자신의 기타를 "모가 나고 구부러진 (angular and bent)" 사운드라고 묘사했다. 비틀즈의 " Savoy Truffle" 등의 곡에서 조지 해리슨이 보여준 bent note 사운드에 매료돼서 그 연주 기법을 픽시즈 곡들에도 많이 써먹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러한 사운드는 곡 'Hey'에서 그 진수를 느낄 수 있다.

1980년대 하드코어 펑크도 영향력이 큰 편으로, 노이즈와 팝 멜로디의 조화라는 점에서 허스커 두의 직계 후손이라 할 수 있다. 비슷하게 노이즈를 추구했던 소닉 유스가 아방가르드 영향을 받아 지적인 면모가 드러났다면 픽시즈는 그보다는 로큰롤의 본능적 흥겨움에 가까웠던 편. 이때문에 다이노소어 주니어랑 종종 엮이기도 한다.

6. 음반 목록

6.1. 정규 앨범

  • Surfer Rosa (1988)

    • 후에 Come On Pilgrim 과 함께 재발매 된다.
  • Doolittle (1989)
  • Bossanova (1990)
  • Trompe le Monde (1991)
  • Indie Cindy (2014)
  • "Head Carrier" (2016)
  • "Beneath the Eyrie" (2019)
  • "Doggerel" (2022)

[1] 블랙 프랜시스는 여러모로 빌리 코건식의 독재자형 리더였고 킴 딜의 곡을 수록하는 일에 반대했다. 때문에 킴 딜은 밴드에서 겉돌았고 솔로 활동에 눈을 돌리면서 서서히 밴드가 와해되기 시작한다. [2] 어느날 갑자기 블랙 프랜시스가 BBC 라디오에서 생방송 인터뷰중에 해체를 선언한 뒤, 밴드 멤버들에게 해체를 알리는 팩스를 보내는 것으로 끝났다. [3] 해체때와 비슷하게, 라디오 방송에서 프랭크 블랙(블랙 프랜시스)이 픽시즈 재결성에 대한 농담을 던졌는데 사람들이 진지하게 받아들여 연락이 쇄도하고, 이에 프랭크 블랙도 고무되어 다시 시작했다. 말이 씨가된다 [4] 다만 저번 해체때와 달리 딱히 불화는 아니라고 한다. 되려 나머지 멤버들은 다시 들어오는 것도 반긴다고 밝혔다. [5] 킴 딜을 대신하여 베이시스트 The Muffs의 리더 킴 섀턱을 기용. 하지만 몇 달 지나지 않아 다른 픽시즈 멤버들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해고되었다. 현재 투어링 멤버로는 zwan, a perfect circle등에서 활동한 파즈 렌천틴이 활동중이다. [6] 조이 산티아고와 찰스 톰슨이 처음 밴드를 시작할 때 블루스 펜타토닉 스케일 쓰는 음악은 하지 말자고 못박아 두었다고 한다. [7] 픽시즈 재결성 이후를 다루는 다큐멘터리의 제목이기도 하다. [8] LA출신의 포스트펑크 록 밴드. 사이코빌리 장르 창시자로 꼽힌다. [9] 픽시즈가 영국 라디오 락음악 프로인 '존 필 쇼'에 출연하여 라이브 연주한 곡들을 모은 "Pixies at the BBC" 앨범에 비틀즈의 화이트 앨범 수록곡인 "Wild Honey Pie"를 커버한 버전이 수록되기도 했다. [10] 앨범 Abbey Road의 수록곡 [11] "Scream it like you hate that bitch"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