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3 21:30:29

항공기 관련 정보

1. 항공기 분류
1.1. 목적에 따른 분류1.2. 대한민국 항공법에 따른 분류
1.2.1. 항공기1.2.2. 경량항공기1.2.3. 초경량비행장치
1.3. ICAO 기준에 의한 분류
1.3.1. 경항공기1.3.2. 중항공기
1.4. 감항유형별 분류
1.4.1. 고정익1.4.2. 회전익
1.5. 이착륙 방식에 따른 분류1.6. 추진방식에 따른 분류1.7. 엔진 개수에 따른 분류1.8. 속도에 따른 분류1.9. 동체 크기에 따른 분류
2. 항공기 제작업체
2.1. 아시아
2.1.1. 대한민국2.1.2. 일본2.1.3. 기타
2.2. 아메리카2.3. 유럽
2.3.1. 러시아/우크라이나
3. 항공기 공학/기술 용어
3.1. 구조3.2. 기관( 엔진)
3.2.1. 엔진의 종류3.2.2. 엔진 제작사3.2.3. 항공기 엔진 목록
3.3. 날개(주익)3.4. 동체3.5. 조종석3.6. 조종사 장구류3.7. 항공전자3.8. 조종법/조종기술3.9. 기타
4. 항공운송 용어
4.1. 공항
4.1.1. 시설
4.2. 운영/서비스4.3. 항공사
4.3.1. 항공 지상조업사
4.4. 항공 직종
4.4.1. 교육기관
4.5. 관련 기관
5. 관련 항목
5.1. 관련 기관·협회/관련 사이트
5.1.1. 관련 기관 및 협회5.1.2. 관련 사이트
5.2. 커뮤니티/동호활동
5.2.1. 행사/전시
5.3. /사건사고5.4. 기념비적 항공기, 인물
5.4.1. 항공사적 특이 항공기와 기록
5.4.1.1. 크기5.4.1.2. 속도5.4.1.3. 고도5.4.1.4. 판매/생산5.4.1.5. 전쟁5.4.1.6. 특이한 항공기5.4.1.7. 기타 유명한 항공기5.4.1.8. 한국에서 개발된 항공기
5.4.2. 관련 인물
5.5. 항공기 관련 정보/미디어

1. 항공기 분류

1.1. 목적에 따른 분류

전투기의 구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기능별 구분
공중우세기 전폭기 경전투기 · 경공격기 중전투기 요격기 호위기
세대별 구분
1세대 전투기 2세대 전투기 3세대 전투기 4세대 · 4.5세대 전투기 5세대 전투기 6세대 전투기
프로펠러기
}}}}}}}}} ||

1.2. 대한민국 항공법에 따른 분류

1.2.1. 항공기

1.2.2. 경량항공기

타면조종 비행기, 체중이동형 비행기, 회전익경량항공기로 자체 중량 115kg 초과 최대 이륙 중량 600kg 이하, 수평비행속도 120knots 이하, 탑승 좌석 2개 이하, 단발 왕복엔진 탑재, 조종석이 여압되지 않을 것, 착륙장치( 랜딩 기어)는 고정일 것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항공기.

1.2.3. 초경량비행장치

  • 동력비행장치: 1인승 으로 자체 중량이 115kg 이하, 프로펠러 추진일 것을 만족하는 비행기
  • 인력활공기: 자체 중량 70kg이하인 행글라이더나 패러글라이더
  • 기구
  • 회전익항공기: 1인승이고 자체 중량 115kg이하인 자이로플레인, 헬리콥터
  • 동력패러글라이더: 낙하산에 엔진하고 프로펠러 붙인 것
  • 무인비행장치: 자체 중량 150kg 이하의 무인비행기, 무인회전익비행기, 자체 중량 180kg 이하 길이 20m 이하의 무인비행선

1.3. ICAO 기준에 의한 분류

1.3.1. 경항공기

참고로 한글번역이 잘못 되었다.[1]

1.3.2. 중항공기

이쪽도 한글번역이 잘못되었다.[2]

1.4. 감항유형별 분류

1.4.1. 고정익

  • 곡예 A (Acrobatic): 최대 하중배수 6.0, 최대 이륙중량이 5,700kg 이하로서, 보통 N류에 적용하는 비행 및 곡예비행에 적합할 것
  • 실용 U (Utility): 최대 하중배수 4.4, 최대 이륙중량이 5,700kg 이하로서, 보통 N류에 적용하는 비행 및 60도 경사를 넘는 선회비행, 횡8자비행, 샨델 비행에 적합한 것.
  • 보통 N (Normal): 최대 하중배수 2.5-3.8, 최대 이륙중량이 5,700kg 이하로서, 보통의 비행(60도 경사를 넘지 않는 선회 및 실속)에 적합한 것
  • 커뮤터 C (Commuter): 최대 하중배수 3.8, 최대 이륙중량이 19,000lbs 이하인 비행기
  • 수송 T (Transport): 최대 하중배수 2.5이상, 항공수송 사업용으로 적합한 비행기

1.4.2. 회전익

  • 보통 N (Normal): 최대 하중배수 3.5, 최대 이륙중량이 2,700kg 이하의 회전익 항공기
  • 수송 TA (Transport A): 최대 하중배수 2.0, 항공수송 사업용으로 적합한 다발 회전익 항공기, 임계발동기가 정지되어도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것.
  • 수송 TB (Transport B): 최대 하중배수 2.0, 최대 이륙중량이 9,000kg 이하인 회전익 항공기, 항공수송 사업용으로 적합할 것.

1.5. 이착륙 방식에 따른 분류

1.6. 추진방식에 따른 분류

  • 동력항공기
    • 제트기
    • 프롭기
      • 푸셔타입: 동체를 미는 쪽, 즉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엔진 반대 방향으로 추진.
      • 트랙터타입: 동체를 견인하는 방식.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엔진 방향으로 추진.
    • 회전익기
    • 로켓추진기
    • 인력항공기
    • 비행선
  • 무동력항공기

1.7. 엔진 개수에 따른 분류

  • 단발기
  • 쌍발기
  • 다발기(3발 이상)

1.8. 속도에 따른 분류

  • 아음속기
  • 고아음속기(천음속기)
  • 초음속기
  • 극초음속기

1.9. 동체 크기에 따른 분류

  • 여객기 통로 수에 따른 분류
  • 무게에 따른 FAA 분류 - 터뷸런스 때문에 각 기준마다 이륙시 일정 시간 텀을 두도록 되어 있으며, 레이더에서 정해진 거리를 두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Super급의 항공기가 이륙한 후 동일 활주로에서 Heavy급 항공기가 이륙시에는 최소 2분, Light와 Medium 항공기는 최소 3분의 텀을 두도록 되어 있다.
    • Super: A380 An-225, 747-8
    • Heavy: MTOW 기준 300,000 lbs 이상 항공기 [보잉757]
    • Medium: MTOW 기준 41,000 lbs 초과 300,000 lbs 미만 항공기
    • Light: MTOW 기준 41,000 lbs 이하 항공기
  • ICAO Aerodrome Reference Code에 따른 분류
    • Element 1: Balanced Field Length에 따른 분류
      • 코드1: 800M 미만
      • 코드2: 800M 이상 1200M 미만
      • 코드3: 1200M 이상 1800M 미만
      • 코드4: 1800M 이상
    • Element 2: 비행기 날개 폭에 따른 분류
      • 카테고리A: 15M 미만
      • 카테고리B: 15M 이상 24M 미만
      • 카테고리C: 24M 이상 36M 미만
      • 카테고리D: 36M 이상 52M 미만
      • 카테고리E: 52M 이상 65M 미만
      • 카테고리F: 65M 이상 80M 미만

2. 항공기 제작업체

2.1. 아시아

2.1.1. 대한민국

2.1.2. 일본

태평양 전쟁 종전 이전

태평양 전쟁 종전 이후

2.1.3. 기타

2.2. 아메리카

2.3. 유럽

2.3.1. 러시아/우크라이나

3. 항공기 공학/기술 용어

3.1. 구조

여객기의 구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콕핏
동체
윙렛 날개 날개 윙렛
스포일러 스포일러
에일러론 플랩 플랩 에일러론
수평미익 수직미익 수평미익
승강타 방향타 승강타
날개 수평미익 수직미익
엔진( 터보제트엔진 · 터보팬엔진 · 제트 엔진 · 터보프롭엔진) · 랜딩 기어 · 비상구 비상탈출 슬라이드 }}}}}}}}}

3.2. 기관( 엔진)

3.2.1. 엔진의 종류

3.2.2. 엔진 제작사

3.2.3. 항공기 엔진 목록

나무위키에 항목이 개설된 것만 추가해 주세요.

3.3. 날개(주익)

항공기의 날개 분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CC,#999><colcolor=#000,#FFF> 위치 구분 고익 · 중익 · 저익
평면 형태 구분 평익 · 타원익 · 테이퍼익 · 전진익 · 후퇴익 · 델타익 · 원형익
단면 형태 구분 날개골
작동 방식 고정익 · 가변익( 경사익) · 회전익( 동축반전로터 · 탠덤로터 · 테일로터 · 틸트로터) · 오니솝터
개수 구분
고정익
단엽익 · 복엽익 · 다엽익
회전익
멀티콥터 · 쿼드콥터
기능 구분 주익 · 미익(회전익의 경우 테일로터)
주·미익 일체형
전익(동체익기 · 리프팅 바디)
기타 러더 · 플랩 · 엘리베이터 · 윙렛 · 카나드 · 스피드 브레이크
※참고: 날개 / 항공기 관련 정보
}}}}}}}}} ||
  • 날개 평면 모양에 따른 분류
  • 날개의 각도 형태에 따른 분류
    • 상반각형: 날개가 동체에서 멀어질수록 위로 올라가는 형태. 보잉 737과 같은 대부분의 저익 여객기에서 볼 수 있다. 양력중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행기의 안정성이 좋아진다.
    • 평판형
    • 하반각형: 날개가 동체에서 멀어질수록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 C-5와 같은 고익 수송기에서 주로 볼 수 있지만 중익기나 저익기에서도 종종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양력중심이 낮아지기 때문에 비행기의 조종성이 좋아지지만, 고익기라면 저익기처럼 동안정성의 증가를 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역갈매기형: 날개가 한번 꺾이는 형태. Ju 87, F4U 콜세어에서 보이는 날개 형태이다. 프로펠러를 대형화하면서도 랜딩기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 날개가 동체에 위치한 곳에 따른 분류
    • 고익기: An-225처럼 날개가 동체 윗쪽에 달린 형태. 같은 파워트레인에서 동체의 최저지상고를 최대한 낮출 수 있고, 무게중심이 양력중심보다 아래에 있으므로 비행기의 정안정성(Static Stability)이 좋아진다.[18]
    • 중익기: 고익기와 중익기의 특성이 절충되어 가장 밸런스가 잘 잡힌 형태가 되지만,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F4F 와일드캣이 대표적이다.
    • 저익기: Bf 109처럼 날개가 동체 아랫쪽에 달린 형태. 날개에 장착되는 랜딩기어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무게중심이 양력중심 보다 윗쪽에 있으므로 비행기의 조종성과 동안정성(Dynamic Stability)이 좋아진다.[19]
    • BWB(Blended-Wing-Body): 현대 전투기의 주요 설계방식으로 Su-57처럼 동체와 날개의 구분을 최소화했다. 동체에서 날개로 갈 때 부드럽게 이어진다. 항력이 줄어들어 양항비가 높아진다.
  • 날개 개수에 따른 분류
  • 날개 작동 방식에 따른 분류
  • 전익기
  • 주익
    • 우익
    • 좌익
  • 꼬리날개
    • 수평 꼬리날개
    • 수직 꼬리날개
  • 윙렛
  • 날개골(에어포일)
  • 양력
  • 조종면(Control Surfaces)
  • 받음각

3.4. 동체

3.5. 조종석

3.6. 조종사 장구류

3.7. 항공전자

3.8. 조종법/조종기술

3.9. 기타

4. 항공운송[22] 용어

여러 교통수단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용어는 교통 관련 정보를 참조하세요.

4.1. 공항

4.1.1. 시설

4.2. 운영/서비스

대중교통의 좌석 등급
일등석
( 프리미엄 버스)
우등석
( /항공)
일반석
( 프리미엄/ 베이직)
교통약자석: 휠체어석, 임산부 배려석
기타 좌석 분류: 입석, 자유석, 비상구 좌석, 벌크석

4.3. 항공사

항공사 항목을 참조.
  • 대형 항공사 ↔ 저비용 항공사
  • 화물 항공사
  • 항공기사용사업자 - 산불진화, 농약살포, 건설자재 운반, 항공측량, 사진 촬영, 조종교육을 하는 항공사를 뜻한다. 미국에서는 군에 공중급유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4.3.1. 항공 지상조업사

항공기 지상조업은 항공사가 운항할 수 있도록 지상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업무가 포함된다. 화물조업, 여객조업, RAMP조업, 운항조업, 기내식조업, 정비조업, 보안조업, 급유조업. 간단히 말하면비행기가 날 수 있도록 화물을 싣고 내리고, 여객 수하물을 싣고 내리고, 항공기를 유도하고 제설도 하고, 비행기에 급유도하고 시동걸기 위해 외부발전기를 연결하는 업무, 기내식 공급 등등의 모든 지원 업무를 말한다.

4.4. 항공 직종


자격증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항목을 참조.

4.4.1. 교육기관


자세한 전문 교육기관 현황은 여기를 참고하자. 2017년 6월 1일 기준이다.

4.5. 관련 기관

5. 관련 항목

5.1. 관련 기관·협회/관련 사이트

5.1.1. 관련 기관 및 협회

  • IATA(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국제 항공운송협회. 주요 항공사들이 이 협회의 회원사로, 항공권 가격은 이 협회가 제정한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한다.
  •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국제민간항공기구. UN의 기관이다.
  •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 교통안전공단
  • 항공안전기술원: 항공기, 공항, 항행시설의 안전성 성능을 시험 및 인증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
  • 국방기술품질원: KT-1, T-50, FA-50, KUH-1의 품질 보증 및 관리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국방과학연구소
  • NTSB(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미국 연방 교통안전 위원회. 첨단장비와 인력등을 이용해 항공사고를 수사, 권고조치를 하는 역할을 하는 전문기관이다. 미국내에서 일어난 항공사고나 보잉기에 대한 사고가 일어나면 전세계로 출동하는 기관.
  •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미국 연방항공국. 기본적으로는 미국 국내의 기관이지만 항공교통의 본좌가 미국인데다 FAA 규정을 따르지 않는 항공사는 미국에 들어올 수 없기 때문에 FAA의 규정은 전세계적인 권위를 갖고 있다.
  • NASA
  • ONERA 프랑스국가항공우주연구소
  • DLR 독일항공우주센터
  • JAXA
  • 스카이트랙스: 항공사와 공항을 평가하는 기관이다.
  • 한국항공협회
  • AOPA: 자가 비행기를 갖고 있는 개인 파일럿들의 비영리 민간 단체이다.

5.1.2. 관련 사이트

5.2. 커뮤니티/동호활동

5.2.1. 행사/전시

5.3. /사건사고

항공 사건사고 항목을 참조.

5.4. 기념비적 항공기, 인물

5.4.1. 항공사적 특이 항공기와 기록

5.4.1.1. 크기
5.4.1.2. 속도
  • 세계 최초 음속돌파 항공기: X-1 (조종사 척 예거)
  • 가장 빠른 여객기: Tu-144[27]
  • 가장 빠른 실용 유인 항공기: SR-71
  • 가장 빠른 유인 전투기: MiG-25
  • 가장 빠른 유인 항공기: X-15
  • 가장 빠른 무인항공기: X-43
  • 가장 빠른 고정익 글라이더: 우주왕복선
  • 현용 가장 빠른 여객기: 보잉 747[28]
  • 가장 빠른 프로펠러 비행기: Tu-95 동축 반전 프로펠러와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여 925km/h의 속도를 낼 수 있다.
5.4.1.3. 고도
  • 가장 높이 비행한 유인기: SpaceShipOne[29] 112,000m
  • 가장 높이 비행한 무인기: NASA Helios HP01[30] 29,524m
  • 가장 높이 비행한 유인 제트기: U-2 27,400m
  • 가장 높이 비행한 유인 프로펠러기: Grob Strato 2C 실험기 18,561m
5.4.1.4. 판매/생산
  • 가장 많이 생산된 비행기: 세스나 172[31]
    • 가장 오래 생산된 민간 비행기 타이틀 포함.
  • 가장 많이 생산된 군용기: 일류신 Il-2
  • 가장 많이 생산된 여객기: 보잉 737
  • 가장 오래 생산된 비행기: C-130
5.4.1.5. 전쟁
5.4.1.6. 특이한 항공기
5.4.1.7. 기타 유명한 항공기
5.4.1.8. 한국에서 개발된 항공기

5.4.2. 관련 인물

5.5. 항공기 관련 정보/미디어



[1] 해당 분류는 실제로는 Lighter than air-craft, 그러니까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다. 기구나 비행선은 주변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이용해 공중에 뜨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은거다. [2] 이 쪽 분류도 원문은 Heavier than air-craft, 그러니까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 [3] 일부 비행정을 제외하면 모든 비행기가 사용가능한 방식. [보잉757] MTOW가 255,000 lbs 이기 때문에 항공관제에서 미디움으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초임계 날개 구조를 적용한 덕분에 기체의 후류가 강력한 편이라 예외적으로 헤비 콜사인을 부여받는다. [5] 농담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장비를 생산하는 민간항공사로서는 유일한 사례이다. [6] Ju 88의 일본 생산품인 토카이와 소싯적에 오락실 좀 들락거려 봤으면 굉장히 익숙할 신덴으로 유명하다. [7] 주요 분야는 조선업이지만. 1945년에 일본 최초의 제트엔진이자 J9Y 킷카에 탑재되었던 ネ-20을 제조했다. [8] 일본 해군의 항공기 설계와 실험을 담당. [9] DC-3을 'L2D 0식 수송기'라는 이름으로 일본 해군에 제식채용하여 종전까지 430기를 생산했다. 또한 아이치 D3A 카와니시 N1K2-J 시덴카이를 라이센스 생산하기도 했다. [10] 1948년에 카와니시 항공기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 [11] 2017년 4월까지는 '후지 중공업'이었다. [12] 관련 CF 동영상이 감동적이다. [13] 2010년 Triumph 그룹에 인수. [14] EADS 자회사 이자 에어버스 그룹의 자회사. [15] 구 유로콥터. [16] 구 EADS의 자회사였던 EADS/카사, 에어버스 밀리터리, 아스트리움을 통합해서 출범시킨 자회사. [17] 다만 이 회사는 소련 붕괴 후 본사가 우크라이나에 있어 우크라이나 회사가 되었다. [18] 쉽게 말하자면 기울어짐(뱅크)에 대한 복원력이 좋다. [19] 쉽게 말하자면 측풍이 불면 항공기가 밀려나면서 면적이 넓은 날개쪽이 동체보다 힘을 더 크게 받아서 더 날개가 밀리는 쪽으로 기울어지는데, 고익기는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그대로 경로를 이탈하지만, 저익기는 바람이 부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조종 없이도 경로에 복귀하는 여건이 자동으로 마련된다. [20] 비행기 좌석 아래에 비치된 구명 조끼를 임의로 가져가면 항공법에 의거해 처벌받는다. [21] 최근에는 비상 슬라이드가 그 자체로 구명보트 역할도 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22] 여객, 화물 모두 포괄 [23] 영문으로는 WSO: Weapon System Officer이며 초음속으로 비행하면서 조종과 전투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선, 여러 가지 데이터를 처리해야 한다. 이 데이터의 양이 엄청나기 때문에 혼자서 처리하는것이 컴퓨터의 성능이 떨어졌던 과거에는 불가능했다. 따라서 조종사 외에 WSO라고 불리는 무기관제사가 탑승했다. 미 공군 주력 전폭기 F-15E도 결국 2명이 서로 업무를 분담해야 제대로 된 정밀타격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24] 서울, 부산, 제주 3청과 산하 출장소로 구성 [25] 이 기록과 더불어 세계 최대 이륙중량 고정익 항공기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26] 그래도 KTX-I 보다는 적다. 보잉 747과 함께 장거리용 4발 여객기의 상징. [27] 최고속도 Mach 2.35, 순항속도 Mach 2.2로 콩코드의 최고속도 Mach 2.23, 순항속도 2.02보다 빠르다. [28] 마하 0.885로 비행할 수 있다. A380 등장 전까지 세계 최대 여객기 였으며 장거리 여객기의 상징이다. [29] 항공기에서 발사되는 로켓 비행기 [30] 고고도 성층권 프로펠러 비행기다 [31] 지금도 꾸준히 다양한 사양으로 생산/판매되면서 계속해서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참고로 종전 1위는 Il-2. [32] 세계 최초의 전쟁 투입 항공기는 열기구였다. 마찬가지로 정찰 목적. [33] 물론 J-20이 의외의 카운터이고 Su-57 역시 양산형이 나왔지만 극소수인데다 공대지 임무에만 매우 제한적으로 투입 중이기 때문에 그 성능을 짐작할 수 없으며 중거리 이상 공대공은 근소한 열세, 근접 공중전 능력과 공대지 타격 능력, 기동성은 랩터보다 우위일 것으로 보인다. 자국 로우급인 F-35는 레이더나 공대지 능력 등 일부 기능이 랩터보다 우위이다. 결정적으로 미국은 랩터를 뛰어넘는 6세대 전투기 PCA를 개발 중이다. [34] 전자동 가변익은 이것을 기반으로 만든 X-5가 최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