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6:14:05

룡천역

용천역에서 넘어옴
폐역 룡천 - [ruby(립암, ruby=~불명)] - 포향
룡천역
역명 표기
평의선 룡천
Ryongchŏn
龍川 / 龙川 / [ruby(竜川, ruby=リョンチョン)]
다사도선
주소
평안북도 룡천군 오흥리
관리역 등급
불명
(개천철도총국 관리)
운영 기관
평의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다사도선
개업일
다사도선 1939년 10월 31일
양시선 1940년 10월 29일
철도거리표
<colbgcolor=#ffffff,#191919>
평양 방면
룡 주
← 4.8 ㎞
평의선
룡 천
<colbgcolor=#ffffff,#191919>
신의주청년 방면
포 향
7.1 ㎞ →
기점
다사도선
룡 천
다사도항 방면
북 중
3.5 ㎞ →
파일:용천역.jpg
룡천역 전경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사건사고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평의선의 철도역. 평안북도 룡천군 오흥리(광복 당시에는 양하면 오송동) 소재.

2. 역 정보

1939년 10월 31일 다사도철도회사에서 남신의주를 기점으로[1] 다사도선을 개통하면서 양시역이라는 이름의 사철 철도역으로 개통되었다.[2]

1940년 10월 29일 다사도철도에서 양시 - 남시 구간의 노선을 양시선이란 이름으로 새로 개통하였으나 1943년 4월 1일에 남신의주-양시 구간이 국유화되면서[3] 다사도선이 기존 남신의주-다사도항에서 지금의 노선으로 단축되었다.

해방 이후 38선 이북으로 소련군정이 들어서고 북조선인민위원회에 의해 양시역을 포함한 다사도철도의 모든 역이 국유화되었다.

6.25 전쟁 이후 북한 당국은 기존 경의선 노선을 재분류하기로 결정하면서 1964년 기존의 경의선 남시 - 백마 - 남신의주 구간이 백마선이라는 별도의 우회 노선으로 분류, 기존의 양시선 전 구간인 남시 - 양시(룡천) - 남신의주 구간이 평의선으로 편입되었고, 같은 해에 양시역은 룡천역으로 개칭된다.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룡천군청이 있다. 원래 해방 전의 군청 소재지는 용암포였는데, 이 용암포가 지나치게 서쪽에 위치해 있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여기로 옮긴 것.

4. 사건사고

4.1. 룡천역 열차 폭발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룡천역 열차 폭발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둘러보기

평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1] 남신의주-양시 구간은 경의선과 선로를 공유하였으며, 개업 당시 다사도선은 남신의주역이 사실상 기점이었다. [2] 인근에 양시라는 시장이 있어서 이렇게 이름이 붙었었다. [3] 조선총독부관보 쇼와 제4837호, 1943년 3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