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드웰 천체 목록 Caldwell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C10 |
C11 | C12 | C13 | C14 | C15 | C16 | C17 | C18 | C19 | C20 | |
C21 | C22 | C23 | C24 | C25 | C26 | C27 | C28 | C29 | C30 | |
C31 | C32 | C33 | C34 | C35 | C36 | C37 | C38 | C39 | C40 | |
C41 | C42 | C43 | C44 | C45 | C46 | C47 | C48 | C49 | C50 | |
C51 | C52 | C53 | C54 | C55 | C56 | C57 | C58 | C59 | C60 | |
C61 | C62 | C63 | C64 | C65 | C66 | C67 | C68 | C69 | C70 | |
C71 | C72 | C73 | C74 | C75 | C76 | C77 | C78 | C79 | C80 | |
C81 | C82 | C83 | C84 | C85 | C86 | C87 | C88 | C89 | C90 | |
C91 | C92 | C93 | C94 | C95 | C96 | C97 | C98 | C99 | C100 | |
C101 | C102 | C103 | C104 | C105 | C106 | C107 | C108 | C109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
콜드웰 천체 | ||||
C 79 돛자리의 구상성단 |
← |
C 80 센타우루스자리의 구상성단 |
→ |
C 81 제단자리의 구상성단 |
NGC 천체 | ||||
NGC 5138 센타우루스자리의 산개성단 |
← |
NGC 5139 센타우루스자리의 구상성단 |
→ |
NGC 5140 센타우루스자리의 타원형은하 |
[[센타우루스자리#발견된 천체|센타우루스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B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C ) α Cen |
베타성 하다르 Hadar |
감마성 물리파인 Muhlifain |
델타성 센타우루스자리 델타 δ Cen |
|
엡실론성 센타우루스자리 엡실론 ε Cen |
제타성 알 나이르 Alnair |
에타성 센타우루스자리 에타 η Cen |
세타성 멘켄트5 Menkent |
|
이오타성 센타우루스자리 이오타 ι Cen |
카파성 센타우루스자리 카파 κ Cen |
람다성 센타우루스자리 람다 λ Cen |
뮤성 센타우루스자리 뮤 μ Cen |
|
누성 센타우루스자리 누 ν Cen |
크시성 센타우루스자리 크시 ξ Cen |
오미크론성 센타우루스자리 오미크론 ο Cen |
파이성 센타우루스자리 파이 π Cen |
|
로성 센타우루스자리 로 ρ Cen |
시그마성 센타우루스자리 시그마 σ Cen |
타우성 센타우루스자리 타우 τ |
웁실론성 센타우루스자리 웁실론 υ Cen |
|
피성 센타우루스자리 피 φ Cen |
카이성 센타우루스자리 카이 χ Cen |
프시성 센타우루스자리 프시 ψ Cen |
오메가성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O Ω Cen |
|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센타우루스자리 1 |
센타우루스자리 2 |
센타우루스자리 3 |
센타우루스자리 4 | |
센타우루스자리 5B |
센타우루스자리 89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변광성 명칭 순 | ||||
그 외 센타우루스자리에 속한 항성 | ||||
프록시마알파성 C | 2M1207 | 프르지빌스키의 별 | HD 117207 |
}}}
- [ 심원천체 ]
- ||<width=9999><-4><nopad>성단||
Ω Cen
(NGC 5139)NGC 3766
(진주 성단)NGC 4852 NGC 5281 NGC 5286 NGC 5316 NGC 5460 NGC 5617 IC 2944 Tr 21 Tr 22 스톡 16 성운달리는 닭 성운 부메랑 성운 RCW 74 RCW 75 RCW 79 RCW 80 SN 185 남쪽 게성운 은하 및 우주거대구조센타우루스자리 A NGC 4945 NGC 5102 NGC 5253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NGC 4622 NGC 4696 NGC 4709 NGC 5090& NGC 5091 섀플리 초은하단
틀:별자리 · 센타우루스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Omega Centauri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 ω Cen |
||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3h 26m 47.28s |
적위 | -47° 28′ 46.1″ | |
별자리 | 센타우루스자리 | |
겉보기 등급 | +3.9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VIII형 구상성단 | |
거리 |
4,840±340
파섹 15,800±1,100 광년 |
|
질량 | (4.05±0.1)×106M☉ | |
나이 | 115억 2천만 년 | |
운동 | 시선속도 |
234.28(±0.24) km/s ( 적색편이량 : z = 0.000782±0.000001) |
규모 | ||
반지름 | 86±6 광년 | |
겉보기 크기 | 36′.3 | |
명칭 | ||
Omega Centauri(ω Cen),
NGC 5139, HD 116790 Caldwell 80, GCI 24, Mel 118 |
1. 개요
남반구 별자리인 센타우루스자리에 있는 구상성단으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구상성단이자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성단이다. 지구에서 1만 6000 광년 정도 거리에 있다. 구상 성단의 존재를 몰랐던 고대인들은 이 천체가 별이라고 생각하였고, 요한 바이어가 1603년에 우라노메트리아를 집필하면서 바이어 명명법을 고안할 때 알마게스트의 기록을 참고하여 '센타우루스자리의 오메가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성단 주제에 별의 이름을 받은 얼마 없는 케이스이다.[1] 1677년에 에드먼드 핼리가 세인트헬레나에서 이를 망원경으로 관측해 별이 아님을 확인하였고, 이후 1826년에 제임스 던롭이 개개의 별을 분리 관측하여 이것이 구상성단임을 밝혀냈다. 거느리고 있는 별의 개수는 무려 1천만 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질량도 태양의 약 405만 배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봄철 남쪽 하늘에 낮게 뜬 모습을 볼 수 있다.2. 기원
구상성단 중에서도 유난히 크고 밝아 다른 구상성단들과도 차별화되는 특징을 지닌 덕분에 일찍이 천문학자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최초로 다중 종족(Multiple Population)이 발견된 구상 성단이기도 한데, 오메가 센타우리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별들의 나이와 화학적 조성이 여러 개의 세부 종족으로 명확하게 나뉘어진다는 뜻이다. 이 성단에서 별들의 탄생이 여러 번에 걸쳐 간헐적으로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오메가 센타우리 스스로가 초신성 폭발을 통해 철 등의 중원소를 합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일반적으로 별이 탄생하는 작은 규모의 성운들에게 초신성 폭발은 그 성운의 수명히 다했다는 신호와도 같다. 초신성으로 발생하는 뜨거운 가스가 강력한 충격파와 함께 주변의 가스들을 날려 버리기 때문이다. 즉, 일반적인 성운에서 별이 탄생하는 기간은 최초로 별이 탄생하고 그 별이 초신성이 되어 폭발하기까지의 시간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초신성의 폭발력을 자체 중력으로 찍어누르고 다시 별 탄생을 일으킬 만큼 거대한 중력을 가진 은하급의 천체라면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은하들에서는 자체적으로 몇 번이고 별 탄생을 반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메가 센타우리가 바로 이런 유형의 천체로서, 현재는 우리 은하의 일개 성단일 뿐이지만 과거에는 상당한 규모의 왜소 은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남아있는 부분은 과거 은하가 우리 은하의 조석력으로 붕괴되고 중심핵 부분만이 남은 상태일 가능성이 유력하다.
최근 성단 중심에 있는 별의 움직임을 통해 태양 질량의 8,200배 정도의 질량을 가지는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실제로 증명이 되고 관측이 된다면 현대 우주에선 극히 찾아보기 힘든 중간 질량 블랙홀을 찾게 된다.
3. 찾는 방법
위 성도에서 5139로 표시된 천체가 오메가 센타우리이며, 제타(ζ) 별과 감마(γ) 별을 잇는 직선을 2:3 정도로 내분한 지점에서 위쪽으로 1° 정도 시선을 움직이면 찾을 수 있다. 또는 이오타(ι) 별에서 10° 시선을 내려도 되지만 놓치기 쉽다. 중간에 5128로 표시된 천체는 센타우루스A 은하이다.
4. 다른 천체 목록
멜로테 천체 | ||||
Mel 117 머리털자리의 구상성단 |
← |
Mel 118 센타우루스자리의 구상성단 |
→ |
Mel 119 사냥개자리의 구상성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