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4 16:03:22

쉬페르 에탕다르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e9e9e9,#191919> 1940년대 VG 90 | 노르 2200
1950년대 우라강 | 미스테르 I/II/III | 미스테르 IV | 아퀼롱 | 보투르 | 쉬페르 미스테르 | 에탕다르 IV | 에탕다르 II | SE.210 듀랑달 | 노르 1500 | SO.9000 트라이던트
1960년대 미라주 III | 미라주 IV | 미라주 V
1970년대 미라주 G4 | 미라주 G8 | 미라주 F1 | 쉬페르 에탕다르
1980년대 미라주 2000 | 미라주 4000
1990년대
2000년대 라팔
2030년대 FCAS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다쏘 항공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다쏘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000,#e5e5e5
민항기
머큐리
군용기
전투기 1세대 우라강 · 미스테르 I/II/III · 미스테르 IV
2세대 쉬페르 미스테르 · 에탕다르 IVM
3세대 미라주 III · 미라주 F1 · 미라주 G8
4세대 미라주 2000 · 미라주 4000
4.5세대 라팔
6세대 FCAS
폭격기 미라주 IV
공격기 미라주 V · 쉬페르 에탕다르
정찰기 에탕다르 IVP · 미라주 IV
대잠초계기 아틀란틱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xternal/5f9e5ed2d7c11c65cd0a9136ef5724a4eca0cfceea0d2de004dc235e6efeba26.jpg

1. 개요2. 제원3. 역할4. 실전 사례5. 둘러보기6. 참고 링크

1. 개요


프랑스 다쏘 사가 개발한 함상 공격기 전폭기. 쉬페르(Super)는 '슈퍼', 에탕다르(Étendard)는 '군기(軍旗)'를 뜻한다.

1970년, 프랑스 해군은 전부터 운용하던 에탕다르 IV의 후계기 개발에 착수했다. 당초에는 재규어 공격기 함재기로 개량하여 채용할 예정이었지만 성능이 충족되지 않자 다쏘 사에서 독자적으로 에탕다르의 개량형으로 쉬페르 에탕다르를 만들었다. 형상 자체는 미라주 III의 동체에 함상 운용을 위해 통상의 후퇴익을 붙인 것과 비슷하다. 대함 미사일 엑조세와 함께 개발되어 1974년 원형기가 첫 비행, 1977년 11월 24일 양산기가 첫 비행을 했다. 1978년부터 프랑스 해군에 인도되어 1983년 단종되었다. 총 생산기수는 85대. 샤를 드 골급에서 운용되었다.

본래, 2010년 라팔 M이 제대로 배치되면 쉬페르 에탕다르는 퇴역할 예정이었지만... 2012년 오디세이 새벽 작전에도 노구를 이끌고 참가했다. 그리고 2015년 11월 파리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또 노구를 이끌고 참가했다.

그리고, 드디어 2016년 3월 16일에 마지막 항공모함 출격을 하면서 약 40년간에 걸친 함상 운용의 종지부를 찍었다.

프랑스 이외에 아르헨티나가 운용했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 기간 중에 이라크가 운용한 바 있다.

2. 제원

Dassault Super Étendard
분류 단발 함상 공격기
임무 대함 및 대지상 공격
개발사 파일:Dassault_Aviation_logo.png 다쏘 항공
제조사 파일:Dassault_Aviation_logo.png 다쏘 항공
초도비행 1974년 10월 28일
배치기간 1978년 6월
퇴역 2016년 3월[프랑스]
2022년[아르헨티나]
생산대수 85대
승무원 1명
전장 14.31 m
전폭 9.6 m
전고 3.86 m
익면적 28.4 m²
익면하중 423 kg/m²
공허중량 6,500 kg
내부연료량 2,612 kg
최대이륙중량 11,900 kg
엔진 스네크마 Atar 8K-50 터보제트 엔진 1기
엔진출력 49 KN (11,000 lbf)
최대속력 마하 1.3 (고도 11,000 m)
착함속도 250 km/h
전투행동반경 850 km (엑조세 1기, 연료탱크 1기, hi-lo-lo)
페리항속거리 2,000 km
실용상승한도 13,700 m
고도상승률 100 m/s
추력대비중량비 0.42
항전장비 레이더 톰슨-CSF Agave 레이더 (초기)
톰슨-CSF Anemone 레이더 (90년대 이후 후기)
ECM 바라쿠다 전자전 포드
Alkan LL5081 채프&플레어 디스펜서
Phimat 채프 디스펜서
타게팅 포드 ATLIS 타게팅 포드
다모클레스 타게팅 포드
하드포인트 총 7개소 (주익 6[3], 동체 하부 1)
최대무장탑재량 2,100 kg (내부 연료 만재시)
무장 고정 30 mm DEFA 552 리볼버 기관포 2문, 각 125발
공대공 무장 Matra R.550 매직 II
AIM-9 사이드와인더
공대함 무장 AM-39 엑조세
공대지 무장 250 kg / 400 kg 무유도 폭탄
BL.755 클러스터 폭탄
듀랑달 대-활주로 폭탄
레이저 유도 폭탄
AS-30L 레이저 유도 미사일
Matra 로켓 포드
핵 무장 ASMP
기타 외부 탑재물 정찰용 촬영 포드
보조연료탱크 최대 3기
버디 투 버디식 공중급유용 포드

3. 역할

전투기로서의 능력은 제한적이며 공격기로 분류된다. 그러나 탑재한 아타 8K-50 엔진의 성능 한계로 인해 무장 탑재량이 불과 2.1t 정도로, 쉬페르 에탕다르보다 20년 전에 개발된 공격기인 A-4의 절반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 타격력은 부족한 편이었다. 굳이 장점을 애써서 꼽아 보자면 느릿느릿한 아음속 공격기가 아닌 재빠른 초음속 공격기여서 고속성능 덕분에 생존성은 높다는 것. 그나마 찾을 수 있는 성능상의 장점이 이것 정도밖에 없다. 고속성능에서 기인하는 생존성 덕분에 21세기에도 어떻게든 운용할 수 있었다는 얘기도 되기는 하지만.

라팔이 등장하기 전에는 F-8 크루세이더가 함대방공을, 쉬페르 에탕다르가 대함공격을 맡는 식으로 운용되었는데, 같은 시기의 미 해군 항공대와 장비 면에서 비교가 안 됐다.

프랑스 해군으로서는 불만이 많았지만 이렇다할 자국산 함재기는 없는 판에, 그렇다고 외국산 기종을 들여오자니[4] 자국 방산업계와 정치권의 반발에 부딪히는지라 그저 라팔만 나오기를 기다리며 버티는 수밖에 없었다. 여기까지면 그나마 나았겠지만, 후계 기종으로 개발되었던 라팔 M의 개발과 실전배치가 지연을 거듭한 탓에 F-8 크루세이더가 후계기 없이 먼저 퇴역해버리고, 전투기로서의 성능은 여러모로 모자라던 쉬페르 에탕다르가 함대방공까지 떠맡은 기간도 있었다.

라팔의 배치가 시작된 뒤에도 라팔의 공대지 능력이 미완성이었고 실전 배치 속도도 느려서, 2016년 퇴역 직전까지 라팔의 보조역으로 실전 투입되었다.

한편, 쉬페르 에탕다르는 프랑스 해군 항공기 투발 핵탄두 운용주체이기도 하였다. 다쏘의 개수를 거쳐 핵탄두 장착 순항 미사일인 ASMP를 1986년부터 운용하였다. 이 미사일은 프랑스군의 주요 전술핵 투발 세력 중 하나이며, 르 트리옹팡급 SSBN과 함께 프랑스 해군의 단 둘 뿐인 핵 전력이었다. 위엄돋는 템빨. 그리고, 항공기 투발 핵탄두 운용주체는 라팔이 넘겨받았다.

4. 실전 사례

성능은 초음속기여서 속도가 빠르다는 것 외에는 같은 시기의 다른 공격기들에 비해 정말 턱없이 모자란 수준이었지만, 엑조세에 힘입어 실전에서는 많은 전과를 올렸다.

포클랜드 전쟁 당시 아르헨티나 해군에서 대활약했다. 영국과 전쟁에 돌입한 시점에서 아르헨티나는 쉬페르 에탕다르 5대와 엑조세 5발을 보유하고[5] 있었으며, 영국 해군 42형 구축함 D-80 셰필드를 비롯한 전투함과 화물선을 몇 척 격침하여 아르헨티나의 체면을 살렸다. 전황을 뒤집지는 못했지만, 이른바 "셰필드 쇼크" 또는 "엑조세 쇼크"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의 항공전, 해전 관계자들에게 항공기+대함 미사일 조합의 효과와 위력을 제대로 각인시킨 주역이 되었다.

아르헨티나 해군은 전후 미처 인도받지 못한 분량을 인도받아 총 14대의 쉬페르 에탕다르를 도입했다. 이후 3대를 비전투손실로 잃었고, 2010년대 중반 시점에서 아르헨티나 해군 항공대에서 11대를 운용중이며 프랑스 업그레이드를 모색하였다. 그리고 2017년 10월 아르헨티나군은 쉬페르 에탕다르 5대를 더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이들 5대는 프랑스 해군에 의해 최신사양으로 개량되었지만 이미 프랑스 해군에서 써먹을대로 써먹은 기체인데다 수량도 적어서, 실질적으로는 기존의 손실분 보충에 불과하다. 이 구매 건에는 예비 엔진 10대를 포함한 예비부품과 비행 시뮬레이터가 포함되어 있다.[6]

이란-이라크 전쟁에서는 이라크가 발주한 미라주 F1의 인도가 늦어져서 그 대신에 5대의 쉬페르 에탕다르가 급히 이라크 공군에 대여되어 이란 유조선 파괴 등 통상파괴 임무에 주로 사용되었다. 1983년 10월에 처음 인도되었고 1985년 프랑스로 반환되었다. 이란은 총 3대의 슈페르 에탕다르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지만, 프랑스는 5대 중 4대를 반환받았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우리는 프랑스의 역대 사기 행각 전설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랑스 해군 소속 쉬페르 에탕다르가 1980년대 레바논 내전에 개입한 시리아군을 상대로 수차례 공습을 실시했다. 1990년대에는 코소보 전쟁에 연합군 항공전력의 일원으로 참전하였다. 21세기 들어서는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여 일련의 항공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원래 예정했던 퇴역 시기인 2010년 이후에도 오디세이 새벽 작전에 투입되고, 2015년 11월 파리 테러 사건에 대한 프랑스군의 보복공격에도 라팔과 함께 참가하였다.

5.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colbgcolor=#008080> 공격헬기 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 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 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 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 스핏파이어 LF.Mk. IXR, Ki-43원정군/C/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 1세대 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 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 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 미라주 2000
4.5세대 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 { FCAS}
공격기 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 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 C-160R, C-119R,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 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 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Fi 156해/공/R
신호정보 수집기 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 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 UCAV MQ-9, { 유로드론}
훈련기 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SIPA S.10R
다목적기 다쏘 팔콘 10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아르헨티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75aadb> 아르헨티나 공화국군 (1948~현재)
Fuerzas Armadas de la República Argentina
회전익기 <colbgcolor=#75aadb> 다목적 헬기 UH-1D/HR, 벨 412, S-58T, SA 315B, Mi-171E, MD 500(D, M), {벨 407}, { H215M}
수송헬기 CH-47C
전투기 레시프롭기 호크 (III, IV)R
1세대 미티어 F.4R, F-86FR
3세대 미라주 III(BE, BJ, CJ, EA, DA)R, 미라주 F1MR, 대거 AR
4세대 / 4.5세대 { F-16AM/BM}
공격기 미라주 VPR, 쉬페르 에탕다르R, IA-63 팜파 GT, A-4AR
폭격기 랭커스터/링컨R, 캔버라R
수송기 C-47, C-54, TC-12B, L-100, C-130(E, H, L), 사브 340B
지원기 대잠초계기 P-3(B, {C})
공중급유기 KC-130H
훈련기 T-6 텍산 IIR, MB-339R, IA-63 팜파 GT, EMB 312 투카노, 대거 BR, Fw 58R
특수목적기 S-61R, S-70, S-76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현대 온두라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UH-1H, Bo 105, H125, 벨 412SP, MD 500D
전투기 3세대 F-5E, 쉬페르 에탕다르 B.2FGA
경공격기 A-37B
수송기 PA-28 체로키, PA-31, PA-34, C-130A, 세스나 208EX, L-410
정찰기 OA-37B
훈련기 F-5F, T-41B/D, EMB 312 투카노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FGA: 해상보험 체결 당시 예비용으로 도입한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6. 참고 링크



[프랑스] [아르헨티나] [3] 2 곳은 Alkan LL5081 채프&플레어 디스펜서 전용 [4] 프랑스 해군 F/A-18 도입을 요구하기도 했다. [5] 원래 계약물량은 더 있었으나, 인도 도중 전쟁이 발발하는 바람에 초기 인도분 이후 공급이 끊겼다. [6] 이로 인해 아르헨티나와 FA-50 수출협상을 진행하던 KAI가 협의에 실패했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으나, 차기 전투기 사업은 아르헨티나 공군에서 진행중이며 쉬페르 에탕다르 중고품을 도입한 곳은 아르헨티나 해군이기에 각각은 서로 다른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