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6 21:24:21

프랑스/인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프랑스
파일:1280px-France_location_map-Regions_and_departements-2016.svg.png
1. 역사
1.1. 프랑스 왕국의 성립1.2. 프랑스 왕국의 발전1.3. 근대 프랑스의 변화1.4. 프랑스 제3공화국 시기1.5. 현대 프랑스의 성립
2. 인구 변화3. 출생 인구 변화4. 인구 증감 변화5. 기대 수명 변화6. 출산율 변화7. 주요 도시의 인구8. 관련 문서

1. 역사

1.1. 프랑스 왕국의 성립

프랑스 지역은 로마 시대 갈리아의 핵심 지역을 차지하는 지역으로 수백만명이 살고 있는 인구가 많은 지역이었다. 프랑크 왕국이 분열되면서 나온 영토가 프랑스 왕국으로 발전하면서 지역이 구체적으로 형성되었다.

프랑스 왕국은 인구 수백만명을 보유한 국가였지만 여러 세력의 난립으로 혼란스러웠다. 프랑스 왕국과 대립한 세력과 잉글랜드 프랑스 지역의 상당한 부분을 점령했었지만 프랑스 왕국은 오랜 전쟁 끝에 결국 대부분의 영토를 차지하게 되었다.

1.2. 프랑스 왕국의 발전

프랑스 왕국은 이렇게 얻은 많은 인구를 통해 유럽에서 엄청난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 프랑스 왕국은 많은 전쟁을 해야 했고 여전히 내전도 일어나고 있었지만 인구는 1500년 정도에 15,000,000명에 달해 신성 로마 제국과 비교할 수준이었다.[1]

프랑스 왕국은 지속적인 전쟁을 통해 영토를 조금씩 늘려 나갔다. 프랑스 왕국 낭트 칙령을 폐지했던 1685년 프랑스 왕국의 인구는 21,500,000명(2150만명)이 되었고 이후 유럽의 인구 증가에 따라 계속 인구가 늘어났다.

1.3. 근대 프랑스의 변화

프랑스 혁명이 발생하고 전개되는 과정에서 프랑스는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다. 1755년 처음으로 오스만 제국을 제치고 유럽 인구 1위를 달성했고, 프랑스 역사상 마지막으로 유럽 인구 1위를 한게 1814년으로 1815년 이후 러시아가 계속 유럽 인구 1위를 하게 된다. 부르봉 왕정복고가 등장한 1815년 프랑스의 인구는 31,200,000명[2]으로 증가했지만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도 인구 증가는 마찬가지로 일어나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계속 혁명이 일어나고 있었고 결국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패전하고 나서 프랑스 제3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프랑스 제3공화국이 수립된 1870년에 프랑스의 인구는 38,400,000명으로 증가했는데 유럽의 인구 성장에 비하면 조금 적지만 많은 인구였다.

1.4. 프랑스 제3공화국 시기

다른 국가에 조금씩 인구를 따라잡히던 프랑스 제3공화국은 이후 극심한 인구 정체를 맞게 된다. 다른 서유럽 국가들은 이민을 가는 인구가 더 많았는데도 빠른 인구 성장을 이루었지만 프랑스 제3공화국은 이민을 오는 인구가 더 많았지만 인구가 거의 늘지 않아 1910년 프랑스의 인구는 41,500,000명에 지나지 않았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 수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동시에 서유럽 전체에서 인구 정체가 진행되었고[3] 프랑스 제3공화국도 계속 인구가 멈춰 있었다. 프랑스 제3공화국은 다른 국가보다 적기는 했지만 이민을 가는 경우가 오는 경우보다 많아져서 인구가 더 줄어들었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프랑스 제3공화국 나치 독일에게 점령당하고 해방되면서 다시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프랑스가 국가를 재건하던 1950년에는 프랑스의 인구가 41,800,000명으로 거의 변하지 않았다.

1.5. 현대 프랑스의 성립

전쟁이 끝나고 2차 세계대전 이전과 달리 프랑스의 출산율은 3명대 초반까지 올랐고, 연 출생아수도 80만을 넘기게 되었다. 이런 상황이 오일쇼크 직전때까지 이어지며 프랑스의 골칫덩어리였던 인구 정체 현상은 해소되었고, 프랑스의 베이비붐은 타 유럽국가들보다 오래 지속된 편이다. 오일쇼크를 전후해서 베이비붐은 끝났고, 1990년대 초반 불경기때인 1993년에는 출산율이 1.66명까지 떨어지기에 이를렀지만, 그래도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루마니아, 몰도바 같은 타 라틴권 유럽국가들처럼 출산율이 1.6명 아래로 떨어지지는 않았고, 2000년 이후에는 다시 인구 증가가 빨라지고 있다. 인구 구조도 서유럽에서도 안정적인 수준으로 손꼽히고 있다. 과거의 어떤 시기보다도 프랑스가 빠른 인구 성장을 했을 정도로 많이 증가했을 시기도 있었고 지금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프랑스내에서도 이민도 늘어나면서 이민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 인구 변화

프랑스는 전체 인구가 세계적으로 많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유럽의 패권 국가로 군림해왔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을 전후하여 20세기 초반까지 유럽 다른 지역에서 인구가 폭증하는 동안 프랑스 농촌에서는 토지 상속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저출산이 보편화되었었고, 이 때문에 다른 유럽 국가들에게 인구를 서서히 따라잡히기 시작했다. 같은 이유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대량 이민이 일어났지만 프랑스는 아프리카와 동남아 일대에서 대규모 식민지를 차지했음에도 영국,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와 달리 이민자 인구는 비교적 적었던 편이었다.[4] [5]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는 베이비붐에 힘입어서 이탈리아와 영국, 독일보다 높은 출산율을 기록하였으며 1970년대 후반기에 출산율이 2.1명 아래로 떨어졌음에도 타 유럽국가들보다 높은 출산율을 기록하고 잇다.

오늘날 프랑스는 미국 등과는 다르게 민족별, 인종별 통계를 내지 않고 있다. 체감상 흑인 인구가 대단히 많아보이는데(특히 대도시에서) 이는 이탈리아 흑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흑인 인구 중에 노숙자 혹은 일용직으로 학교나 직장에 가지 않고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사람들 비율이 많기 때문이다. 물론 코트다쥐르 같은 남부 해안 휴양지로 가면 백인 인구가 압도적으로 더 많다.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전체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 전체 인구
1950년 41,836,000명
1955년 43,428,000명
1960년 45,684,000명
1965년 48,758,000명
1970년 50,772,000명
1975년 52,699,000명
1980년 53,880,000명
1985년 55,284,000명
1990년 56,735,000명
1995년 58,138,000명
2000년 59,608,000명
2005년 61,234,000명
2010년 63,027,000명
2015년 64,457,000명
2018년 65,233,000명

3. 출생 인구 변화

프랑스에서 벌어진 혁명은 프랑스의 인구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인구는 이 시기까지도 서유럽에서 많은 편이었지만 출산의 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면서 프랑스의 출생 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했다. 프랑스는 이후 과거의 출생 인구를 영원히 따라잡지 못하고 조금 줄어든 상태에서 변화하는 수준을 반복했다. 게다가 혁명이 일어난 시기 정도면 서유럽의 주요 국가 중에서도 출생 인구가 프랑스와 비슷한 수준인 국가도 상당히 있었다.

프랑스의 출생 인구는 계속 변하지 않고 유지되어 프랑스의 공화국이 시작되었을 때부터 현재까지도 출생 인구가 조금씩 줄거나 정체된다. 이미 이 시기에는 서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프랑스의 출생 인구를 앞서 나갔고 다른 국가들도 추격을 하는 상황이었다. 이후에는 서유럽의 다른 주요 국가도 출생 인구가 크게 감소해서 인구가 정체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프랑스가 상대적으로는 안정적인 상황이었다. 오히려 2000년대 이후 부터는 프랑스의 출산률이 유럽국가들 중 최고 수준으로 높아져서 인구가 더 늘어나게 되었다.

단, 최근의 프랑스의 다른 선진국 대비 높은 출산율은 이민자들의 매우 높은 출산율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프랑스로 유입되는 이민자의 대부분은 이슬람 국가나 아프리카 출신들이다. 이들의 3.3명 이상되는 높은 출산율로 인해 프랑스의 전체적인 평균 출산율도 함께 높아졌다. 이를 두고 프랑스는 이민자 때문이 아니라 각종 출산 장려 정책들 덕분이라고 선전했지만, 현실은 아프리카 지역의 출산율이 하락하자 프랑스의 출산율도 덩달아 하락했다. 심지어 지속적인 지원 정책을 펼쳤는데도 하락했다. 이 점에 대하여 김민식 저출산문제연구소장은 프랑스의 거짓 선전에 속아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가 예산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저출산 이야기 ⑭ - 프랑스 출산율의 비밀 이민자가 많은 가장 큰 이유는 식민지로 삼았던 곳이 대부분 현재까지도 소득 수준이 낮고, 국정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다.[6] 다만 프랑스에서는 인구에서 민족·인종 비율을 직접 조사하는 것이 불법이기 때문에 보인다.

그러나 이민자들이 많다고 해서 단순히 이민자들을 많이 받아들여서 출산율이 오른것이라는 얘기는 엄연히 말하자면 오류에 가깝다. 프랑스처럼 같이 이민자들의 비중이 높은 이웃국가들의 사례들은 이와는 전혀 동떨어져있다. 예를 들면 독일의 경우에는 1950~70년대에 걸쳐 튀르키예에서 수백만명의 이민자들을 받아들였고, 1990년대 이후로는 동유럽 국가들로부터 수백만명의 이민자들을 받아들였지만 이민자 유입만으로 출산율이 오르는 효과는 없었고, 1970년대 이래로 출산율이 높아봐야 1.6명대 정도를 기록하는 수준이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포르투갈도 마찬가지로 1980년대 이후로 출산율이 2명대 이하로 격감하자 출산율이 훨씬 높은 라틴아메리카[7]와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를 비롯한 중동에서 이민자들을 많이 받아들였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이어진 출산률 하락 현상을 방어하는데에는 실패해서 1명대 초중반대 출산율과 높은 노인인구 비율을 지니게 되었다.[8] 즉, 단순히 이민자들의 출산율이 높아서 출산율이 높은것이었다면 다수의 남유럽 국가들의 출산율이 왜 1명대 초중반대를 유지하고 독일의 출산율이 1명대 중반 수준에 그치는지에 대한 해답이 될수없다는것이다. 즉, 타 국가들의 경우에는 자국민들의 출산율이 1명대 초중반 수준으로 낮고, 거기에다가 개도국이라도 해도 출산율이 무조건 높은 시대는 이미 지난지 오래라서 아무리 아무리 이민자들이 많이 몰려온다 한들 출산율을 올리는데 한계가 있는데 반해, 프랑스의 경우에는 자국민들이 출산율이 그나마 높은 수준이라서 출산율이 인구대체수준에 가까운 수준으로 그나마 유지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프랑스가 출산율 방어에 성공한 나라라는 점은 이웃 남유럽 국가와 독일과 비교해서도 명확하며 프랑스 본토 여성의 출산율도 유럽기준으로 양호한 수준이다.



1800년부터 현재까지의 출생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 출생 인구
1800년 997,000명
1900년 887,000명
1950년 858,000명
1965년 866,000명
1970년 850,000명
1975년 745,000명
1980년 800,000명
1985년 768,000명
1990년 762,000명
1995년 730,000명
2000년 773,000명
2005년 774,000명
2010년 794,000명
2015년 760,000명
2016년 745,000명
2017년 730,000명
2018년 718,000명
2019년 714,000명
2020년 697,000명
2021년 702,000명
2022년 686,000명

2015년 이후 출생아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2020년에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출생아 수가 70만명 미만을 기록했다. 특히 2023년이 심각한데, 프랑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1~8월 출생아 수는 426,200명으로 2022년 같은 기간의 460,200명보다 무려 7.4% 감소했다. 출생아 수가 안정적인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로서는 충격적인 숫자인 셈. 만약 이대로 간다면 2023년 프랑스 출생아 수는 635,000명 내외로 예측된다.

4. 인구 증감 변화

특정 시기에 들어서면 프랑스는 인구가 거의 정체 수준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다른 서유럽 국가도 인구가 정체되기 시작할 때도 같이 인구가 증가하지 않아서 이런 현상은 지속되었다. 이후에도 프랑스는 별로 달라지는 것이 없어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반복된다. 처음에는 서유럽의 다른 국가들과는 다르게 오히려 이민을 가는 인구보다 오는 인구가 조금 더 많았는데도 인구는 별로 증가하지 않을 정도였고 나중에는 태어나는 인구는 더 적은데 이민을 오는 인구보다 가는 인구가 더 많아져서 인구는 거의 움직이지 않았다.
시기 자연 증감 이민 증감 인구 증감
1890년 +50,000명 +20,000명 +70,000명
1930년 +20,000명 −10,000명 +10,000명

전쟁이 끝나고 프랑스는 인구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전쟁이 일어났을 때는 서유럽 전체에서 인구가 정체 수준이었는데 이후에는 모든 서유럽 국가에서 과거처럼 빠르지는 않지만 인구가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프랑스도 이 시기부터는 태어나는 인구도 과거에 비해 급증했지만 이민 인구도 많이 와서 오랜만에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어느 순간부터는 처음처럼 이민을 많이 받지는 않았지만 별개로 인구 증가는 계속 일어났다.
시기 자연 증감 이민 증감 인구 증감
1960년 +300,000명 +150,000명 +450,000명
1980년 +230,000명 +40,000명 +270,000명

5. 기대 수명 변화

프랑스의 생활 수준은 혁명이 일어날 시기에 극적으로 개선되었다. 프랑스가 아직 왕국이었던 시기에는 프랑스의 기대 수명이 고대 시대와도 차이가 없을 수준이었고 출생 인구의 30%가 1년 이내에 사망했다. 영국이나 스웨덴 같은 국가는 이미 당시부터 기대 수명이 상당히 높았고 출생 인구의 사망 비율도 상당히 낮았다. 그렇지만 이후에는 프랑스의 평균 수명이 빠르게 늘었고 상황은 계속 나아져서 1820년에는 평균 수명이 39세였고 출생 인구의 18%만이 1년 이내에 사망했다. 이 정도면 영국이나 스웨덴과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근접한 수준이어서 이렇게 사회 구조가 개선되는 현상을 혁명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경향도 생겨났을 정도다.

프랑스의 기대 수명은 공화국이 시작될 때부터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렇게 출생 인구는 정체되는데 기대 수명은 늘어나니까 인구가 조금씩 증가해도 대부분 나이가 많은 인구가 증가해서 고령화가 진행되었다.

이후에는 프랑스와 같은 기대 수명이 가장 높은 편이었던 국가들이 대부분 가장 빠른 증가를 보였다. 출생 인구는 정체되는데 기대 수명은 늘어나니까 인구는 거의 변하지도 않는데 나이가 많은 인구만 계속 증가해서 이런 구조를 가진 많은 국가들에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1750년부터 현재까지의 기대 수명은 다음과 같다.
시기 기대 수명
1750년 25세
1800년 37세
1900년 47세
1950년 65세
시기 기대 수명
1965년 71세
1970년 71세
1975년 72세
1980년 74세
1985년 75세
1990년 76세
1995년 77세
2000년 78세
2005년 79세
2010년 81세
2015년 82세

6. 출산율 변화

1965년부터 현재까지의 출산율은 다음과 같다.
시기 출산율
1965년 2.83명
1970년 2.64명
1975년 2.30명
1980년 1.87명
1985년 1.87명
1990년 1.81명
1995년 1.71명
2000년 1.76명
2005년 1.88명
2010년 1.98명
2015년 1.98명
2020년 1.84명

7. 주요 도시의 인구

인구에 비해 국토가 넓고 인구가 넓게 퍼져있는 특성상 대도시가 적고 인구 3만만 넘어도 도시로 쳐주며 코뮌의 크기가 다양하여 도시인구의 편차가 크다. 다음 표는 인구 20만 이상 주요도시를 나타낸다. 인구는 2015년 기준이다. 보다시피 파리로의 종주도시화 현상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순위 도시명 레지옹 데파르트망 인구 면적(km2) 인구밀도(명/km2)
1 파리 일드프랑스 파리 2,206,488 105.40 20,934.42
2 마르세유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부슈뒤론 861,635 240.62 3,580.90
3 리옹 오베르뉴론알프 리옹대도시권[9] 513,275 47.87 10,722.27
4 툴루즈 옥시타니 오트가론 471,941 118.30 3,989.36
5 니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알프마리팀 342,522 71.92 4,762.54
6 낭트 페이드라루아르 누아르아틀랑티크 303,382 65.19 4,653.81
7 몽펠리에 옥시타니 에로 277,639 56.88 4,881.14
8 스트라스부르 그랑테스트 바랭 277,270 78.26 3,542.93
9 보르도 누벨아키텐 지롱드 249,712 49.36 5,059.00
10 오드프랑스 노르 232,741 34.51 6,744.16
11 브르타뉴 일에빌렌 215,366 50.39 4,273.98

코뮌의 인구로는 주요도시를 알기 힘들기 때문에 도시권의 인구를 추가로 나타낸다. 다음은 10대 주요도시권을 나타낸다.
순위 도시권명 인구 면적(km2) 인구밀도(명/km2)
1 파리 12,532,901 17,175.00 729.72
2 리옹 2,291,763 6,018.60 380.78
- [10] 2,172,055 3,905.35 556.17
3 마르세유 1,752,398 3,174.54 552.02
4 툴루즈 1,330,954 4,014.67 331.52
5 보르도 1,215,769 5,613.40 216.58
- 스트라스부르[11] 1,198,028 4,048.44 295.92
6 [12] 1,184,708 974.91 1,215.20
7 니스 1,005,891 2,560.96 392.78
8 낭트 949,316 3,301.97 287.50
9 스트라스부르[13] 780,515 2,197.70 355.15
10 719,840 2,536.44 283.80

8. 관련 문서



[1]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인구는 1600만이었다. 사실 중세 유럽에서 1천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국가는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 두나라 밖에 없었다. 나머지는 모두 천만 이하의 인구였다. [2] 동시기 영국+독일의 인구를 합친 것과 비슷하며 이를 현대로 대입하면 1억3천만이다! [3]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18년 프랑스의 자연 인구증감률은 -10.2%를 달성하게 된다. [4] 물론 이민자 비율이 비교적 적었다는것이지 상당수가 이민간것은 마찬가지라서 캐나다,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칠레 인구의 상당수가 프랑스계 이민자 후손이며, 이들 프랑스계 이민자들과 후손들의 숫자를 합치면 4천만명에 달한다 그러나 자국 이민자 후손이 억단위에 달하는 영국, 스페인이나 자국 본토 인구만큼 나오는 독일, 이탈리아와 비교하면 확연히 적은것은 사실이다. [5] 여담으로 19세기 프랑스 본토의 출산율이 매우 낮았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퀘벡 지역의 프랑스계 인구는 19세기 기준 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높은 인구 집단이었고, 미국으로도 상당수 이민하였는데 오늘날 프랑스계 캐나다인은 인구가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유전 풀이 굉장히 제한되어 있다고 한다. [6] 사실 식민지였던 국가 중 소득 수준이 높고 국정 상황도 안정적인 국가는 거의 없다. [7] 21세기에야 브라질이든 칠레든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처럼 출산율이 2명 아래인 국가도 나오고있다지만 1980~90년대에는 브라질이든 페루든 콜롬비아든 베네수엘라든간에 출산율이 아직은 높은 나라였다. [8] 이 당시에는 라틴아메리카 자체가 외채위기로 한창 경제위기에 시달리던때라서 스페인이나 포르투갈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이나 실업률이 마냥 낮은것도 아니었고(예를 들어 스페인은 1990년대 초에 실업률이 10%대 정도였고 최고 20%에 달했다)조용한것은 아니었지만 본국에 있는것보다는 나았다. 예를 들면 브라질은 연간 수천%대의 물가상승에 시달렸던 시절이었다. [9] 2015년 1월 1일에 론주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10] 벨기에 부분 포함 [11] 독일 부분 포함 [12] 프랑스 부분만. [13] 프랑스 부분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