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7:12:52

프라이빗 노트

프라이빗노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미앙 프노에 대한 내용은 다미앙 프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900020><colcolor=#ffffff> {{프라이빗노트}}
파일:프노로고.jpg
대표 조재학
과목 수학 과학 올림피아드 특목고 입시
설립 2018년 2월 20일
링크 https://live.privatenote.co.kr
1. 개요2. 수업특징3. 교재4. 과목 종류와 커리쿨럼

[clearfix]

1. 개요

친구들, 선생님과
신나게 소통하며 공부할 수 있는
프라이빗노트 실시간 수업

-프라이빗노트 홈페이지
프라이빗노트는 한국의 수학, 과학 교육 온라인 강의 플랫폼이다. 현재 실시간 수업과 동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간 수업과 동영상 강의에 있는 분야나 과목은 대부분 동일하고 중등과학, 중등수학, 물올, 화올, KMO 1차와 2차, 고등수학, 고등과학, 초등심화, 창의수학, 창의과학,초등 심화 등등 교육과정 내 기본 및 심화 강의와 올림피아드, 특목고 대비 수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는 대학교 내용은 정규 커리큘럼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KMO 에서의 정수론이나 물올,화올에서도 간접적으로 배울 수 있기는 하다. 또한 영재고입시가 끝나는 8월부터 2월까지 영재고 학원에서 일반물리와 일반화학을 공부한다.(영재고 내신 대비를 위해서는 일단 선행을 어느정도는 해야 된다) 그렇기에 실시간 수업은 아니고 인터넷 강의로 일반물리와 일반화학이 있다. 여름방학 특강 재학이의 미분방정식 정복하기 ????. 교재는 문제가 있는 자체교재와 시중에서 구입하는 교재 한 권으로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2. 수업특징

프라이빗노트의 가장 큰 특징은 인터넷 강의 Zoom 수업이 함께 통용되는 플랫폼이라는 것이다. 동영상 강의의 경우 어차피 정해져 있는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대면인 건 큰 상관이 없다. 하지만 Zoom 수업의 경우 본인의 역량에 따라 수업의 질이 좌지우지 된다. 특히 수업의 활발함, 마이크를 키는 정도는 선생님에 따라 분위기도 달라지지만 자신이 얼마나 발표를 많이 하고 더 얻어가려 하는지가 아주 중요하다.

학년의 구분이 없어 다양한 연령대의 학생들이 한 수업을 듣기 위해 모이기도 한다. 오직 한가지 제안은 자기 학년 수업을 자신이 들을 수 없는 것, 즉 '현행학습'은 안 된다.

프라이빗 노트의 강사들을 보면 나이가 많지 않거나[1] 임시 강사인 경우가 많다. 수업의 퀄리티에 있어 문제가 되진 않고[2] 오히려 그만큼 젊은 분위기 속에서 트렌드에 맞춘 강의가 강점이다. 나이가 비슷한 선생님들끼리는 서로 친하거나 먼저 알고 있던 경우도 있다. 특히 KMO 등의 올림피아드 수업에서는 수학과, 컴퓨터공학과 출신 선생님이 득실득실하니 서로 모르는게 더 이상하다.

여러모로 차별적인 시스템 덕분에 사교육계에서 점점 인지도를 키워가고 있다[3].

3. 교재

자체 교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과학은 오투 완자, 세페이드 같이 시중에 나온 문제집도 쓴다. 자체 교재의 경우, 특히 수학에서 오류가 잦은 것으로 학생들 사이에서 유명하다. 더불어 문제를 유심히 보다보면 에이급, 같은 유명한 문제집에서 베낀 티도 난다(...). 다만 어느 학원이 다른 출판사 문제집 베끼는 건 사교육계에서 하루 이틀 일어나는 게 아니기에 퀄리티 자체는 매우 우수하다.
교재 퀄리티라는 게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물론 IMO 수준이나 창의적인 문제에서는 강사 자체의 역량이 크게 작용하지만 중등KMO, 고등수학에서는 문제의 퀄리티가 매우 중요하다.(어차피 풀이가 많지도 않고, 크게 어렵지 않아 강사 차이가 적다)
프라잆노트의 교재 퀄리티가 좋은 이유는 아마도 방대한 양의 문제에서 좋은 문제를 고르기 때문일 것이다. 옛날 문제집이나 경시 문제집, 현재있는 심화 문제집, 외국 경시 문제집 등 어렵고 좋은 문제들 중에서도 정말 좋은 문제만을 뽑아서 교재에 넣기 때문에 퀄리티가 좋다. 특히 선생님들의 뛰어난 안목 덕분에 시중 교재보다 더 밀도 있는 심화문제들을 볼 수 있다.(시중문제집의 경우 쉬운 문제가 어려운 문제와 섞여있는 경우도 많고, 정말 좋은 아이디어가 있는 문제는 심화 문제 중에서도 10% 정도에 불과하다)
가끔식 문제들이 에이급에 있는 문제이다, 과학고 기출문제이다 등의 태클을 걸기도 하는데
애초에 좋은 문제를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 굳이 시중의 좋은 문제를 놔두고 자체제작 문제로만 채울 필요가 없다. 모든 영재고 학원이 이런 식으로 교재를 만든다.
주로 교재에 문제를 풀고 나면 코칭앱이라 하는 자체 시스템에 답을 입력한다. 잘 모르겠는 문제는 힌트를 볼 수도 있다[4]. 많게는 2번, 적게는 1번까지 답 입력 기회가 주어지는데 덕분에 꼼수를 시전하는 학생도 많다[5]. 만약 여기서 입력 오류가 나면 첫번째 기회가 허망하게 날라간 채로 문제를 한 번 더 풀어야 해서 긴장감이 장난 아니다. 풀고 나면 정답률, 풀이 시간과 힌트 열람 여부까지 세세하게 기록되어 부모님 선생님들은 물론 친구들끼리 서로의 성적을 볼 수 있게 된다 이것때매 망함.
원칙적으로는 코칭앱 및 교재에 있는 문제들은 사진 촬영을 금지하고 있다. 그런데 선생님들이 교재를 찍어서 숙제를 제출하라고 하거나 모르는 문제가 있으면 선생님이 있는 단톡방에 막 찍어서 올리고 그런다(...). 상업적 목적 사용 및 유포만 안 하면 널널한 편.

4. 과목 종류와 커리쿨럼


1. 과학
여타 영재고 학원처럼 물리 화학,생물,지구 네가지 분야로 나누어져 있다.
크게 나누면 중등과학, 고등과학, 올림피아드, 창의과학으로 나눌 수 있다.
프라이빗노트가 특목고 입시 위주의 학원이기는 하나 과학에서 주입식 수능형문제를 풀거나 킬러를 풀기 위한 스킬을 알려주지는 않기에 의대진학에는 좋지 않다. 물론 영재고,과학고 입시에는 수능형 문제를 안푸는 게 맞다.
대부분 중등 기본- 중등심화 - 고등기본- 고등심화 - 2과목 및 올림피아드 로 진행된다. 이 커리큘럼을 그대로 딸라갈 경우 중등기본 때 한 선생님과 계속 같이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운이 좋다면 영재고 입시를 위한 창의과학 수업까지도 딸라갈 수도 있다!(2년 넘게 보는 것 ㄷㄷ)



2. 수학
크게 나우면 중등수학, 고등수학, KMO, 창의수학으로 나눌 수 있다.
수학 기본- 심화로 이루어져 있고 대표님의 경영철학에 의해서 1학기랑 2학기를 분리해서 가르치고 있다(1학년,2학년,3학년 1학기에서 방정식,수,함수 등을 다루고 있고 2학기에는 기하,조합을 다룬다. 오히려 수학을 효과적으로 공부하기에는 이렇게 분류해서 공부하는 게 좋으나 대부분의 학원에서는 내신을 위해 그러지는 못한다.)
중등수학을 수강하는 학생수가 매우 많은 편이다. 고등수학은 그에 비해서는 매우 적다.
하지만 프라잆노트 수학의 꽃은 단연코 KMO이다. 시험을 쳐서 반을 나누고 대략 7월부터 12월까지는 KMO의 기본적인 개념 및 중등,고등에서 배웠던 도구들을 정리한다. 1월부터 KMO 시험이 있을 때까지는 실전연습을 한다.
영재고 입시를 위한 수학은 창의수학이 있다. 기본,실전,심화로 나누어져 있으면 학교에 따라 수강하는 반이 다르다.




=== 과학 커리큘럼 ===
== 중등과학 ==
== 고등과학 ==
== 올림피아드 ==
== 창의과학 ==

[1] 대부분이 대학생이다 [2] 수상 실적을 보면 어마어마 하다 [3] 영재고, 과학고 입시에서는 이미 꽤 알려져 있다 [4] 힌트가 아주 킹받게 적혀있는 경우가 있다. 반말 썼다 존댓말 썼다한다던지 말투가 수시로 바뀐다던지... [5] 이를테면 답이 2번 아니면 5번인 경우 2, 5를 연이어 입력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