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08:21:19

할스카랍토르

할쯔카랍토르에서 넘어옴
할스카랍토르
Halszkaraptor
파일:Halszkaraptor_escuilliei.jpg
학명 Halszkaraptor escuilliei
Cau et al., 2017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Dromaeosauridae
아과 †할스카랍토르아과Halszkaraptorinae
할스카랍토르속Halszkaraptor
[[생물 분류 단계#s-3.9|{{{#000 }}}]]
  • †할스카랍토르 에스쿠일리에이(H. escuilliei)모식종
    Cau et al., 2017
파일:halskaraptor-restored.jpg
미국의 잡지 사이언스 뉴스에서 공개된 복원도
파일:halszkaraptor58.webp
골격도

1. 개요2. 특징
2.1. 반수생 생활 논란
3. 대중매체4. 참고 문헌

1. 개요

할스카랍토르는 약 7500만 년 전 백악기 후기 몽골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이다. 속명의 뜻은 '할스카의 약탈자'이며, 여성 고생물학자들 중 최초로 공룡을 연구한 사람들 중 한 명인 '할스카 오스몰스카(Halszka Osmólska)'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1] 종명 '에스쿠일리에이'는 유럽으로 도굴된 화석을 몽골로 되돌려주어 할스카랍토르의 연구를 가능케 해준 프랑스의 화석상 '프랑수아 에스퀼리에'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2. 특징

파일:Halszkasizecom.png
사람과의 크기 비교

몸길이는 60cm 정도로 청둥오리만한 크기의 작은 공룡이었다. 매우 기다란 목을 가지고 있었는데, 아우스트로랍토르 부이트레랍토르보다도 몸 전체에서 차지하는 목의 비율이 컸다. 대신 꼬리는 짧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어 현생 두루미 황새목 조류처럼 상체를 위쪽으로 치켜세운 자세로 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뒷발의 갈고리 발톱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발견 당시에는 물고기를 먹었을 것으로 추측되었지만, 2024년의 연구에 의하면 두개골 구조 등을 토대로 무척추동물을 먹었을 것이고 식충동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하며, 안와의 크기가 두개골 전체 크기에 비해 크다는 점을 바탕으로 어두운 환경에서 잘 볼 수 있기에 야행성이거나 흐릿한 물에서 생활하기 적합했을 것이라고 한다.

2.1. 반수생 생활 논란

파일:swimzkaraptor.png
헤엄치는 자세의 복원도

(찬성) - 이 공룡을 연구하고 명명한 안드레아 카우에 의해 반수생 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앞쪽으로 쏠린 무게중심과 노처럼 납작한 앞발은 수영하기에 적합한 형태였으며, 백조처럼 콧구멍이 주둥이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긴 다리는 물가에서 이동하기에 편리했고, 뒤쪽으로 구부러진 예리한 이빨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으로 물가에 서식하면서 주로 헤엄을 치면서 물고기를 사냥하여 먹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대) - 하지만 2019년의 논문에서는 기재 당시 서술된 특징들이 할스카랍토르가 반수생 동물이었다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명확한 증거는 아니었으며,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외의 다른 비조류 마니랍토라 분류군의 다른 공룡들과도 유사점이 있다는 것으로 보아, 다른 비조류 마니랍토라와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간의 과도기적인 공룡이었다는 의견을 냈다.[2]

(찬성) - 이에 대해 할스즈카랍토르 논문의 1저자 안드레아 카우가 2020년에 반박하는 논문을 냈는데, 할스카랍토르가 과도기적인 공룡이었다는 주장이 잘못되었으며, 골격 구조가 마치 현생 비오리와 유사하고 마니랍토라 내에서도 독자적인 특징을 보이기에 반수생 생활에 적합하도록 진화한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3]

(반대) - 하지만 2022년에 스피노사우루스를 포함한 수각류 공룡들의 골밀도를 연구한 네이처 논문에서는 반수생 동물들의 골밀도가 높은 것에 비해 이 공룡의 골밀도가 낮다는 점을 토대로 할스카랍토르가 반수생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적다고 하였다.[4]

(찬성) - 한편 동년 12월 동일한 할스카랍토르아과에 속하는 나토베나토르가 발견되면서 나토베나토르의 늑골 구조 등을 근거로 할스카랍토르아과 공룡들이 반수생 생활사에 적응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시[5]되었고, 해당 분류군의 생활사에 대한 논쟁이 다시 점화되었다.

3. 대중매체

  • NHK의 공룡 다큐멘터리 공룡초세계(恐竜超世界)[6]에서 처음으로 출연했으며, 색상은 백로에서 따왔다. 강가에서 물을 마시고 있던 데이노케이루스 옆에서 물을 마시다가 물 속으로 들어가 헤엄을 쳐서 물고기를 사냥해 잡아먹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전술하였듯이 2024년 기준 할스카랍토르는 어식성 공룡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기에 시대착오적 오류이다.

4. 참고 문헌



[1] 참고로 이 분은 데이노케이루스를 명명한 학자 중 한 명이다. [2] Brownstein, C.D. Halszkaraptor escuilliei and the evolution of the paravian bauplan. Sci Rep 9, 16455 (2019). https://doi.org/10.1038/s41598-019-52867-2 [3] Cau A. The body plan of Halszkaraptor escuilliei (Dinosauria, Theropoda) is not a transitional form along the evolution of dromaeosaurid hypercarnivory. PeerJ. 2020;8:e8672. Published 2020 Feb 25. doi:10.7717/peerj.8672 [4] Fabbri, Matteo; Navalón, Guillermo; Benson, Roger B. J.; Pol, Diego; O’Connor, Jingmai; Bhullar, Bhart-Anjan S.; Erickson, Gregory M.; Norell, Mark A.; Orkney, Andrew; Lamanna, Matthew C.; Zouhri, Samir; Becker, Justine; Emke, Amanda; Dal Sasso, Cristiano; Bindellini, Gabriele; Maganuco, Simone; Auditore, Marco; Ibrahim, Nizar (March 23, 2022). "Subaqueous foraging among carnivorous dinosaurs". Nature. 603 (7903): 852–857. Bibcode:2022Natur.603..852F. doi:10.1038/s41586-022-04528-0. PMID 35322229. S2CID 247630374. [5] Lee, S., Lee, YN., Currie, P.J. et al. A non-avian dinosaur with a streamlined body exhibits potential adaptations for swimming. Commun Biol 5, 1185 (2022). https://doi.org/10.1038/s42003-022-04119-9 [6] 영어권에서는 'Amazing Dinoworld'라는 제목으로 수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