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3:27:25

Last.fm

<colbgcolor=#D51007><colcolor=#fff> 파일:Lastfm_logo.svg
개발자 펠릭스 밀러, 마틴 스틱셀, 마이클 브라이덴브뤼커
토마스 윌로미처, 리차드 존스
출시일 파일:영국 국기.svg 2002년 3월 20일
플랫폼 iOS | iPadOS | macOS | Android | Windows
웹 브라우저
운영사 바이아컴CBS
주요 기능 인터넷 라디오[1]
오디오스크로블러
서비스 요금 무료
월별 구독형
파일:Last.fm 아이콘.pn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
2.1. 인터넷 라디오2.2. 스크로블링
3. 여담

[clearfix]

1. 개요

2002년 3월 20일 영국에서 설립된 웹사이트이다. 음악 추천 시스템 오디오스크로블러와 인터넷 라디오 기능을 병합했다.
다만 현재는 인터넷 라디오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2007년 5월 30일 CBS 인터렉티브에서 2억 8000만 달러에 인수하였다.

2. 특징

2.1. 인터넷 라디오

사용자의 음악취향을 저장한 프로필을 바탕으로 사용자 취향에 맞는 곡을 추천하고 개개인의 맞춤형 라디오 스테이션을 제공했다.
스트리밍 MP3코덱을 이용했으며 비트레이트는 128Kbps였다. [2]
2014년 4월 28일 핵심서비스인 스크로블링에 집중하기 위해 서비스를 종료했다. [3]

2.2. 스크로블링

사용자가 감상한 음악의 제목, 가수이름, 앨범, 횟수 등의 기록을 동기화해 사용자의 Last.fm 계정 프로필에 저장한다.
그것을 스크로블링이라고 한다. 스크로블링해둔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음원이나 앨범 혹은 아티스트의 차트를 만들 수 있다.
스크로블링을 하기 위해서는 PC, 스마트폰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단 플러그인을 설치해도 모든 음악재생 프로그램이 스크로블링이 가능한것은 아니다.
공식 스크로블링을 지원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는 Spotify, Deezer등이 있다.[4][5]

유튜브 뮤직 등을 스크로블링해 기록하려면 PC는 확장 프로그램[6], 모바일은 Pano Scrobbler를 설치하면 된다.[7]

스크로블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지난주[8], 지난달[9], 지난해[10]에 음악을 들은 횟수와 가장 많이 들은 앨범, 가장 많이 들은 트랙, 가장 많이 들은 장르, 가장 많이 음악을 들은 시간대 등을 통계로 보여준다. 더 자세한 통계는 월정액 요금제를 구독해야 한다. https://www.last.fm/pro

3. 여담

과거 한국어 페이지도 운영했었다. 그러나 한국인 사용자들이 영어 페이지를 선호한다는 이유로 2007년 7월 3일 공식적으로 한국어 서비스를 중단했다.


[1] 2014년에 서비스 종료 [2] 당시 컴퓨터들도 WAV같은 무손실 음원의 재생은 가능했다. 그러나 FLAC등의 무손실 압축이 대중화 되기이전이었으며 당시 FLAC가 대중화 되었다고 하더라도 인터넷 속도의 한계로 인해 저음질로 서비스할수밖에 없었을것이다. 그러나 MP3코덱 128Kbps는 당시 기준으로도 좋은 음질은 아니었다. [3] 다만 홈페이지에서 선택한곡과 유사한 곡들로 이뤄진 재생목록을 만들수는 있다. [4] Deezer의 경우 사실상 한국 서비스가 종료된 상황이므로 국내에 서비스되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중에서 공식적으로 Last.fm의 스크로블링을 지원하는 건 Spotify뿐이다. 멜론, 벅스등 다른 국내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는 지원하지 않는다. [5] Apple Music의 경우 공식적으로 Last.fm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iPhone iPad에서는 서드파티 앱을 이용해서 스크로블링이 가능하다. PC macOS에서도 플러그인 설치 시 스크로블링이 가능하다. [6] 공식은 아니고, 1인 개발자가 개발해 오픈소스로 배포하고 있다. [7] 공식 Last.fm은 오작동을 일으킬 때가 있어 평이 좋지 않아 다들 Pano Scrobbler를 사용하는 편이다. [8] 1주전 통계는 무료이나 2주이전은 유료구독을 해야한다. [9] 유료 구독시에만 볼 수 있다. [10] 작년 통계는 무료지만 재작년통계부터는 유료 구독해야만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