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0:51:24

터닝메카드(애니메이션 1기)

KBS2의 화요일 애니메이션
시작일 2014년 1월 25일 2015년 2월 3일 2016년 2월 12일
종료일 2014년 9월 5일 2016년 2월 5일 2016년 5월 12일
프로그램 명 놓지마 정신줄 터닝메카드 파파독

파일:터닝메카드 1기 로고.png
등장인물 | 메카니멀 | 설정 | 애니메이션 ( 1기 · W · W2 · 극장판 · 특별판 · 리부트 · 주제가 · 평가) | 메카드 배틀 사용기술

터닝메카드 스토리 라인
1기 2기(W) 시즌1 극장판 2기(W) 시즌2 반다인의 비밀
리부트(R)
<colbgcolor=#000000><colcolor=#ff0000> 터닝메카드 (2015~2017)
Turning Mecard
파일:터닝메카드 애니.jpg
{{{#ff000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colbgcolor=#000000,#010101><colcolor=#ff0000> 장르 액션, 어드벤처, 코미디, 카드배틀, 거대로봇, SF, 차원유랑물, 드라마
기획 초이락컨텐츠컴퍼니
감독 홍헌표
각본/시나리오 마에카와 아츠시
야마다 야스노리[1]
히라노 야스시
아카오 데코
시리즈 구성 마에카와 아츠시
캐릭터 디자인 유봉현
총 작화 감독
캐릭터 원화 황희정
문효섭
메카닉 디자인 지태옥
김민준
메카닉 3D설계 유완희
미술 감독 봉하권
색채 설계 김선희
3D감독 김석원
촬영 감독 장동희
편집 남종현
음향 CIC미디어
음악 김정아
제작 형식 2D/ 3D 하이브리드 타입 애니메이션
연출 유선주
애니메이션 제작 희원엔터테인먼트
제작 초이락컨텐츠컴퍼니
손오공
희원엔터테인먼트
방영 기간 2015. 02. 03. ~ 2017. 11. 19.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파일:투명.png 파일:투니버스 로고(2015-2019).svg
파일:투명.png 파일:Kids1.png
스트리밍 Wavve
Laftel
편당 러닝타임 30분
화수 119화 ( 분할 4~6쿨)[2]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7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7세 이상 시청가[4]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

1. 개요
1.1. 시놉시스
2. 등장인물3. 설정4. 스토리 라인5. 트레일러6. 주제가7. 방영 목록8. 편성 변경&결방 사유9. 평가10. 미국 유튜브 공개11. 리마스터

[clearfix]

1. 개요

파일:터닝메카드_a.jpg

손오공에서 나온 동명의 완구 터닝메카드를 바탕으로 초이락컨텐츠컴퍼니가 제작한 한국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TV판 제1기.[5][6]

2015년 대한민국의 아이들 사이에서 엄청난 선풍적인 열풍을 일으킨 애니메이션이자 이로 인해 장난감의 완구 수익율이 증가하는 계기가 되며 인기가 많아졌다.

작중 시간대는 2014년이다.

1.1. 시놉시스

파일:external/mecard.co.kr/img_AniIntro01.jpg

2. 등장인물

2.1.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터닝메카드/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메카니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카니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터닝메카드/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스토리 라인

  • 1부: 메카니멀 편
  • 2부: 타나토스 편
  • 3부: 트라이포스 편
  • 4부: 블랙미러 편
  • 5부: 미래세계 편
  • 6부: 이차원세계 편
  • 7부: 반다인의 비밀 편

5. 트레일러



의외로 첫 트레일러인데도 나찬, 리안, 이소벨 보다 먼저 도깨비단이 소개 메인으로 나왔었다.

6. 주제가

OP 높이 날아 (Fly High) ED 호잇호잇! 따라따라!
작사 김나영
작곡 유태진 작곡 김정아, 유태진
편곡 김정아, 유태진
기타 고태영
녹음, 믹스 리드사운드(엄찬용)
마스터링 소닉코리아(채승균)
가수 김창선 가수 이정은



가사가 작품의 분위기에 맞게 잘 짜여져 있고 연령대에 잘 맞으며 착착 감긴다는 등 평가는 좋은 편이다. 하지만 "너와 나의 히든 카드로 빠빠빠빠" 부분은 좀 아쉬운 편. 2기인 터닝메카드 W에서는 작품 분위기는 물론 가사도 바뀌었다. 가사가 3번씩 반복된다.[7] R에서는 무인편 시절 가사에 다른 보컬이 부른 리메이크 버전으로 사용되고 있다.

kt wiz 소속의 3루수 황재균, KIA 타이거즈 시절, 투수 한승혁의 응원가로 쓰인 적이 있다.

이후 가수 김창선은 메카드볼의 오프닝을 맡게 된다.
노래 가사
더 높이 날아 번개처럼 빠르게
너와 나의 히든카드로 빠빠빠빠

눈부신 너의 모습
태양보다 더 빛나게 될거야
지금 이 순간

Want to fly so high

원 투 쓰리 달려간다
오늘도 너와 나 함께 해

Take my card 보다멋진 모습을 이제 보여줄께
우릴 방해하는 그 누구도 두려울 것이 없어

히든카드 받아라 멋지게
나간다 오늘의 승리를 위해

더 높이 날아 번개처럼 빠르게
너와 나의 히든카드로 빠빠빠빠

눈부신 너의 모습
태양보다 더 빛나게 될거야 (x2)

지금 이 순간

Want to fly so high



영상에 나오는 SD캐릭터가 귀엽게 나왔고 영상 퀄리티가 좋기 때문에 한애니 엔딩 중에서 최고로 평가받고 있다.[8] 특별판은 본편 방송하고 영상이 다르며 짧게 나왔다. 가사가 2번씩 반복된다.
노래 가사
모두모두 나를봐요 나를따라 해봐요
호잇호잇 따라따라 리듬맞춰 따라해

다음다음 궁금할땐 물음표 두개
좋아좋아 제일좋아 느낌표 세개

소리높여 노래해요 누가누가 잘하나
모두모여 춤을춰요 궁디궁디 쉐이킷

여기여기 모여라 우리만의 세계
뱅글뱅글 돌아라 둘이둘이 신나게

아직까지 어지러워 이런 맙소사
왔다갔다 이리저리 이일을 어쩌나

나왔다 꿈에서 본거 같아
제자리로 고잉고잉

모두모두 나를봐요 나를따라 해봐요
호잇호잇 따라따라 리듬맞춰 따라해

다음다음 궁금할땐 물음표 두개
좋아좋아 제일좋아 느낌표 세개

소리높여 노래해요 누가누가 잘하나
모두모여 춤을춰요 궁디궁디 쉐이킷

여기여기 모여라 우리만의 세계
뱅글뱅글 돌아라 둘이서 신나게

월화수목금토일 다 즐거운 세상

7. 방영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터닝메카드/회차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편성 변경&결방 사유

  • 2015년 2월 3일 터닝메카드 첫방송.
  • 2015년 3월 3일 2015 KBS 창작동요대회 방송 때문에 연기됨.
  • 2015년 4월 13일부터 5월 4일까지 월, 화 주 2회 방송.
  • 2015년 5월 5일 어린이날 특집 KBO 리그 중계 방송 때문에 연기됨.
  • 2015년 8월 21일 금요일부터 05시 30분으로 변경.
  • 2015년 10월 9일 한글날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재방송으로 연기됨.
  • 2015년 8월 21일 5시 25분으로 변경.
  • 2015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특집 다시보는 2015 대한민국 연예가, 2016년 1월 1일 새해 특집 인간의 조건 때문에 결방.
  • 2016년 2월 5일 터닝메카드 종영.

9. 평가

방영 이전에는 이전 작인 최강! 탑플레이트의 표절 시비 등으로 평가가 좋지 않아서 우려가 있었고, 슈팅 바쿠간의 표절이라는 얘기가 나오긴 했었다. 하지만 터닝메카드는 바쿠간의 영향을 조금 받았을 정도지 아예 탑플레이트처럼 무단도용해서 표절한 것과는 거리가 멀어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진 않았다. 그리고 초반의 우려와는 달리 방영 이후 큰 인기를 얻으며 2015년 상반기 한애갤 최고의 인기 애니로 등극. 전략적 카드 배틀보다는 액션 카드 배틀이라는 점을 강조했으며 주인공마다 다양한 개성을 가졌다는 부분에서 호평을 받았다.

성우 중복이 많은 편이다. 원래 지상파가 중복이 많긴 하지만 그렇게 심하진 않아 작품 몰입을 방해 할 정도는 아니고 주/조역 대부분의 성우들이 연기폭이 넓고 캐스팅도 나름 공을 들인 구석이 있어 더빙 퀄리티는 좋은 편이다. 다만, W 시즌 2에 들어서 중복 캐스팅이 다른 시리즈보다 호불호가 갈린다. 메카니멀들을 제외한 주조연들의 중복 캐스팅은 연기톤이 완전히 달라 괜찮지만 메카니멀들은 전작 메카니멀들과 비슷하게 들리는 캐릭터(대표적으로 도라, 제트. 이 둘은 전작의 테로와 타나토스랑 목소리가 완전히 겹친다.)가 지나치게 많아졌다. 게다가 W와 W 시즌 2 메카니멀들은 모두 무인편에 메카니멀들로 출연했던 성우들로 도배를 해놨다. 무인편에 출연하지 않았던 최낙윤, 김영은은 예외.

종영으로부터 2개월 휴방 이후 2016년 5월에 2기인 터닝메카드 W가 시작되었다. 자세한 건 위의 애니메이션 항목 참조.

KBS 본방이 종료된 이후에도 투니버스, 애니맥스, 대교어린이TV, JEI 재능TV, 카툰네트워크 코리아, 닉 코리아 등 어린이 만화를 방영하는 채널들 대부분에서 방영 중이며,그동안 터닝메카드를 방영하지 않았던 챔프, 애니원, 애니박스 등 대원계 채널들에서도 2016년 3월부터 방영을 개시했다. 또한 네이버 N스토어에서도 1주일간 유료 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다운로드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는다.

2014년부터 방영하는 유희왕 ARC-V와 비교되기도 한다. 각각 무대가 다양한 차원이 존재하고, 스토리와 분위기도 밝았다가 무겁게 이어지고, 주인공들이 사라진 아버지를 찾아다니고, 카드로 배틀 을 한다는 것에서 서로 비슷하다. 그리고 한일 협력으로 제작되었다는 점도 비슷하다. 또한 진행되면서 평가가 낮아진다는 것까지 비슷하다(...). 사실 슈팅 바쿠간 시리즈도 뒤로 갈수록 파워 인플레, 여캐 비중 감소 문제 등등 때문에 망작이나 졸작까지는 아니어도 미국에서는 호불호와 평가가 극심하게 갈린다. 물론 본토인 일본 한국에서는 미묘한 편이지만.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인기를 점점 끌게 되자 초이락 손오공에게 완구 말고도 다른 분야로도 푸쉬를 해주길 바라는 팬들과 초이락이 또봇, 바클 관련으로 소통을 잘 해주는 레트로봇이나 동우 애니메이션, 아이코닉스처럼 팬들과 소통도 자주 했으면 하는 바람들도 꽤 많아졌다.

2017년 하반기에 최초로 3D 애니메이션 터닝메카드 R와 공룡과 결합한 공룡메카드가 방영하고 있으며, 기존의 2D 터닝메카드 시리즈의 스토리는 W를 끝으로 완결 날 예정으로 시즌 3는 없다고 했는데, 2018년 캐릭터 페어 발표에 의하면 9월 요괴메카드[9]라는 신 시리즈가 방영되는데다가 2019년 시즌3를 할거라고 말을 바꾸었다.[10] 그러다가 시즌 3가 신 시리즈인 빠샤메카드라는 것이 사실상 기정사실화되었다. 그 후 메카드볼까지 방영이 시작되었다.

10. 미국 유튜브 공개

2018년 미국 수출되어서 유튜브 공개 중이다. 영어 더빙을 해서 이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 중이다.

자세한건 터닝메카드(북미)문서 참조

11. 리마스터


2024년 2월, 고화질로 향상한 리마스터 버전의 방영을 예고했다. 중간에 자막이 라이포스가 라이포스라고 오타 났다
그에 따른 완구 또한 재발매 되었는데, 전체적으로 겉부분이 투명하고 안쪽 본체가 불투명했던 구버전과 달리 겉부분이 불투명하고 안쪽 본체가 투명하게 바뀐 새로운 모습으로 출시되었다.

여담으로, 리마스터 버전이 되는 2024년의 8월이 터닝메카드 시리즈가 처음으로 공개된지 10주년이 되는 해이다.
또한 러닝타임이 원작에 비해 절반이상 줄었으며, 일부 장면이 편집되거나 기술을 발동할때 나오는 카드가 바뀌었다.


[1] 파이트일발! 충전쨩!!의 시리즈 구성을 맡은 적이 있다. [2] 1기 ~ 반다인의 비밀 포함 [3] KBS 2TV 방영 [4] 케이블 TV 방영 [5] 애니메이션이 나오고 그 다음에 완구가 만들어졌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그 반대이다. 오히려 인기가 없었던 완구의 판매율은 애니메이션이 방영되면서 급격히 상승하였다. [6] 또한, 메카드 시리즈의 문을 연 작품이다. [7] W 시즌1의 오프닝이 1부와 2부로 나뉘어진다. W의 후속작인 W2, 반다인의 비밀에서도 같은 가수에 W 버전의 주제가를 쓴다. [8] 초등 음악 교과서에도 실렸다. [9] 공룡 메카드처럼, 요괴를 소재로 했다. [10] 근데 정식 제목과 방영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리고 전에 나온 기사에 따르면 원작 배경에서 시간이 많이 흐른 미래를 무대로 이야기를 풀어나갈 예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