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21:58:15

펌프 잇 업 The O.B.G. -The Season Evolution Dance Floor-

펌프 잇 업 OBG SE에서 넘어옴
파일:Pumpitup.pn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000000> 시리즈 목록
1기 <colbgcolor=#ffffff,#000000> 1st · 2nd · 3rd The O.B.G · O.B.G SE · The Collection · Perfect Collection · EXTRA
2기 Premiere · Prex · Rebirth / Premiere 2 · Prex 2 · Premiere 3 · Prex 3
3기 Exceed · Exceed 2 · Zero · NX · Pro · NX2 · NXA
4기 FIESTA · Pro 2 · FIESTA EX · FIESTA 2 / Infinity
5기 PRIME / PRIME JE · PRIME 2 · XX / M
6기 PHOENIX
관련 틀 보스곡 / EZ2AC / 관련 문서
}}} ||


파일:external/www.arcade-history.com/11298_1.png
1. 개요2. 특징
2.1. 모드2.2. 시스템
3. 수록곡

1. 개요



2000년 9월 3일에 출시되었으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3rd의 확장판이다. 원래 Summer Edition이라고 나올 뻔 했다가 출시 시기가 약간 늦어져서 Season Evolution이라고 나왔다. 그래서 그런지 여름과 관련된 수록곡들이 많은 편.

펌프 붐이 사그라들던 시기라 인기는 그리 크지 않았지만 채보와 BGA의 질은 높아졌고 그 덕분에 펌프 매니아층이 꾸준히 존속할 수 있었다.

2. 특징

2.1. 모드



메인화면 메뉴 선택
노말 하드
-
1P:더블
2P:배틀
리믹스
크레이지[1]

리믹스는 현행 난이도로 치면 하드와 프리스타일만 존재한다. 이 버전부터 이지가 노말로 변경됐다.

3rd에서 추가된 크레이지 모드의 평가가 좋아 강화되어 종전에 하드 모드의 부분적 히든이 아닌 아예 히든 모드로 분리. 그리고 이 시리즈부터 추가된 신곡은 웬만해선 모두 크레이지 스탭을 넣게 되었다. 지금까지도 중레벨 플레이어들에게 사랑받는 명채보 Mr.Larpus가 나온 것도 이 버전.

2.2. 시스템

3rd까지는 DDR처럼 혼자서 할 때와 둘이서 할 때 채보가 다르게 나오도록 짜여져있었으나 SE때는 이렇게 채보를 나눠서 개발하는 게 힘들었는지 이 때부터 1P, 2P가 동일하게 나오게 되었다. 그러나 후에 나온 EXTRA에서는 1P와 2P가 다른 스텝이 존재했고, 싱크로, 커플, 유니온 등의 모드도 구곡들을 위해 꽤 오래 남아있었다. 이 모드들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프리미어 2/리버스에서였다.

곡 수가 늘어남에 따라 음악 출력방식도 CD트랙에서 MP3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2] 그 덕분에 곡 프리뷰를 할때 살짝 로딩 시간이 생겼다. 이는 이후에 Mk-3기판을 쓰는 모든 펌프 버전(~프렉스 3까지)에 생기는 고질적인 문제가 된다.

여담으로 당시에는 잘 안알려졌지만 엔딩이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출현 방법이 난감하였는데 이지 모드를 제외한 모드에서 모든 스테이지를 S랭크로 클리어해야 한다. 이 당시 S 조건은 올 콤보였기 때문에(굿, 배드가 나면 안된다) 굉장히 어려웠던 편. 이 엔딩 영상은 PC용 Perfect Collection 제작자 크레딧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수록곡

전작의 곡들을 그대로 수록하고, 신곡 14곡과 리믹스 1곡이 추가되었다. 곡 수가 늘어남에 따라 더이상 4x4[3]로 곡을 나열할 수 없어 이 버전부터 처음부터 기본적으로 올송상태로 게임을 진행시킬 수 있다.

OBG를 제목에 그대로 달고 있어서 당시 전작처럼 철 지난 가요가 들어가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고 육각수의 ' 흥보가 기가 막혀'가 들어간다는 루머도 있었으나, 제목만 그럴 뿐 당시의 최신 가요를 수록하였다. 이는 SE가 3rd의 연장선상에 위치한 작품이기 때문인데 3rd의 곡들이 삭제 없이 그대로 수록되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무혼에서 유진 박이 바이올린 연주를 맡고, 사랑가의 랩은 드렁큰 타이거가 피처링하는 등 BanYa의 곡에 유명 아티스트가 참여하여 음악성을 더 높였으며, 이 시리즈부터 수록곡을 게임사이즈로 편집할 때 샘플링을 쓰지 않게 되면서 곡들의 편집 상태가 전작에 비해 깔끔해졌다.

이 버전에 수록된 노바소닉의 뛰어봐는 노바소닉이 또다른 진심으로 많은 인기를 얻은 것에 착안하여 만든 펌프의 테마곡이다. 또한 컨츄리꼬꼬의 Kiss는 이후 본작의 가정용을 포함한 어떠한 버전에서도 재수록되지 않았다. 또한 가정용은 영상파일이 마지막으로 AVI로 나왔던 버전이다.


[1] 모드 선택 화면에서 5 1 5 3 5 1 5 3을 입력하면 리믹스 모드가 크레이지 모드로 바뀐다. [2] 사실은 곡의 수보다 더 중요했던 문제가 바로 2nd, 3rd에서 제작진과 게이머들을 괴롭혔던 판정 버그의 문제였다. 펌프 잇 업 The O.B.G. -The 3rd Dance Floor- 문서 참고. [3] 3rd까지는 곡 선택 인터페이스가 기본적으로 4방향 선택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많은 수록곡을 넣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하드모드 기준으로 4방향x4스테이지=16곡밖에 못들어간다. 그나마 전곡에 모든 스텝을 다 넣지 않았기 때문에 20여곡 정도를 수록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구곡의 삭제가 나올수 밖에 없었고 3rd에서는 구곡 대부분이 잘려나간 탓에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