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6 18:25:22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
鸭嘴兽 | Platypus
파일:오리너구리.jpg
학명 Ornithorhynchus anatinus
Shaw, 1799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단공목 Monotremata
오리너구리과 Ornithorhynchidae[1]
오리너구리속 Ornithorhynchus
오리너구리 O. anatin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준위협.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ild_Platypus_4.jpg

1. 개요2. 특징3. 연구사4. 창작물5. 기타

[clearfix]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동부와 태즈메이니아에서 서식하는 포유류 동물이다.

특이한 외모와 특징으로 유명하다. 부리 조류 오리를 닮았으며, 몸은 포유류 수달과 비슷하고, 발은 오리과 거의 같고 꼬리 비버처럼 넓적하다. 그리고 총배설강으로 을 낳으며 치아 유두가 없다. 영어 이름인 플래티퍼스(Platypus)는 그리스어인 Πλατύποδας(플라티포다스)에서 왔는데 넓은 발, 물갈퀴라는 뜻이다.

2. 특징

오리너구리는 조류가 아닐 뿐더러 조류와 포유류의 중간 단계의 동물도 아닌, 엄연한 포유류이다. 석형류와 포유류의 공통 조상에서 분기된 후 초기 포유류( 단공류)의 특징을 유지하는 생물이다.

오리너구리의 주둥이는 새의 부리와는 전혀 다른 기원을 가지며 해부학적으로도 완전히 구조가 다르다. 부리의 양쪽 가장자리로 두개골이 계속 뻗어 나가긴 하지만 가운데 부분은 그냥 맨살이라 딱딱하지 않고 말랑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Platypus_skeleton_Pengo.jpg

알을 낳아서 새끼를 키우는 것 외에도 진짜 오리처럼 이빨이 없으며,[2] 모체에게 유두가 없어서 새끼가 젖샘에서 땀처럼 삐져나오는 젖을 핥아 먹고 미세 자기장을 감지하는 제6감각[3]으로 가재류 등 무척추동물를 잡아먹는 것이 큰 특징이다.

척추동물 중 특이하게 위장이 없고 입에서 항문까지 창자만 있는 구조이다.[4]

또 한 가지 포유류로서 굉장히 특이한 특징이 있는데, 바로 독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수컷의 뒷발에 큰 가시가 있는데 신경이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이건 오리너구리만의 특징은 아니고 이미 멸종한 다른 원시 포유류들도 공유하는 특성이다. 참고로 뒷발의 가시는 암수 둘다 있지만, 수컷만 가시에 독이 있는데, 독 생산량이 번식기에 증가하는 걸로 보아 수컷끼리 짝을 차지 하기 위해 싸울 용도로 사용 돠는 걸로 추정된다

오리너구리의 독은 자체 면역체계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같은 작은 동물을 죽일 수 있을 정도이지만, 인간에겐 치명적이지는 않으나 끔찍한 고통을 준다. 발톱으로 입은 상처 주변으로 부종이 형성되어 퍼져나가는데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달간 지속되는 통각과민을 유발한다. 이 독가시는 번식기 때 수컷 간의 투쟁에 이용되는 것으로 추정하며, 노랑가오리의 독과 함께 끔찍한 고통을 주는 독으로 유명하니[5] 그럴 기회가 적겠지만 귀엽고 멍청해 보인다고 함부로 만지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3. 연구사

오리너구리가 처음 발견됐을 당시에는 신비동물학으로까지 취급받았고 학계에서도 '오리 및 다른 동물을 합쳐놓은 박제를 갖고 와서 조작질을 한다'는 비난이 쏟아졌다.[6] 결국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생포된 상태로 공개된 다음에야 인정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리너구리가 품은 알이 진짜 오리너구리의 알인지 의문스러워하는 이들이 많았고, 알을 낳기 직전의 임신 중인 오리너구리를 죽여 해부한 다음에야 그 의문이 확실히 풀렸다.

난생인 것이 확인되자 포유류의 진화 과정을 해명하기 위한 중요 연구 대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오리너구리 외에 알을 낳는 포유류로는 가시두더지 4종이 있는데, 오리너구리까지 포함하여 알 낳는 포유류 5종을 단공류라고 한다. 오리너구리와 가시두더지는 갓 태어나서 털이 없는 새끼일 때의 모습이 완전히 똑같다.

19세기 말엽과 20세기 초에는 모피를 얻기 위해서 한동안 마구잡이로 사냥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그 수가 심하게 줄어들자 결국 사냥이 금지되었다.

4. 창작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리너구리/캐릭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가장 유명한 캐릭터로 포켓몬스터 고라파덕 피니와 퍼브 오리너구리 페리가 있다.

5. 기타

  •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생김새 탓에 희귀동물 중에서는 인기가 높은 편이며 매체에서도 가끔씩 등장한다. 고라파덕이 대표적이다.
  • 상당히 희귀한데다 호주가 자국 생물의 반출에 크게 제한을 두기 때문에 국내 사육 기록은 전무하며 폐업 직전 부곡하와이에서 보유한 박제가 국내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1] 처음 오리너구리를 접한 과학자들은 생김새와 습성이 전부 섞인 탓에 어떤 과로 분류해야 할지 고민했고, 결국 오리너구리를 위한 과를 신설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과는 오직 오리너구리와 그의 조상만이 소속된 과이다. [2] 아주 어릴 때는 이빨이 있지만 자라면서 치판으로 대체된다. [3] 연골어류들에게 있는 로렌치니 기관과 유사한 전기 수용체를 통해 생물에게서 나오는 전기신호를 감지한다. 같은 단공류인 가시두더지 또한 본래 수중 생활을 하면서 갖고 있었으나 현재는 극소량만 남아 퇴화된 상태다. 이들 외에 포유류 중에서는 기아나돌고래만 이 능력을 가지고 있다. [4] 잉어, 꽁치도 위가 없다. [5] 한 참전용사가 오리너구리에게 쏘인 후 포탄의 파편에 맞는 것보다 아프다라고 회고한 바 있다. [6] 당시 학자들에겐 아무리 봐도 다른 동물들을 짬뽕한 것처럼 생겼으니 당연하다. 게다가 판독 기술과 연구윤리의 발달이 현대보다 미비했던 당시엔 이런 사기가 현대보다 더 많았기 때문에 학자들도 지금보다 더 경계심이 컸고 의심이 많았다. 실제로 영국에선 오리너구리의 박제품을 처음 봤을 때 장난으로 만든 가짜인 줄 알고 부숴버렸다고 하고, 과학자들은 너구리에 오리 주둥이를 붙인 줄 알고 부리와 몸을 잡고 잡아당겨 부리를 떼어내려 했다고 한다. 물론 위 사진 속 골격을 보면 알겠지만 부리와 두개골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러질지언정 뽑히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