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22:04:36

SVNS

SVNS
파일:HSBC SVNS Logo.png
<colbgcolor=#ffc> 정식 명칭 HSBC SVNS[1]
이전 명칭 IRB 세븐스 월드 시리즈(1999~2014)
세븐스 월드 시리즈(2014~2015)
월드 럭비 세븐스 시리즈(2015~2023)
창설 1999년
종목 7인제 럭비
주관 월드 럭비
팀 수 12팀[2]
최근 우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2023-24시즌)
최다 우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4회)
하위 대회 월드 럭비 세븐스 챌린저 시리즈

1. 개요2. 역사3. 참가국4. 승급전5. 역대 대회 순위
5.1. 2023년 이전5.2. 2023년 이후5.3. 시즌 우승 횟수5.4. 시리즈 우승 횟수
6. 상훈7. 개인 기록8. 기타

[clearfix]

1. 개요

SVNS, 또는 세븐스는 2023년 월드 럭비가 새롭게 명칭을 변경한 7인제 럭비 세계 최고 대회다. 대회는 매년 개최되며, 상비군 개념인 7인제 대표팀들은 12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진행되는 시즌에 7개의 지역 대회를[3] 치르고, 누적 순위에 따라 결승전 대회 참가자를 가린다. 즉, 각 대회를 우승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꾸준히 성적을 유지해서 결승전에 진출하고[4], 결승전에서 바짝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브랜드 명칭이 변경되기 전인 2022-23시즌까지는 16팀 체제로 한 시즌은 9~10개의 시리즈로 이루어졌었다. 결승 대회도 따로 없었고, 시즌 전체 성적을 합해 우승을 가렸다.

대회 중에서 홍콩 세븐스는 7인제에서 가장 권위 있고 인지도 높은 대회로 손꼽힌다.

7인제 럭비의 최강자는 남아공, 뉴질랜드, 피지다. 남아공은 선수들 개개인의 신체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고 뉴질랜드는 능력치가 꽉 찬 다이아몬드라 꾸준히 잘하는데, 피지는 마치 운동장 위에서 노는 어린아이들 같아서 기복이 심하지만 잘할 때는 스포츠의 경지를 넘어 신들린 듯한 묘기를 보여주며 상대팀의 강함에 상관 없이 제멋대로 갖고 놀기도 혼다. 큰 대회 결승에선 대부분 피지가 이긴다. 실제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뉴질랜드는 메이저 대회(월드시리즈, 올림픽, 월드컵) 결승에서 피지를 만나면 무조건 졌다. 2022년 월드시리즈 마지막 대회에서 비로소 피지를 꺾었다.

2014년부터 HSBC 그룹이 후원하고 있다.

경기 일정이 매우 짧은 7인제 대회의 특성상 여자부도 남자부와 같은 시기 같은 장소에서 대회가 치러지지만 본 문서는 아직 남자부에 대해서만 서술하고 있다.

2. 역사

최초의 7인제 국제 대회는 스코틀랜드에서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결성 100주년을 기념해 1973년에 열렸다[5]. 7개국이 참가했고, 결승에서 잉글랜드가 아일랜드를 22:18로 꺾고 우승했다.

1976년 홍콩에서 홍콩 세븐스가 처음으로 개최되었고, 이때를 기점으로 많은 7인제 국제 대회가 우후죽순 생겨났다.
1999년엔 비로소 7인제 월드 시리즈가 개막했다. 첫 해는 10개 시리즈 중 8개 시리즈에서 뉴질랜드와 피지가 결승에서 만났다고 한다. 결국 뉴질랜드가 마지막 대회에서 이기며 근소하게 우승했다. 이후 뉴질랜드는 2005년까지 여섯 시즌을 연달아 우승한다.

3. 참가국

2022-23시즌 팀 구성은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피지,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미국, 프랑스, 뉴질랜드, 사모아, 스페인, 케냐, 캐나다, 일본, 영국[6], 우루과이다. 우루과이는 2022년 승급전 우승으로 올라왔다.

2021년부터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는 영국 단일팀으로 출전하고 있다.

대한민국도 가끔 초청되어 참가했었다. 가장 최근으로는 2019-20시즌 LA세븐스에 초청되었고[7] 16위로 마감했다. 최고 성적으로는 2000-01시즌 11위.

4. 승급전

2012-13시즌 이후로 최하위 팀은 다음 시즌에 배제하는 승급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래서 매 시즌 한 팀이 강등되고 승급전 우승팀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2019년까지는 매년 홍콩 세븐스에서 별도로 예선 토너먼트를 진행했지만 2020년부터 별도로 대회를 분리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월드 럭비 세븐스 챌린저 시리즈 참조. 장소와 시기만 달라진 것이고 예선전 참가 자격은 전세계 6개 지역(아시아,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유럽, 북미, 남미) 세븐스 대회 성적에 따라 결정된다.
<rowcolor=#fff> 시즌 고정 참가팀 강등 승급
<colbgcolor=#ffc> 2011-12 12팀 팀 증편으로 없음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12-13 15팀 승강 미실시
2013-14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14-1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015-16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16-17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17-18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18-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2019-20 팀 증편으로 없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021 16팀 승강 미실시
2021-22 영국팀 통합으로 없음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2022-23 15팀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팀 감편으로 없음
2023-24 12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일본의 눈물겨운 생존기
코로나19가 확산된 이후 2019-20시즌은 조기 종료됐고, 따라서 별도로 강등팀을 선정하지 못했다.
2021년 이후 웨일스, 잉글랜드, 스코틀랜드는 그레이트 브리튼 단일팀으로 출전하게 되어 2자리가 비게 됐는데, 고정 출전 팀을 원래대로 16개에서 15개로 줄이고 한 팀을 승급시킴으로써 강등을 하지 않았다. (아일랜드는 북아일랜드와 단일팀으로 그대로 출전) 2022-23시즌에 이르러서야 다시 원래 방식대로 돌아왔다.

2023-24시즌은 15+1팀에서 12팀 체제로 변경하며 3팀이 챌린저 시리즈로 강등되었다. 시즌별 상위 8팀이 결승 대회에 참가하며, 하위 4팀 및 챌린저 시리즈 상위 4팀이 같은 경기장에서 승강전을 치른다. 즉 시즌별 마지막 대회 참가 팀은 16개국이다.

5. 역대 대회 순위

5.1. 2023년 이전

<rowcolor=#fff> 시즌 시리즈 수 우승 준우승 3위 4위
<colbgcolor=#ffc> 1999-00 10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2000-01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2001-02 11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002-03 7개[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003-04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004-05 7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005-06 8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006-07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007-08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008-09 8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009-10 8개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010-11 8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011-12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2012-13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2013-14 9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014-15 9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015-16 10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16-17 10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017-18 10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18-19 10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019-20 6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21 2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021-22 9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022-23 11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2023년 아르헨티나는 처음으로 준우승에 올랐으며, 프랑스도 처음으로 4위권에 등극했다. 잉글랜드는 최고인 적은 없지만 정말 꾸준하게 해왔다. 최근 들어 팀 통합을 했음에도 신통치 않은 모습이다.
의외로 15인제에서는 월드컵 예선 턱걸이인 미국도 상당히 잘 한다. 2015년부터 고정적으로 종합 6위 안에 들고 있다. 15인제에 비해 인원수도 적어서 소수의 유능한 인재로도 충분히 좋은 성적을 낼 수 있고, 무엇보다 미국이기 때문에 "소수의 인재"들의 질이 굉장히 높기 때문.
케냐, 캐나다도 7인제 강팀이다. 반대로 통가는 인구가 워낙 작아 저변이 약해 7인제까지 투자할 여력이 없는것 같다.

5.2. 2023년 이후

<rowcolor=#fff> 시즌 우승 준우승 3위 4위
2023-24 정규시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결승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022-23시즌에 이어 아르헨티나가 매우 강력한 모습을 줄곧 보여줬으나, 결승전인 마드리드 대회에서 프랑스가 아르헨티나를 누르고 역사상 첫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쾌거를 거두었다. 감독 교체 후 성적이 부진한 피지는 썩어도 준치라고 중요한 대회에서 뉴질랜드를 누르고 3위를 차지했다.

5.3. 시즌 우승 횟수

<rowcolor=#fff> 우승 준우승 3위 4위
<colbgcolor=#ffc>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4회 1회 5회 3회 (2023-2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4회 9회 1회 4회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4회 6회 9회 (2023-24) 6회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회 1회 2회 3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1회 - 2회 4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회 (2023-24) - - 1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 4회 5회 2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2회 (2023-24) 1회 1회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1회 -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1회 - -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 - 1회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 - 1회

5.4. 시리즈 우승 횟수

<rowcolor=#fff> 횟수 2023-24
<colbgcolor=#ffc>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69회 (2024년) 2회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44회 (2022년)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41회 (2023년) 1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19회 (2017년) -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11회 (2023년)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9회 (2023년)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9회 (2024년) 3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3회 (2024년) 2회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회 (2019년)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2회 (2017년)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회 (2017년) -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회 (2016년) -
이걸 보면 뉴질랜드, 피지, 남아공 세 팀이 얼마나 적폐 수준인지 알 수 있다.

6. 상훈

매 시즌 최다 득점자, 최다 트라이, 그리고 올해의 선수를 각 1명씩 선정한다.
<rowcolor=#fff> 시즌 시리즈 수 최다 득점 최다 트라이 최우수 선수
<colbgcolor=#ffc> 1999-00 10 파일:피지 국기.svg 와이살레 세레비(684점) 파일:피지 국기.svg 빌리모니 델라사우(83회) -
2000-01 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다미안 카라우나(262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칼 테 나나(42회) -
2001-02 1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브렌트 러셀(450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브렌트 러셀(46회) -
2002-03 7 파일:피지 국기.svg 나소니 로코(321점) 파일:피지 국기.svg 나소니 로코(39회) -
2003-04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골링스(394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비앙 주리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롭 설비(39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이먼 아모
2004-05 7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오레네 아이(308점) 파일:사모아 국기.svg 데이빗 레미(46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오레네 아이
2005-06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골링스(343점) 파일:사모아 국기.svg 티모테오 이오수아(40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우알레 마이
2006-07 8 파일:피지 국기.svg 윌리엄 라이더(416점) 파일:사모아 국기.svg 미카엘레 페사미노(43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아펠레케 펠레니세
2007-08 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토마시 다마(319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비앙 주리스(49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디제이 포브스
2008-09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골링스(260점) 파일:케냐 국기.svg 콜린스 인제라(42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올리 필립스
2009-10 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골링스(332점) 파일:사모아 국기.svg 미카엘레 페사미노(56회) 파일:사모아 국기.svg 미카엘레 페사미노
2010-11 8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실 아프리카(381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실 아프리카(40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실 아프리카[9]
2011-12 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토마시 다마(390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맷 터너(38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토마시 다마
2012-13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댄 노튼(264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댄 노튼(52회)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팀 미켈슨
2013-14 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미첼(358점) 파일:피지 국기.svg 사미소니 비리비리(52회) 파일:피지 국기.svg 사미소니 비리비리
2014-15 9 파일:피지 국기.svg 오샤 콜리니사우(312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아벨로 세나틀라(47회)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워너 콕
2015-16 10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휴스(331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아벨로 세나틀라(66회)[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아벨로 세나틀라
2016-17 10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베이커(285점)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베이커(57회)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베이커
2017-18 10 파일:캐나다 국기.svg 네이선 히라야마(334점) 파일:미국 국기.svg 칼린 아일스(49회)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베이커[11]
2018-19 1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앤드류 뉴스텁(307점) 파일:미국 국기.svg 칼린 아일스(52회) 파일:피지 국기.svg 제리 투와이
2019-20 6 파일:피지 국기.svg 나폴리오니 볼라다(159점) 파일:IRFU 로고.png 조던 콘로이(30회) -
2021 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로널드 브라운(91점)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물러 두 플레시(13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르코스 모네타
2021-22 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디트리치 로치(343점) 파일:IRFU 로고.png 테리 케네디(50회) 파일:IRFU 로고.png 테리 케네디
2022-23 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아쿠일라 로콜리소아(415점) 파일:사모아 국기.svg 바아 아펠루 말리코(50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로드리고 이스그로
2023-24 8 파일:IRFU 로고.png 테리 케네디(160점) 파일:IRFU 로고.png 테리 케네디(32회) 파일:국기.svg

7. 개인 기록

현재 출전 중인 선수는 볼드체.
  • 최다 출전
    <rowcolor=#fff> 순위 이름 횟수

    <colbgcolor=#ffc> 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가스톤 레볼 492회

    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팀 미켈슨 488회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댄 노튼 470회

    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디제이 포브스 450회

    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브랑코 두프리어 431회

    6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나탕 로젤 427회

    8 파일:케냐 국기.svg 콜린스 인제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로드웰
    424회

    9 파일:미국 국기.svg 폴라우 니우아 387회

    1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크리스 드라이 373회
  • 최다 득점
    <rowcolor=#fff> 순위 이름 점수

    <colbgcolor=#ffc>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골링스 2,652점

    2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토마시 다마 2,028점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네이선 히라야마[12] 1,859점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댄 노튼 1,804점

    5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휴스 1,596점

    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미첼 1,595점

    7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베이커 1,467점

    8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실 아프리카 1,462점

    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브란코 두프리어 1,447점

    10 파일:케냐 국기.svg 콜린스 인제라 1,443점
  • 최다 트라이
    <rowcolor=#fff> 순위 이름 횟수

    <colbgcolor=#ffc>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댄 노튼 358회

    2 파일:미국 국기.svg 페리 베이커 293회

    3 파일:케냐 국기.svg 콜린스 인제라 279회

    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팀 미켈슨 240회

    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아벨로 세나틀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산티아고 고메스 코라
    230회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골링스 220회

    8 파일:미국 국기.svg 칼린 아일스 217회

    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세실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비앙 주리스
    179회

8. 기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표팀은 스프링복스가 아닌 블리츠복스(Blitzboks)라고 불린다.

7인제에서 유명한 선수들은 대부분 100m를 10초 중반에 뛰는 괴물들이거나, 아니면 럭비 센스나 유연성이 탈인간급이다. 탈인간급 재능으로 유명한 사람이 피지 주장 제리 투와이다. 15인제의 앙투안 뒤퐁같은 인물. 하지만 뒤퐁이 투와이를 제치고 금메달을 따면서 7인제도 먹어버렸다
  • 피지 - 제리 투와이(Jerry Tuwai)
  • 미국 - 칼린 아일스(Carlin Isles)[13], 페리 베이커(Perry Baker)[14]. 칼린 아일스와 함께 2010년대 중반부터 미국 7인제 럭비의 쌍두마차로 팀을 견인하고 있다. 양쪽에 괴수급 스프린터가 있고, 그 사이를 범용성이 좋은 선수들이 받쳐주는 것이 미국의 스타일이었다.
  • 잉글랜드 - 댄 노튼(Dan Norton)
  • 남아공 - 세아벨로 세나틀라(Seabelo Senatla). 이쪽은 15인제인 스토머스에서도 뛰고 있다.


[1] "세븐스"라고 읽는다 [2] 남자부, 여자부 각 12팀 [3] 두바이, 케이프타운, 퍼스, 밴쿠버, LA, 홍콩, 싱가포르 [4] 최종 8위에만 들면 되기 때문에 때때로 체력 조절도 필요하다. [5] 럭비의 원조는 잉글랜드지만 7인제는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되었다 [6] 그레이트 브리튼 [7] 원래 그 시즌에 일본이 초청팀 주제에 고정적으로 출전하고 있었는데 LA세븐스만 대한민국이 대신 참가했다. [8] 사스로 대회 중단 [9] 최초의 싹쓸이 수상 [10] 최초의 2연속 최다 트라이 [11] 최초의 2연속 수상 [12] 일본계 캐나다인으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활동하다 은퇴했다 [13] 100m 기록 10.13초 [14] 100m 개인 기록 10.58초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