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09 16:21:37

술잔 깨기


1. 개요2. 상세3. 사용된 작품

1. 개요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마셔서 비웠거나 채운 을 던져 깨는 행위.

잔을 나누고 그 잔을 깬다는 것에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동서양에 걸쳐 여러가지 모습으로 전한다.

2. 상세

이탈리아에서는 결혼식의 마지막에 신랑이 신부와 잔을 나눈 후 그 잔을 바닥에 던져 깨는데, 이를 신호로 피로연이 시작된다. 잔을 깨는 것이 악운을 쫓는 일종의 의식이기 때문이다. 신기하게도 한국에도 바가지라는 비슷한 풍습이 있다.

러시아에서는 중요한 약속을 하거나 작별의 인사를 나눈 후에는 건배를 하고 술잔을 바닥에 던져 깨는 풍습이 있는데, 이 역시 잔을 깨는 것이 행운을 빌거나 악운을 몰아내는 의미를 갖는다.

인도에서는 거리에서 음료수를 사면 음료를 마시고 컵을 깨트리는데, 카스트 제도가 워낙 엄해서 다른 계급이 입을 댄 잔에 입을 대지 않으려고 깬다고 한다. 인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리 좌판용 찻잔은 굉장히 조악한 품질의 도기인데, 다루는 것을 보면 한국에서 흔히 쓰는 종이컵과 같다. 마신 뒤에 부숴 버리고, 물에 풀어 재활용한다. 대신 귀금속으로 만든 금속제 그릇이나 비싼 도자기 그릇 같은 경우 모래로 닦아 '정화'하면 다시 쓸 수 있는 풍습이 있다.

창작물에서는 결전을 앞둔 비장한 순간에도 자주 나온다. 지휘관의 명령에 따라 모든 군인들이 최후의 술 한잔을 마시고 술잔을 바닥에 던져 깨버리거나, 혹은 더 임팩트를 주기 위해 마시지도 않고 술잔을 손아귀 힘으로 깨부수거나.아니면 술잔이 식기 전에 오고나서 한다던가

사실 전 세계의 서브컬처 전반에 등장하게 된 것은 1956년에 제작된 장편 전쟁영화 전쟁과 평화가 그 시초다. 장교들의 술잔 깨기 및 각종 행사에서의 술잔 깨기가 줄기차게 나오는데 이는 수많은 지식인과 관람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한가롭게 술 마시고 있다가 무슨 일이 실패한 것을 알고는 열불나서 술잔을 손으로 깨는 경우도 곧잘 나온다. 이럴 경우 아프면 간지가 안 살고 김 새니까 손은 대개 무사하다.[1] 술잔을 깨는 바람에 실제로 손을 다쳤음에도 잔을 쥐어서 부술 정도로 격앙된 감정이 고통을 뛰어넘어서 개의치않는 경우도 있다.[2] 물론 개그물에서는 이 이후에 아야야야야야라고 손을 마구 턴다던가, 직후에 손에 붕대를 두르고 있다던가하는 면모도 보여준다.

다른 경우로 함정 파놓고 유인해서 주연을 베풀고 무르익을 때 바닥에 던져 깨서, 기습이나 복병의 신호를 보낼 때도 사용한다.[3]

한국 사극에서는 밥상 다음으로 화나면 제일 먼저 희생되는 물건이다. 사극이 아니어도 가끔씩 유리잔을 깨고 손에 피를 묻히는 행위는 자주 등장한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 극장전에선 김상경이 이빨로 소주잔을 깨버리는(!) 일도 있다. 다만 인터뷰에 따르면 설탕으로 만든 소품이라고 한다.

일본 미디어물에서는 절연을 의미한다. 사카즈키고토라는 우애의 의식은 함께 술잔을 나누는걸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사카즈키고토 문서에도 언급되지만 저 술잔은 잃어버리기만 해도 죽을 죄 취급인데다 절연만 하는거라면 보관한걸 돌려주는걸로 끝이다. 그런걸 깨버린다는 것은 절연을 넘어 둘 중 하나는 죽을 때까지 사생결단을 내겠다는 의미라 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 혹은 독일에서는 노래나 음악같은 좋은 소리를 내거나 귀가 찢어질 정도로 하이 소프라노가 나온 경우 포도주가 든 유리잔이 깨져버리는 연출을 쓰기도 한다.

또한 서구쪽에서는 바이킹 관련 매체에서 이런 묘사가 나오기도 한다. 이쪽은 남성다운 모습을 강조하기 위한 것인 듯.[4] 그 때문인지 바이킹의 상징을 많이 사용하는 은하영웅전설 은하제국군 역시 술잔을 깬다. 암릿처 회전이나 제1차 라그나뢰크 작전 등에서 출동 직전에 승리를 기원하며 깨버리는게 특징.

은하영웅전설에서는 주로 제국군에서 나타나는데 전투에 나서기 전 건투를 다짐하면서 잔을 깨기도 하고 엘 파실 탈출에서는 제국군에서 민간인들이 탈출한 것을 알자 열받아서 잔을 깨버렸다. 또, 라인하르트가 적장 알렉산드르 뷰코크를 추모하며 와인잔을 던져 깨는 것도 나온다.

토르: 천둥의 신에서도 지구 생활에 적응이 안 된 토르가 컵에 든게 맛있다 하면서 갑자기 내던져 깨는 장면이 나온다. 어나더!

문학 작품에서는 주인공이 난 이제부터 다시는 술을 마시지 않겠다는 금주의 맹세를 할때 깨기도 한다. 주로 마지막 한잔을 마시고 바닥에 던져 깨버리는게 클리셰.

3. 사용된 작품


[1] 다만 이충호 만화 까꿍에선 아자거사가 대마왕과 결전을 이야기하며 술잔 깨다가 손에서 피가 넘치게 나오는 다소 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2] 역전재판 시리즈 카미노기 소류가 그런 경우. 단, 이쪽은 커피가 담긴 머그컵이라 난이도가 더 높다. [3] 삼국지연의에서 주유가 이런 방식으로 유비를 주살하려 했지만, 동행한 관우가 눈치채는 바람에 실패했다. [4] 하지만 실제로 바이킹이 마시던 술잔은 뿔로 만든 잔이라 깨뜨리는 것은 정말이지 어렵다. [5] 조금 다르다. 부리로 씹어버렸다. [6] 모션에 손으로 술잔 깨기, 술잔 던지기, 그리고 방청석으로 병째 날리기(...)가 있다. [7] 그형에 그동생이라고 3화에서 하는짓이 똑같다. [8] 이쪽은 데킬라병나발을 불다 한손 악력만으로 병을 박살냈다. [9] 가정 전투에서 삽질한 후 처형당하기 직전의 마속에게 술을 한 잔 준 뒤, 그릇을 던져 깨뜨리고는 죽이라고 외친다. [10] 단독으로 동탁을 공격하러 갔다가 패한 뒤, 자신을 돕지 않은 원소에게 "필부랑 대업을 논하기 싫다!"며 술잔을 던져 깨뜨린다. [11] 시작할때 자기 선원들과 한다. [12] 월하의 야상곡 이후부터. [13] 오야붕들이 모인 술자리에서 건방지게 굴자 맞은편에 앉은 문영철이 어이 형씨라고 부르며 꼽주자, 분노하며 손으로 맥주잔을 깨뜨린다. [14] 여기서는 얄짤없이 손을 다쳤다(...). [15] 술잔이 아니라 커피잔으로.. [16]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실제로 손을 다쳤으나 무시하고 그대로 연기해 놀라게 했다. 그래도 아카데미는 못 받았다. [17] 한번 등장하고 두번째 시도에서는 사츠키의 정신적 변화를 나타내는 장치로 사용된다. [18] 참고로 토르역의 크리스 햄스워스는 북유럽 전통을 알고 일부러 애드리브로 던졌다. 즉 작중에서 컵깨가지고 놀란건 찐텐이었다는거(...) [19] 이쪽은 타의로 깨진 경우. 이 선물한 사과주를 잔에 따라 축배하는 도중 바이올 기사단이 쏜 핸드건 탄에 맞아 깨졌다. [20] 연설 후 런던 침공 직전 술이 든 와인잔을 그대로 바닥에 내던졌다. [21] 루크 발렌타인과의 교전 직전에 술잔을 떨어트렸고 술잔이 깨지자 마자 총격전이 시작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