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3:46:28

타란툴라성운

타란튤라 성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타란툴라성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R136 성단을 포함하는 성운의 최심부에 대한 내용은 NGC 207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타란툴라 성운
Tarantula Nebula
<nopad> 파일:타란툴라 성운 복합체.webp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적위 -69°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복합체
전리수소영역 복합체
거리 16만 광년
49,000 파섹
규모
크기 2.5° X 1.3°
명칭
타란툴라 성운, Tarantula Nebula Compelx, 30 Doradus Complex

1. 개요2. 상세
2.1. 형성과정
3. 구성 천체
3.1. N157
3.1.1. N157a(30 Dor)3.1.2. N157b(NGC 2060)3.1.3. N157c(NGC 2044)
3.2. LH 96
3.2.1. NGC 2050(LH 93)3.2.2. NGC 2055(LH 94)
3.3. NGC 2042(LH 89)3.4. N154
3.4.1. NGC 2048(N154A·LH 87)3.4.2. NGC 2033(N154B·LH 81)
3.5.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LH 106)
3.5.1. N158(LH 101·104)3.5.2. N160(LH 103)3.5.3. N159(LH 105)
3.6. NGC 20913.7. NGC 2052
4. 관련 문서

1. 개요

타란툴라 성운/Tarantula Nebula Complex

타란툴라 성운은 타란툴라 성운을 중심으로 하는 거대한 성운 복합체로 국부 은하군 전체에서 가장 활발한 별 형성을 진행중인 성운중 하나이다.

2. 상세

타란툴라 성운은 약 16만 광년 떨어져있지만 실시등급이 8등급일 정도로 극도로 밝은 성운으로 만약에 오리온 성운과 같은 거리(1,300 광년)에 있었다면 거의 금성만큼이나 밝게 보일 것이다.

대마젤란 은하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램 압력으로 인해 성간물질이 압축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성운은 매우 폭발적으로 항성이 만들어지는 성운으로 국부 은하군에서 가장 규모가 큰 폭발적 항성 생성 영역이다. 직경 또한 200~570 파섹으로 국부 은하군에서도 삼각형자리 은하의 NGC 604 "별들의 대요람" 성운(반지름 750광년)을 제외하면 타 성운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성운이며(반지름 500광년), 성운의 중심에는 직경 35광년의 무겁고 밝은 별들의 집단인 산개성단 R136이 자리잡고 있다.

R136 성단에는 관측사상 가장 밝은 별과 네 번째로 밝은 별인 BAT99-98과 R136a1이 속해있다.[1] 성단의 구성원이 각각 매우 무겁고 밝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 뿜어져 나오는 에너지가 성운을 보일 수 있게 하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공급한다. 성단의 추정질량은 약 45만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며 미래에 구상 성단으로 진화할 예정이다.

2.1. 형성과정

상술했듯이 타란툴라성운은 대마젤란은하의 운동방향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램 압력으로 인해 성간물질이 압축되어 필연적으로 폭발적인 별 형성이 발생하는 지역이다. 따라서 과거에도 충분히 별 형성이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폭발적인 별 형성으로 인해 당시 별 형성활동의 흔적이 거의 사라진 상황이라서 현재 관측된 것으로는 3,000만년 전에 발생되었던 별 형성까지밖에 확인할 수 없다.

이 3,000만년 전의 별 형성활동 이후 소규모의 별 형성활동만이 이어지다가[2] 약 2,000만 전 대마젤란은하가 소마젤란은하와 근접하면서 대마젤란은하가 소마젤란은하의 중성수소가스 원반 일부를 흡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중성수소가스가 타란툴라 성운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이전의 별 형성활동에 비해 월등히 높은 별 형성률을 가지는 성폭발 현상이 시작되었다. 이 2,000만년 전의 별 형성 활동 이후 약 1,200만년 전에 한번 더 폭발적인 별 형성활동이 발생하였다.

이후 약 500만년이 지난 700만년 전에 LH 96 성협을 형성한 성폭발 현상이 발생, 현재 타란툴라 성운의 기본적인 구조가 형성되고 약 1,200만년 전에 형성되었던 고질량 항성들의 연쇄적인 초신성 폭발로 인해 각각 동쪽, 서쪽에 위치해 있는 초거품인 LMC-2, LMC-3가 형성되었다. 그후 약 2~300만년 전에 LMC-2, LMC-3 초거품이 타란툴라 성운 지역에서 충돌하면서 지금의 R136 성단을 만든 강력한 폭발적 항성생성이 타란툴라 성운에서 발생되었다.[3] 그후 R136등의 중심 성운에서 나온 강력한 항성풍과 2개의 초거품의 나머지 면이 서로 충돌하면서 남쪽에 위치한 N154, N158-N159-N160 등의 성운들이 형성되었으며 150만년 전쯤 정점에 다다른 별 형성 활동은 현재까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타란툴라 성운의 근처에 위치해 있는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 N154 성운 복합체에서의 별 형성은 타란툴라 성운으로부터 시작된 별 형성의 연장선상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우선 N 158-N159-N160 성운 복합체에서의 별 형성은 타란툴라 성운 내부의 항성들에서 기원한 강력한 항성풍과 LMC-2 초거품의 확장이 동시에 충돌하면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LMC-2 초거품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타란툴라 성운에서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이온화 전선이 이동하면서 N158, N160, N159 순으로 별 형성이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내부에 거대한 산개성단이 위치하고 있으며 비록 적은 양이긴 하지만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N154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없지만 성운이 LMC-3 초거품의 확장된 경계선에 위치해 있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LMC-3 초거품의 확장과 타란툴라 성운으로부터 기원한 강력한 항성풍이 충돌하면서 별 형성이 시작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3. 구성 천체

3.1. N157

N 천체[4]
N156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7a/b/c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파일:N157.png
N157 지역의 사진

N157은 타란툴라 성운의 주요 별 형성 지역이며 타란툴라 성운을 중심으로 R136을 비롯한 수많은 성단, 성협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도 수많은 원시성들이 형성되고 있다.

타란툴라 성운을 위시한 대규모 별 형성 지역인 N157A와 NGC 2060등을 포함하는 발광성운 및 초신성 잔해인 N157B, NGC 2044등을 포함하는 발광성운 및 초신성 잔해인 N157C의 3개의 하위 구조로 나뉜다. 자세한 것은 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기 바란다.

3.1.1. N157a(30 Do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GC 207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N157b(NGC 2060)

NGC/IC 천체
NGC 2059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60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NGC 2061
비둘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60
파일:NGC 2060.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7m 51.6s
적위 −69° 10′ 23″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9.59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초신성 잔해
발광성운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2.2'
명칭
NGC 2060 , LHA 120-N 157b

NGC 2060

NGC 2060은 타란툴라 성운 내부에 위치해 있는 대규모 산개성단 발광성운, 초신성잔해이다.

NGC 2060은 일반적으로는 타란툴라 성운 내부에 있는 대규모 산개성단만을 지칭하지만, 몇몇 경우엔 산개성단을 둘러싼 발광성운과 초신성잔해(N157B)를 전부 포함하는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NGC 2060 지역은 타란툴라 성운 내부에서 R136을 위시한 성폭발 지역인 N157A 및 Hodge 301 다음으로 높은 항성밀도와 항성 형성률을 보이고 있는 지역으로 지역 내부엔 대규모 산개성단 또는 OB 성협인 LH-99 성협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MCSNR J0537−6910으로 명명된 발광성운이 둘러싸고 있는 구조다.

또한, NGC 2060 내부에선 초신성 잔해 복합체가 발견되었다. 대략 5,000년 전에 형성된 해당 초신성 잔해는 16밀리초에 한번 자전하는 펄사인 PSR J0537-6910와 O형 폭주성인 VFTS 102로 구성되어 있던 쌍성계에서 PSR J0537-6910의 초신성 폭발로 인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2023년 진행된 연구에서 5,000년 전에 초신성 폭발이 발생되었을 경우 X선 껍질은 4000km s- 1의 빠른 속도로 팽창해야 하지만, 이 속도로 초신성 잔해가 팽창하는 경우 폭발 후 플라스마 온도가 X선 스펙트럼에서 나타난 온도와 일치하지 않아 기존 초신성 잔해의 추정값이던 5,000년 이전에 형성된 최소 2개 이상의 초신성 잔해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고 결론내렸다. 따라서 현재는 NGC 2060에 상술한 쌍성계 이외에도 추가적인 초신성이 발생했다고 알려져 있다.

3.1.3. N157c(NGC 2044)[5]

NGC/IC 천체
NGC 2043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44
황새치자리의 성협
NGC 2045
황소자리의 항성
NGC 2044
파일:NGC 2044.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5m 55s
적위 -69° 11’ 03”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10.7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OB 성협
발광성운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5.5' X 4.5'
명칭
NGC 2044, LHA 120-N 157C, LH-90

NGC 2044

NGC 2044 또는 N157c는 N157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는 OB 성협 및 발광성운이다.

NGC 2044라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발광성운 내부에 위치해 있는 OB 성협 또는 산개성단만을 지칭하는 경우가 다수이지만, 일부 사이트에서는 N 157c으로 알려진 발광성운 및 초신성 잔해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LH 90 성협은 3~400만년 된 어린 부분과 6~700만년의 나이를 가진 상대적으로 나이가 많은 부분의 두 하위 성협으로 구분이 되며 Brey 58을 포함한 총 7개의 볼프-레이에별과 수십개의 적색 초거성이 발견되었다. 다만, 성협을 둘러싸고 있는 성운 및 초신성 잔해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3.2. LH 96


파일:gkgkgkkgkg.png
LH 96 및 하위 성협의 범위

LH 96은 N157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성협 복합체로 5개에 달하는 하위 OB 성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협의 평균적인 나이는 대략 6~700만년 정도로 타란툴라 성운의 구조가 성립될때에 만들어진 상대적으로 늙은 항성들의 집단이다. 자세한 것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기 바란다.

3.2.1. NGC 2050(LH 93)

NGC/IC 천체
NGC 2049
비둘기자리의 나선은하
NGC 2050
황새치자리의 성협
NGC 2051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50
파일:NGC 2050.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6m 27s
적위 -69° 22’ 10”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9.25
물리적 성질
형태 OB 성협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3' X 2.5'
명칭
NGC 2050, LH-93

NGC 2050

NGC 2050은 N157c와 N154 사이에 위치해 있는 OB 성협이다.

NGC 2055(LH 94), LH 97, LH 98와 함께 LH 96이라는 거대한 성협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 외에 해당 성협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R136을 위시한 현 세대의 항성보다 전 세대인 약 1,200~900만년 전의 성폭발 때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3.2.2. NGC 2055(LH 94)

NGC/IC 천체
NGC 2054
오리온자리의 성협
NGC 2055
황새치자리의 성협
NGC 2056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55
파일:LH 94.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6m 33s
적위 -69° 29’ 04”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8.39
물리적 성질
형태 OB 성협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1.9' X 1.3'
명칭
NGC 2055, LH 94

NGC 2055

NGC 2055는 LH 96 최남단에 위치한 성협으로 청색 초거성 1개(HD 269859)와 밝은 청색 변광성 1개(HD 269858)등을 포함하고 있다.

NGC 2050(LH 93), LH 97, LH 98와 함께 LH 96이라는 거대한 성협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 외에 해당 성협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R136을 위시한 현 세대의 항성보다 전 세대인 약 1,200~900만년 전의 성폭발 때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3.3. NGC 2042(LH 89)

NGC/IC 천체
NGC 2041
대마젤란은하의 구상성단
NGC 2042
황새치자리의 성협 또는 산개성단
NGC 2043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42
파일:LH 89.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6m 00s
적위 -68° 54’ 32”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9.58
물리적 성질
형태 OB 성협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4.5
명칭
NGC 2042, LH 89

NGC 2042

NGC 2042는 타란툴라 성운 북서쪽에 위치해 있는 산개성단 또는 OB 성협이다.

중심에 위치한 황색 초거성 HD 269840, 단일 볼프-레이에별인 Br 6, 볼프-레이에별과 청색 초거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쌍성인 Br 64등이 주요 구성원이며 성협 내부의 항성들의 평균 나이는 대략 700만년 정도로 추산된다.

3.4. N154

N 천체[6]
N15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4
LHA 120-N 154
<nopad> 파일:N154.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4m 54.7s
적위 -69°42' 05.9"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전리수소영역
거리 16만 광년
49,000 파섹
규모
크기 17.5' X 15'
명칭
LHA 120-N 154, DEM L 246, MCELS L-306, MDM 51

N154

N 154는 타란툴라 성운의 최서단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고리 모양의 발광성운 및 초껍질 구조다.

앞서 상세 문단에서 상술했지만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으나 북서쪽에 있는 LMC-3 초거품과 타란툴라 성운 쪽에서 기원한 항성풍이 서로 충돌하면서 폭발적인 별 형성이 진행되면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성운의 구조는 N154A(NGC 2048), N154B(NGC 2033 및 NGC 2037)의 2개의 하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분 모두 별개의 성협인 LH 87, LH 81를 가지고 있다.[7]

3.4.1. NGC 2048(N154A·LH 87)

NGC/IC 천체
NGC 2047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4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성협
NGC 2049
비둘기자리의 나선은하
NGC 2048
파일:asdasdasdasd.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5m 45.2s
적위 -69°37' 42.7"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12.2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OB 성협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1.4' X 1'
명칭
NGC 2048, LHA 120-N 154A, LH 87, HD 269822

NGC 2048

NGC 2048은 N 154 성운 동쪽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 및 OB 성협이다.

N 154 전체에서 가장 밝은 부분중 하나로 타란툴라 성운의 항성들에서 기원한 항성풍에 의해 항성 형성이 촉발되어 형성된 LH 87 성협이 성운 내부에 위치해 있다는 것 외에 알려진 바는 없다.

3.4.2. NGC 2033(N154B·LH 81)

NGC/IC 천체
NGC 2032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GC 203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성협
NGC 2034
황새치자리의 성협
NGC 2036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3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성협
NGC 2038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33
파일:asdasdasdasd.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4m 48s
적위 -69°42' 52.3"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10.3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OB 성협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6' X 4.6'
명칭
NGC 2033/2037, LHA 120-N 154B, LH 81

NGC 2033

NGC 2033 또는 NGC 2037은 N 154 성운 서쪽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 및 OB 성협이다.

NGC 2033은 N 154B 서쪽에 위치해 있는 성협, NGC 2037은 N157B 동쪽에 위치해 있는 성협을 지칭하는 번호이지만 최근에 들어서 두 번호 모두 N 154B 내부의 발광성운 및 성협을 의미하는 동의어로 취급받고 있다.

내부에 LH 81 OB 성협이 위치하고 있으며 성협 중심에는 수백개의 항성들로 구성된 BCDSP 8 산개성단이 발견되었다. 성협 전체규모에서 바라봤을 때 청색 초거성 볼프-레이에별로 구성된 이중성계인 Sk -69°194, 단일 볼프레이에별인 Br 50, O형 초거성과 볼프-레이에별로 구성된 이중성계인 Br 53의 3개의 볼프레이에별 항성계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O형 전주계열성|인 W28-23와 W28-5 또한 성협 내부에서 발견되었다.

3.5.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LH 106)

N158-N159-N160 Nebula Complex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
<nopad> 파일:LH 106.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적위 -69°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전리수소영역
OB 성협 복합체
거리 16만 광년
49,000 파섹
규모
크기 1° X 20'
명칭
LHA 120-N 158-159-160 성운 복합체
LH 106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는 타란툴라 성운의 최하단에 위치해 있는 거대한 성운 복합체로 타란툴라 성운 전체에서 N157 지역 다음으로 강력한 별 형성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다.

LH 101, 103, 104, 105, 108등을 포함하는 초거대 성협 복합체인 LH 106이 성운 복합체 전역에 걸쳐 퍼져 있으며 상세 문단에서 상술했듯이 이 성협들은 타란툴라 성운의 항성풍과 LMC-2 초거품이 충돌하면서 형성되었으며 두 천체가 충돌한 시점에 따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N158-159-160 순으로 별 형성이 시작되었다. 또한, 성협 구성원이 평균적인 나이는 대략 300~400만년으로 해당 값을 통해서 N158-159-160 복합체의 별 형성은 타란툴라 성운의 별 형성이 절정에 달했을 시기에 공동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파일:LH 106ㅇㅇ.png
LH 106 및 하위 성단의 범위

3.5.1. N158(LH 101·104)

NGC/IC 천체
NGC 2073
토끼자리의 타원은하
NGC 2074
황새치자리의 성협
NGC 2075
테이블산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0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GC 2081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2
황새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N 천체[8]
N15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8
LHA 120-N158
<nopad> 파일:N158.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9m 01.9s
적위 -69°29' 03.2"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전리수소영역
OB 성협
거리 16만 광년
49,000 파섹
규모
크기 13' X 20'
명칭
NGC 2074/2081 LHA 120-N 158
LH 101·104

N158

N158은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의 최북단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이다.

성운은 고리 모양이 특징인 동쪽 부분(N158A), 일반적인 발광성운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서쪽 부분(N158C)으로 구분되며 소규모 성운인 N158B, D도 성운 내부에 소속되어 있다.

성운 내부에 소속되어 있는 OB 성협은 LH 104와 LH 101a,b로 3개이며 각각 N158A의 중심부, N158C 전체에 위치해 있다. LH 104의 나이가 2~600만년, LH 101a가 3~600만년, LH 101b가 200만년 이하의 나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N158의 형성과정은 LH 101, LH 104a가 3~600만년전에 형성되었으며 이후 기존 성협에 위치해 있던 고질량 항성들의 초신성 폭발과 항성풍으로 인해 2차적으로 별 형성이 촉진되며 LH 101b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지금도 LH 101의 북서쪽 부근에서 폭발적인 별 형성이 진행되고 있음의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운 전체에서 약 6개의 볼프-레이에별이 발견되었으며 수십개의 O형 주계열성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3.5.2. N160(LH 103)

NGC/IC 천체
NGC 2076
토끼자리의 렌즈형은하
NGC 2077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GC 207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GC 2079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NGC 2080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1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GC 208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6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6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7
화가자리의 막대나선은하
IC 2144
황소자리의 반사성운
IC 2145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IC 2146
테이블산자리의 구상성단
N 천체[9]
N15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60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61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60
LHA 120-N160
<nopad> 파일:N160.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9m 32.5s
적위 -69°37' 40.9"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전리수소영역
OB 성협
거리 16만 광년
49,000 파섹
규모
크기 13' X 20'
명칭
NGC 2077/2080/2085/2086, IC 2145, LHA 120-N 160
LH 103

N160

N160은 N158-N159-N160 성운 복합체의 중간부분에 위치해 있는 발광성운으로 폭발적인 별 형성이 발생하고 있는 중이다.

성운은 크게 N160N과 N160S로 나뉘며 이중 N160S는 N160A(NGC 2080,유령머리 성운), N160B(NGC 2085), N160C(NGC 2086), N160D(NGC 2077)등이 포함되어 있어 대부분의 항성형성과 성간물질이 밀집되어 있다.

성운 내부에는 LH 103으로 명명된 OB 성협이 존재하며 성협 내부에 적색 초거성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상술한 N158 내부의 LH 104, 101a등의 성협들이 수십개의 적색초거성을 포함하는 것과 대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서 현재 학계는 N 158과 달리 N160의 별 형성이 기껏 해야 수십만년 안에 촉발되었으리라고 추정하고 있다.

N160의 별 형성의 시작은 근처에 있는 SGS 19 초껍질의 팽창과 N158 및 타란툴라 성운의 항성풍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수십만년 전의 강력한 별 형성으로 인해 이미 N160 근처의 분자운은 사라진지 오래되었다고 한다.

성협 내부에선 053949.17−693747.4으로 명명된 O형 폭주성 또는 O형 주계열성과 B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이중성계를 비롯한 수십개의 O형 주계열성과 3개 이상의 볼프-레이에별이 발견되었다.

3.5.3. N159(LH 105)

NGC/IC 천체
NGC 2077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NGC 2078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NGC 2079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NGC 2078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NGC 207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0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2
황새치자리의 막대나선은하
NGC 208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3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4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및 산개성단
NGC 2085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및 발광성운
N 천체[10]
N158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9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60
황새치자리의 발광성운
N159
LHA 120-N159
<nopad> 파일:N159.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9m 36.1s
적위 -69°44' 30.7"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전리수소영역
OB 성협
거리 16만 광년
49,000 파섹
규모
크기 4' X 4'
명칭
NGC 2078/2079/2083/2084 LHA 120-N 159
LH 105

N159

N159는 N158-N159-N160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작은 원 모양의 성운으로 나이가 최대 100만년으로, 복합체 전체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성운이다.

성운은 희미한 원 모양의 발광성운에 4개의 밝은 소규모 성운이 약 50광년의 거리로 떨어져 있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각 N159A, LHA AN, 빠삐용 성운(Papillion Nebula), 중앙 전파 지역(Central Radio Peak)로 명명된 이 4개의 별 형성 지역에서는 현재도 수백개 이상의 전주계열성 및 원시성들이 형성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빠삐용 성운이라는 이름이 붙은 N159-5는 2광년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희귀한 구조인 양극성 방울(Blob)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내부에서 최소 10개 이상의 원시성이 형성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성운 내부에는 LH 105로 명명된 OB 성협이 위치해 있으며 N159 북쪽에 위치한 O형 주계열성 및 볼프-레이에별등이 주를 이룬다.

3.6. NGC 2091

NGC 천체
NGC 2090
비둘기자리의 정상나선은하
NGC 2091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NGC 2092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NGC 2091
파일:NGC 2091.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40m 46s
적위 -69° 25’ 32”
별자리 황새치자리
겉보기 등급 12.1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OB 성협
발광성운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1.2'
명칭
NGC 2091

NGC 2091

NGC 2091은 N158 남동쪽에 위치해 있는 소규모 산개성단이다.

1826년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주변에 위치한 N158과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타란툴라 성운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지의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위치상 N158에 매우 밀접하게 붙어있기 때문에 적어도 수천만년 전에 타란툴라 성운의 항성 이전 세대에서 형성되었을 산개성단으로 추정된다.

3.7. NGC 2052

NGC 천체
NGC 2051
테이블산자리의 산개성단
NGC 2052
Unknown[11]
NGC 2053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NGC 2052
파일:asdaasdasdasd.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7m 15.8s
적위 -69° 46’ 03”
별자리 황새치자리
물리적 성질
거리 160,000 광년
49,000 파섹
겉보기 크기 18' X 12' ?
명칭
NGC 2092

NGC 2092

NGC 2092는 기록상 1834년 존 허셜이 발견한 타란툴라 성운 근처에 위치해 있는 희미한 성운으로 알려져 있으나 해당되는 위치에서 별다른 성운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위치해 있는 희미한 발광성운이나 암흑성운은 당시 기술로 관측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근 20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도 정체가 밝혀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기록상 위치 서쪽에 있는 거대한 V자형 성운이 NGC 2052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성운이 장노출에서 겨우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너무나도 희미하기 때문에 당시 존 허셜이 해당 성운을 발견했을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N154 남쪽에 위치한 작은 발광성운과 암흑성운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기록상 NGC 2052의 겉보기 크기가 10분각은 족히 넘기 때문에 해당 발광성운과 암흑성운만으로는 기록상 겉보기 크기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NGC 2052는 현재까지도 해당되는 천체가 무엇인지에 대해 논란이 많으며 정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여러 추측들이 나오고 있으나, 각 주장들 모두 납득되지 않는 여러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는 추측은 나오지 않고 있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상세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상세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가장 밝은 별은 2020년까지는 R136a1이었지만 같은 성운 내의 BAT99-98과 우리은하 중심부의 G0.238-0.071이 더 밝은 별로 밝혀졌다. [2] 성폭발 현상은 1,000만년 이상으로 길게 이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폭발 현상이 발생하는 시점 사이사이에 별 형성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과도기가 존재한다. [3] 이는 대규모 성운의 별 형성이 끝난 직후 다시 동일한 자리에서 대규모 성운이 형성되는 주된 까닭이 초신성 폭발로 인한 초거품의 팽창 또는 충돌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이기도 하다. [4]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5] N157c는 헤나이즈 원본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번호이지만, 이후 N157의 구조를 구분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명명된 번호이다. [6]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7] 다만, 전체 성협은 좀 더 규모가 큰 LH 81의 이름을 따서 LH 81 성협 복합체로 불려진다. [8]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9]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10] 공식적인 번호는 LHA 120-N **으로 부여되지만, 이름이 너무 긴 관계로 대부분 N **이라는 약칭으로 불린다. [11] 기록상 위치는 황새치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