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02:49:41

부산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10년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개편의 현황 항목을 최초 개편 이후 6개월 경과시점부터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개편의 현황 항목을 최초 개편 이후 6개월 경과시점부터 객관적인 데이터로 평가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부산광역시 준공영제 실시 이후 시내버스 노선개편
2007년도 2008년도 2009년도 2010년도 2011년도
2012년도♨ 2013년도 2014년도 2015년도♨ 2016년도
2017년도 2018년도 2019년도 2020년도 2021년도
2022년도 2023년도♨ 2024년도 2025년도
표시가 있는 연도는 상당히 논란이 된 노선 개편이 일어난 해이다.

1. 개요2. 개편 내역
2.1. 2010년 4월 8일2.2. 2010년 4월 26일2.3. 2010년 5월 14일2.4. 2010년 5월 31일2.5. 2010년 11월 5일2.6. 2010년 12월 14일
3.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3.1. 성공사례3.2. 실패사례3.3. 애매한 사례3.4. 실패복구(극복) 사례

1. 개요

2010년에 시행될 부산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열거하는 문서이다.

이 해에는 대부분이 교통사각지대 위주로 버스노선을 추가하는 노선개편을 했어서 의의가 있고 개념적인 조정 사항이 많다. 또한 문제가 있었던 126-1번을 직접 시승을 했던 것을 고려해보면 2012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의 담당관들보다 낫다고 볼 수 있다.

2. 개편 내역

2.1. 2010년 4월 8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54 (기존노선) ~ 부전시장입구~서면부속상가~대우자동차 (기존노선) ~ 부전시장입구~부전시장 → 롯데캐슬 → 전포동대우자동차 → 동성고교 버스노선 부재 해소
59 화명동 ~ 구포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우체국~삼대한의원~북부산세무서~주례1동주민센터~럭키아파트 ~ (기존노선) 화명동 ~ 구포역 ~ 서부시외버스터미널~감전교회~새벽시장~학장입구~사상전화국~주례사거리 ~ 럭키아파트(기존노선) 재래시장 활성화
83-1 민락동 ~ 대연동 ~ 서면 ~ 어린이대공원~시민도서관 민락동 ~ 대연동 ~ 서면 ~ 어린이대공원 ~ 시민도서관~초읍고개~부산의료원~사직실내수영장~사직운동장~사직역~반도스카이뷰@~사직동 운행업체 요청
183 기장 ~ 기장초등학교~기장농협~기장중학교~ (중략) ~기장중학교~기장성당~기장전화국~기장초등학교 기장~기장초등학교~기장전화국~기장1주공~기장읍사무소~대변입구~청강사거리~기장성당~기장중학교~(중략) 비효율 구간 개선
188 반송~안평고촌~기장읍~임랑~좌천(종점) 반송~고촌휴먼시아@~안평고촌~기장읍~임랑~좌천~원자력의학원(종점) 고촌, 원자력의학원 교통불편해소
210 사직동 ~ 동래 ~ 토곡 ~ 수영교차로 ~ 민락수변공원(종점) 사직동 ~ 동래 ~ 토곡 ~ 수영교차로 ~ 민락수변공원~진로아파트~민락활어센터 진로아파트 교통불편해소
1006 해운대 ~ 기장 ~ 좌천 ~ 강변마을~청소년수련관입구~정관산단~구연마을~정관면사무소 해운대~ 기장 ~ 좌천 ~ 강변마을~구연마을~정관면사무소 비효율 구간 개선
1007 정관면사무소 ~ 한진해모로아파트~곰내터널입구 ~ 센텀시티 ~ 시청 정관면사무소 ~ 한진해모로아파트~센트럴휴먼시아@~정관산단입구 ~ 한국폴리텍동부산캠퍼스~곰내터널입구 ~ 센텀시티 ~ 시청 기장군 요청사항
  • 54번의 경우에는 구.19번을 대체하기 위해 부전시장, 전포롯데캐슬로 노선이 변경된다. 다만 시에서도 전포동 왕복운행 노선 징크스를 인식한 것인지 편도로만 경유한다.
  • 210번의 경우에는 연장으로 인해 활어직판장의 염해로 인한 가스통 부식 문제로 11월에 10번으로 모두 CNG차량이 이동되고 2014년 1017호 NEW BS106 신차가 투입되기 전까지 전차량 디젤차량으로 운행했다.

2.2. 2010년 4월 26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38 (기존노선)- 범내골- 서광교회- 범일초등학교- 성북고개- 좌천동농심가슈퍼- 수정삼거리- 민주공원 (기존노선)- 서광교회- 문화아파트- 금성중고- 수정삼거리- 중앙,민주공원 동구 좌천동 고지대 주민 불편해소
  • 원래 좌범길로 운행되었던 마을버스가 있었지만, 심각한 적자로 폐선되어 대량 민원이 발생하면서 38번이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문제는 하필이면 왜 배차간격이 긴 38번을 조정했냐는 것. 이 계기로 38번은 초장거리 노선이 되어 버렸다.

2.3. 2010년 5월 14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50 (기존노선)- 미남지하철역- 사직1치안센터- 사직야구장- 사직운동장- 법원 (기존노선)- 미남지하철역- 사직1치안센터- 쌍용예가입구- 사직야구장- 사직운동장- 법원 쌍용예가입주민 교통불편 해소
83-1 민락동- 문현교차로- 자성대- 부산은행본점- 중앙시장- 초읍- 사직동 민락동- 문현교차로- 시민회관- 자유시장- 중앙시장- 초읍- 사직동 운행소요시간 단축
520 용원(송정공원)- 가락타운2,3지구 - 하단1동주민센터- 하단교차로- 서부터미널- 덕천교차로(종점) 용원(송정공원)- 가락타운2,3지구- 하단1동주민센터- 하단지하철역 비수익 구간 폐지
66 (노선신설) 태종대- 청학중공업단지- 한진중공업- 영도대교- 남포동- 서구청 청학동 해양로 일대 공업단지 통근자 불편 해소
1008 좌천원자력의학원- 부산장안고등학교- 정관소방소- 강변마을- 구연마을- 정관면사무소- 산막입구- 정관신도시- 금정경찰서앞- 장전지하철역- 부산대학교정문- 동래지하철역 정관신도시 교통확충
  • 50번의 경우에는 쌍용예가부녀회의 요구로 사직쌍용예가아파트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안그래도 정관신도시에 차량을 빼앗기고 있는 웅상읍 노선인데, 배차간격이 늘어나면서 덕계동, 평산동 지역주민들에게 원성을 산 노선조정이었다.
  • 83-1번의 경우에는 늘어난 노선거리를 대비하여 자성대가 아닌 자유시장, 시민회관을 양방향 경유토록 조치하였다.
  • 520번의 경우에는 용원(송정공원), 녹산, 명지 일대에서 북구로 향하는 유일한 노선이었지만 평시에 심각한 공기수송으로 하단역까지 단축된다.
  • 가장 반응이 좋았던 노선은 다름아닌 1008번이다. 1008번의 경우에는 정관신도시와 좌천 지역 주민들의 지속적인 민원 덕분에 신설되었다. 어느 정도였냐 하면 본디 6월 개통예정이었던 노선이 5월 개통으로 앞당겨서 개통할 정도였다. 주생활권인 금정구와 동래구로 연결되기 때문에 정관신도시와 좌천 지역 주민들에겐 가뭄의 단비같은 노선이 된 셈이다.

2.4. 2010년 5월 31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37 범어사입구- 정관면사무소- 정관- 정관초등학교- 달산마을- 한빛아파트 범어사입구- 정관면사무소- 정관- 정관초등학교- 구연마을- 달산마을- 한빛아파트 센트럴휴먼시아 입주민 이용편의
161 신평-삼창목재-장림시장교차로-장림사장-서부터미널 신평-삼창목재-동원로얄듀크아파트-장림시장교차로-장림시장-서부터미널 교통불편지역 불편해소
  • 161번이 동원로얄듀크아파트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면서 수요가 많이 늘었다.

2.5. 2010년 11월 5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83-1 민락동 차고지 -민락동골목시장 -남구청 - 사직동 민락동차고지 -수영2호교 -민락수변공원 - 롯데캐슬 -민락푸르지오 -MBC방송국 - 민락동골목시장 -남구청 - 사직동 민락수변공원 일대 주민들 민원 반영
85 청학고개 - 보림극장 - 상공회의소 - 지오플레이스 - 서면한전앞 - 롯데호텔백화점 - 부암역(회차지) -롯데호텔백화점 청학동 - 보림극장 - 경남아파트 - 범천2동주민센터 - CBS방송국 - 부암역 - 롯데호텔 백화점- 서면- 청학동 교통불편지역 불편해소
100-1 송정 - 온천장 - 부산대정문 - 장전중앙교회 송정 - 온천장 - 부산대정문 - 장전1치안센터 - 장전지하철역 -장전어린이놀이터 - 장전중앙교회 지하철역 연계
126 화명동 ↔ 수정역 ↔ (→낙동고교→/←구룡사←) ↔ 구포시장 ↔ 르네시떼 ↔ 동아대 ↔ 구덕운동장 ↔ 충무동 화명동 ↔ 수정역 ↔ 낙동고교 ↔ 덕천역 ↔ 구포시장 ↔ 르네시떼 ↔ (기존노선) 북구청 건의사항으로 의성로 양방향 경유
1008 좌천-정관면사무소 - 곰내터널 - 금정경찰서-동래역 좌천- 정관면사무소 - 곰내터널 - 철마면사무소 - 대곡마을 - 금정경찰서-동래역 기장군 건의사항
  • 1008번의 경우에는 철마면사무소를 추가경유해 버스 애호가들에게 엄청난 비난세례를 받았다. 1008번의 노선변경은 어떻게보면 철마면 주민들의 핌피로도 볼 수도 있다. 그 외에는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 126번의 경우에는 겨우 의성로를 왕복경유하게 되며 낙동고교 통학 불편이 해소되었다[1]. 구포시장→덕천교차로→구룡사 구간은 15번, 59번, 금정1번, 북구3번 등 많은 노선이 다니고 있기 때문에 126번 하나 빠져도 별 무리가 없었다.

2.6. 2010년 12월 14일

노선 번호 기존 노선 변경 노선 사유
126-1 (노선신설) 금곡주차장-율리역-와석-수정역-덕천역-구포시장-구포역-신덕마을-김해공항(국제·국내선)-금호마을-작지-명지새동네-명지레포츠-삼성자동차정문-부울중소기업청-경제자유구역청-부산신항-가덕선착장 급행노선으로 형간전환예정
520 용원(송정공원)-태광-경제자유구역청- 부울지방중소기업청-삼성자동차 정문-신평지하철역-하단지하철역 용원(송정공원)-태광-경제자유구역청-가덕천성동-(기존노선)-하단교차로-괴정시장-구덕운동장-부산대학교병원-서구청-남포동-연안여객터미널(롯데광복점)-중앙동-부산역(종점)
  • 거가대로의 개통으로 520번은 거제도 연장 및 급행버스 형간전환 계획으로 위와 같이 조정하였으나, 경상남도의 반대로 인해 끝끝내 무산되었다.
  • 126-1번의 경우는 당초 급행버스로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일반버스만 운행하는 업체들이 배정받았던지라, 일반면허의 좌석면허 형간전환 및 고급좌석버스 출고문제 등으로 일단 일반버스로 개통했다.

3. 노선개편 이후의 현황

이 항목은 특정년도에 시행된 노선조정에 대해서 서술한 내용이므로 2020년의 상황과는 완전히 다를 수 있으므로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

3.1. 성공사례

파란색 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누가봐도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 126번 노선의 경우는 2007년도에 화명동까지 연장되어 승객수가 대폭 늘어난 반면 상행만 의성로를 경유하는 반쪽 선형때문에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한 노선이었다. 거기다 보조노선인 북구7-2번은 배차간격(...)이 매우 좋지 않아 이 노선을 원하는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많았었다. 이번 개편으로 드디어 의성로를 왕복경유하게 되어 불편사항이 상당수 해소되었고, 구포시장>구룡사 구간은 15번이나 59번으로 충분히 대체가 가능한 구간이다. 의성로 단독 수요도 크게 발생하여 성공사례에 남았다.
  • 161번 노선의 경우는 장림동 동원로얄듀크를 추가로 경유하게되면서 사하9번과 수요를 공동분담하게 되었는데, 이 노선 배차간격이 준수한 편이라 로얄듀크아파트 세대주들에게 빠르게 인식될 수 있었다. 거기다 환승할 필요 없이 다이렉트하게 충무동으로 나가는 노선이기때문에 호응도까지 매우 좋았다. 이후 장림동 동원로얄듀크 아파트 왕복경유 및 운행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 1008번 노선의 경우는
    • 정관신도시에서 부산대, 온천장, 동래역 등등 굵직한 수요지를 경유하기에 개통초기시절 배차간격 50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승객들이 무섭게 몰려들었다. 마치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의 39번이 연상되었을 정도. 이후 증차를 거듭하여 2017년 기준으로 출퇴근시간 기준 배차간격이 11분까지 단축되었다. 평시 배차간격도 13분이기에 개통초기에 비하면 여건이 매우 좋아진 것. 그럼에도 환승대기시간은 여전히 60분인 점도 정관신도시 주민들에게 크게 도움이 되고 있다. 다만 우려했던 일이 결국 실현되었는데, 철마면 지역주민들의 민원때문에 급행버스임에도 불구하고 결국 구.1007번과 함께 철마면사무소를 경유하게 되고 말았다. 다만 철마면에서 동래로 이어주는 노선이기에 수요가 살짝 생기긴 했지만, 73번과 달리 철마를 수박 겉핥기식으로만 경유하는데다 동래시장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기에 철마면사무소의 경유효과는 미미하다.
    • 2024년 3월 1일 이후 기준, 거듭되는 증차로 현재는 총 16대로 역대 가장 많은 운행대수로 보유하고 있지만 환승대기시간은 여전히 60분을 유지하고 있어 더할나위 없는 정관신도시의 효자 노선이다. 심지어 2024년 기준으로 자사노선 1002번의 운행대수를 앞질렀다.

3.2. 실패사례

누가봐도 실패한 사례들을 다룬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해당개편으로 인해 수요가 급감했거나 크게 논란이 일고 있는 경우다.
  • 38번 노선의 경우는 좌범길을 경유했던 마을버스 노선이 폐선되면서 해당지역주민들이 불편을 겪게 되어 38번 노선이 좌범길을 경유하게 되었고, 해당 지역에서 수요도 제법 확보했지만, 문제는 운행대수가 여의치 않으며 운행소요시간이 200분을 초과한 38번 노선을 더 굴곡지게 하여 소요시간을 크게 늘려놓은 탓에 결과적으로 무리수 개편으로 남게되어 실패사례에 포함되었다.
  • 50번 노선의 경우는 1008번의 차량공수로 인해 꾸준히 차량총량제의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인데도 사직동 쌍용예가아파트를 추가로 경유시키게 되면서 운행소요시간이 늘어났다. 쌍용예가쪽 수요는 늘었을지는 몰라도, 운행소요시간 증가로 인한 배차간격이 불규칙해지면서 다른지역 승객수가 줄어드는 역효과를 보고 말았다.
  • 210번 노선의 경우는 새로운 회차지인 민락활어직판장의 노면 염수문제 때문에 210번 차량들 하부가 급격히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급기야 천연가스차량들은 부식정도가 더 심각하여 가스차량과 저상차량들은 전량 자사노선 10번의 디젤차량과 맞트레이드 되는 불상사가 발생하였다. 이때부터 이 노선에는 저상버스도 더 이상 들어오지 않고 있다. 결국 2014년도에 진로비치아파트로 회차지가 변경되면서 더 이상 활어직판장 안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실패사례로 남았다.
  • 126-1번 노선의 경우는[2] 부산신항, 녹산공단 일대에서 북구로 잇는 노선으로 신설되었지만, 큰 수요를 기대할 수 없는 선형, 저속운행 때문에 수요가 바닥을 쳤었다. 게다가 너무나 긴 노선에 운행대수는 고작 6대라 배차간격도 좋지 못하였다. 그래서 이런 괴상한 선형을 나중에는 급행버스로 운행해야되는 사실이 상당히 우려되어 급행좌석 형간전환을 반대하는 사람들도 존재했다. 다만 우려했던거와는 달리 1009번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오히려 승객수가 더 늘었는데, 명지오션시티에서 구포역, 구포시장, 덕천역 일대로 갈 수 있는 점 때문에 입소문을 탔으며, 주말에는 가덕도 낚시객들로 가축수송으로까지 이어졌다. 특히 유니버스, FX등의 고급좌석차량으로 운행되어 호응도도 나쁘지 않았다. 다만 126-1번으로 다녔을때는 고수익 노선들인 111번, 126번의 희생으로 탄생된 점에서 논란이 되었으며, 급기야 126번은 역대 최저 운행대수인 27대가 되면서 126번 기존 승객들이 항의민원을 넣기도 했다.[3] 반면 이 노선은 배차간격도 나빴고 전체적으로 평판이 매우 좋지 못하였기에 실패사례에 포함되었다.
  • 520번 노선의 경우는 노선개편의 목적이었던 급행좌석 노선 전환이 사실상 무산되어 낙동강 오리알이 된 사례다.
    • 126-1번과 마찬가지로 거제시~부산시로 운행하려는 급행좌석버스 전환 목적으로 부산역까지 연장되었지만, 시외버스 업체와 경상남도에서 부산광역시의 거제 - 부산 간 시내버스 사업을 규탄하여, 결국 520번의 거제시 연장과 급행버스로의 전환은 무기한으로 연장되었다. 게다가 문제는 서여고~부산터널~부산역 구간이 아니라 보수동~남포동~중앙동을 경유하여 부산역까지 운행했는데, 이건 도시철도 1호선 개통전의 1970년대 노선 수준이나 다름이 없었고 그 결과 수요를 전혀 이끌지 못했다. 거기다 부산역에서 하단교차로까지는 2번을 타고 가면 훨씬 더 빠르게 갈 수 있었던데다가, 용원~남포동 구간은 자사노선인 58-1번이 존재했고[4] 하단/사하구청~남포동 구간에서도 113번, 123번, 126번등이 훨씬 잘다녀주고 있었기에 이 노선은 존재감이 0이었다. 결국 이는 운행대수가 4대로 되는 대폭 감차로 이어지면서 배차간격도 1시간으로 늘어나버렸다. 이후 오히려 시내버스가 들어오게 된 천성동 주민들이 민원을 넣으면서 2011년 1월에 천성분교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허나 천성마을 주민들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민원을 넣었다. 그 결과 520번은 거가대교와 이어지는 고속화도로에 새로이 세워진 정류장에 경유하게 되고, 520번은 의도와는 달리 가덕도 주민들의 발이 되어버렸다. 또한 성북마을 주민들의 노선경유 요구로 2011년 10월부터 성북마을도 경유하게 되었다. 거제~부산을 잇는 급행버스가 될려고했던 노선이 경상남도의 이기주의 때문에 한낱 가덕도 셔틀노선으로 전락된 점은 참으로 씁쓸하고 어쩔 수 없었지만, 그동안 상당한 노답 노선이었기에 실패사례에 남았다. 다만 지자체 간의 길고 긴 공방 끝에 거제~부산 간 직행좌석버스는 약 3년 뒤에 2000번으로 신설되긴 했다. 다만 지자체 간의 이해관계 때문에 남포동이 아닌 하단역에서 끊긴다.

3.3. 애매한 사례

성공/실패를 판가름하려면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한 노선변경사례를 다룬다. 의도는 좋았으나 수요가 저조하다거나 수요는 많지만 노선형태에 문제가 있어보이는 사례도 여기에서 다룬다. 보라색 글씨의 노선은 일각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다른 이유로 인해서 안타까운 노선들을 다룬다.
  • 59번 노선의 경우는 재래시장 활성화 명목으로 노선을 조정했지만 61번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감전새벽시장으로 우회조정했다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감전새벽시장으로 들어갔다 나오는 형태때문에 이전보다 소요시간이 늘었고, 이로 인해 61번 보조수요가 일부 떨어져나간 상황이라 애매한 사례에 포함되었다.
    • 게다가 2023년 7월 29일에는 61번이 동의대역까지 단축되었고 그나마 이 노선보다 최단거리로 서부터미널로 이어주었던 186번은 계속되는 감차로 총 9대라는 역대 최저 운행대수로 배차간격이 무려 25~30분 수준으로 널뛰어 당시 개편은 신암로 연선주민들에게 상당한 아쉬움을 산 사례가 되었다.
  • 66번 노선의 경우는[5] 청학중공업단지, 해양로를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으로 신설되어 해당지역 근로자들의 교통불편을 크게 덜어준 고마운 노선으로 복지차원에서 신설된 점은 정말 좋았으나 운행대수 및 배차간격이 애매하고 청학중공업단지/해양로 구간이 평시에는 수요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구간이다. 따라서 수요로써는 크게 성공하지 못했기에 애매한 사례에 포함시켰다
  • 83-1번 노선의 경우는 이번 개편으로 사직운동장을 거쳐 사직동까지 운행하게 되면서 남구에서 사직운동장으로 갈 수 있는 노선이 탄생하였다. 그러나 사직동으로 연장됨으로써 상행은 민락동~부암교차로~ 새싹로>어린이대공원>사직동, 하행은 사직동>부산진고등학교>부암교차로 구간을 그대로 유지하다 결국 반쪽노선이 되는 역효과를 받았다. 거기다 연장거리에 비해 증차대수는 3대뿐이라 배차간격이 더 애매해졌다. 그래서 그나마 자성대~범일역을 경유 노선을 시민회관~자유시장으로 노선으로 변경했으나, 체감상으로는 배차간격이 예전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애매한 사례에 포함되었다. 다만 그동안 남천동~ 수영로 일대에서 자유시장으로 바로가는 노선이 그동안 존재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6], 자성대에서 자유시장 구간으로 변경한 것은 그나마 성공적이었다.
    • 2013년 5월 25일 새싹로 편도구간이 폐지되고 성지로 양방향 경유로 조정되었다.
  • 85번 노선의 경우는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이후로 사실상 영도~서면롯데백화점행 셔틀노선으로 연명하다가 구.79번 폐선 이후 신암로에서 서면롯데쪽으로 가는 노선이 없게되었고 그나마 남구10번 오전지선노선도 오전에만 운행되는 점 때문에 신암로 연선지역 주민들이 교통불편을 크게 겪어 이번에 85번이 신암로를 들어가게 되었다. 의도는 나쁘지 않았지만, 서면 네오스포 아파트 주민들이 일반노선을 잃은 셈[7]인데다 청학동 행은 신암로를 경유하지 않는 반쪽짜리 노선형태때문에 문제는 여전히 현재 진행중.
    • 2016년 신암로 왕복 경유로 노선조정되었다.

3.4. 실패복구(극복) 사례

녹색으로 표시된 노선들은 노선 복구/수습으로 큰 성공을 거둔 사례다.
  • 188번 노선의 경우는 좌천 원자력의학원 경유로 병원 내방객 수요가 생겨 승객수가 증가하였고, 복지차원에서 나쁘지 않은 노선개편 사례로 남았다. 동시에 고촌휴먼시아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지만, 반송에서 끊기고 반대편 기장군으로 운행되는 노선이라 그 효과는 미미하다.
    • 2012년 정관읍 노선연장 및 인가대수 감차되었다.

[1] 이때까지만 해도 낙동고교를 양방향 경유했던 노선은 배차간격이 1시간 수준인 북구7-2번 뿐이었다(...) [2] 현. 부산 버스 1009 [3] 2012년 4월 27일에 구.128번이 폐선되면서 운행대수가 겨우 30대로 복구 되었다. [4] 현재는 노선이 단축되어 하단역까지만 운행한다. [5] 현. 부산 버스 17 [6] 남구3번이 못골역에서 자유시장을 이어주지만 마을버스 노선 특성상 우암동 안쪽을 들쑤시고 다니는 노선이라 절대 최단거리가 아니다. 남천동~자유시장 노선도 583번이 있지만 경성대학교, 못골시장, 문현교차로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인데다 서면을 경유해서 자유시장으로 운행하므로 최단거리가 아니다. 2017년 기준으로 22번, 40번, 27번등이 자유시장을 경유하고는 있지만 하행 노선만 경유한다. [7] 이후 부산 버스 124가 신설되긴했지만 긴 배차간격때문에 여기서도 그다지 존재감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