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31 01:04:39

존 샬리카시빌리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50><tablebordercolor=#3366cc>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기.svg 미합중국군
역대 합동참모의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우주군
1대 2대 3대 4대 5대
육군
오마 브래들리
해군
아서 래드포드
공군
네이선 트와이닝
육군
라이먼 렘니처
육군
맥스웰 테일러
6대 7대 8대 9대 10대
육군
얼 휠러
해군
토머스 무어
공군
조지 브라운
공군
데이비드 존스
육군
존 베시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해군
윌리엄 크로우
육군
콜린 파월
육군
존 샬리카시빌리
육군
휴 쉘튼
공군
리처드 마이어스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해병대
피터 페이스
해군
마이크 멀린
육군
마틴 뎀프시
해병대
조지프 던퍼드
육군
마크 밀리
21대
공군
찰스 브라운
}}}}}}

미합중국 제13대 합동참모의장
존 샬리카시빌리
John Malchase David Shalikashvili
ჯონ მალხაზ დავით შალიკაშვილი
파일:external/e221c9038e40b621d77ef3f830264c3e1af695c67520dedaab24b6c3a9c2ce12.jpg
<colbgcolor=#3366cc><colcolor=#ffffff> 출생 1936년 7월 27일
폴란드 공화국 바르샤바
사망 2011년 7월 23일 (향년 74세)
군사 경력
임관 간부사관
복무 미합중국 육군
1958년 ~ 1997년
최종 계급 대장 (미합중국 육군)
최종 보직 합동참모의장
주요 보직 84야전포병연대 1대대장
1기갑사단 포병사령관
9보병사단장
유럽연합 최고사령관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미국 군인. 13대 합참의장을 지냈다. 미국 내에 10만명에 불과한 조지아계 미국인으로 합참의장까지 올랐으며 사병 출신 장성이기도 하다.

2. 생애

1936년 7월 27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집안 내력이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시대의 소용돌이에 휘말려서 매우 드라마틱하다. 조지아 귀족 집안으로 아버지 드미트리 샬리카시빌리(Dimitri Shalikashvili, 1896-1978)는 공작이었다. 존의 증조할아버지는 제정 러시아의 장군이었던 드미트리 스타로셀스키(Dmitry Staroselsky)였다. 러시아 혁명 당시에 조지아 민주공화국이 수립됐고 드미트리 샬리카시빌리는 조지아군 중령으로 복무했다. 1921년에 소비에트 러시아가 소비에트-조지아 전쟁을 일으켜 조지아를 점령했을 때 드미트리는 업무상 터키에 나가 있던 참이었다. 드미트리는 폴란드로 피난 간 조지아인들에 합류했다. 드미트리는 폴란드에서 폴란드와 독일의 혈통을 지닌 백작 출신 마리아(Maria Rüdiger-Belyaeva)를 만나 결혼했고 폴란드군에 입대했다. 그 과정에 세 아들을 낳았다. 첫째 오서 샬리카시빌리[1], 둘째가 존이었다. 셋째는 게일.

1939년에 나치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한뒤 점령했다. 드미트리는 1941년에 독일 국방군 조지아 군단에 편입되어 1944년에 노르망디로 갔다. 드미트리는 영국군에 항복해 포로가 되었고 폴란드에 있던 마리아와 세 아들은 소련군을 따라 독일 파펜하임으로 갔다. 여기서 가족은 재결합했고 존은 처음으로 미군을 목격했다고. 가족은 파펜하임에서 8년간 살았고 존이 16세가 된 1952년에 미국 일리노이로 이주했다.

아버지는 전기회사 아메런에서 근무했고 어머니는 은행에서 근무했다. 존은 이주 당시에 영어가 서툴렀으나 브래들리 대학교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하고 1958년에 졸업했다. 그리고 1958년 5월에 처음으로 국적을 취득해 미국인이 되었다. 그전까지 그는 무국적자였다.[2]

1958년에 미 국적을 취득하자 미 육군에 입대하여 일병으로 근무하던 중에 간부사관( OCS)을 지원하여 1959년에 소위로 임관했다. 형인 오서는 1955년에 OCS로 임관했다. 존의 병과는 포병이었다. 임관한 이후, 알래스카 주둔 부대에서 박격포 소대장으로 육군 생활을 시작한 존은 육군방공학교에서 중위 대위 시절을 보내던 중 유럽으로 보내져서 유럽육군사령부의 정보, 작전, 지휘 부서에서 근무했다.

소령으로 진급한 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해서 남베트남군 선임 관구 자문관으로 있던 중 소규모 수색 작전 도중 적의 공격에 용감하게 저항해 동성무공훈장을 수훈했다. 해군전쟁대학을 거친 후 제212야전포병단 예하 제18포병연대 제2대대의 부대대장을 지냈고, 한국에 파병된 뒤에는 유엔군과 주한미군에서 작전장교로 근무했다. 육군 군인사센터에서 근무하던 중, 중령으로 진급한 존은 9보병사단 포병 보조화력지원조정관과 제84야전포병연대 제1대대장을 지낸 뒤 육군전쟁대학에 입학했다. 육군전쟁대학을 졸업한 뒤, 남유럽특수임무부대 작전처 부장을 거쳐 대령으로 진급했고, 제1기갑사단 포병사령관을 지냈다. 본토로 돌아온 뒤에는 육군본부와 합동참모본부의 작전과 정책 부서에서 근무했다.

준장으로 진급한 존은 제1기갑사단 부사단장이 되었다. 이후 육군본부로 돌아와 작전참모부의 합동정책 부부장과 전략계획정책국장을 지냈다. 소장으로 진급한 존은 제9보병사단장이 되었는데, 이 때 전력사령관이던 콜린 파월 장군의 눈에 띄게 된다. 중장으로 진급한 뒤 유럽육군 부사령관이 된 존은 걸프 전쟁 당시에는 성공적인 민사작전을 수행했는데 터키 정부의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만나고 이라크군의 주요 요인들과도 대면 접촉했다. 미국으로 복귀한 존은 콜린 파월 합동참모의장의 보좌관을 지낸 뒤, 대장으로 진급해 유럽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년 뒤인 1993년에 빌 클린턴은 존을 콜린 파월에 이어 합동참모의장으로 지명했다. 4년의 합참의장 임기 동안 테일후크 스캔들 제러미 마이클 보더 해군참모총장의 자살 같은 내부 문제와 북한 핵시설 공습[3]을 진지하게 검토하는등 피곤한 임기를 마치고 1997년에 군문을 나섰다. 2004년에는 존 케리 민주당 후보의 대선 당시 자문을 맡았다. 그 해에 뇌졸중을 겪었고 결국 2011년에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1] 1933-, 미 육군 대령을 지냈다. [2] 폴란드에서 태어났지만 조지아 망명자의 자식이라 폴란드 국적을 주지 않았다. [3] 이게 1990년대 미국의 이슈들 중에서도 가장 골때리는 이슈였는데, 이 1994년이 중국이 아직 덜 큰 상태에 러시아도 맛이 간 시절이라 타이밍만 따지면 미국이 북한을 정리하기엔 그리 나쁘지는 않을 때였다. 하지만 남한 측과의 불협화음, 그리고 남한에 있던 미국인 최소 10만명의 일괄 소개, 그리고 남한에 있는 기타 우방국들의 추가 소개, 그리고 당시 김영삼 한국 대통령의 극렬한 반대에 부딪혀 전쟁 일보 직전에서 지미 카터의 방북이 성사되며 조용히 지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