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2:29:58

세로쓰기/방향

좌종서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세로쓰기
1. 개요2. 역사3. 오해4. 우종서를 쓰는 예5. 좌종서를 쓰는 예6. 혼용하는 예7. 우종서와 좌종서의 구별8.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입력 방법

1. 개요

이 문서는 세로쓰기를 하는 방향에 대한 내용이다. 세로쓰기를 할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줄을 바꿔 가며 쓰는 방식은 우종서(右縱書), 반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줄을 바꿔 가며 쓰는 방식은 좌종서(左縱書)라고 한다. 명칭의 '좌'와 '우'를 헷갈려할 수 있는데 시작하는 쪽을 기준으로 이름을 붙인다.

원래 한국어에서 세로쓰기는 우종서로 쓰는 것이 맞은데, 한국어에서 세로쓰기가 더 이상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관계로 세로쓰기 규정이 통으로 없어졌기 때문에 지금에 와서 원칙적으로 어떤 게 맞냐에 관한 언쟁은 무의미하다고 봐도 되겠다. 뭐가 맞는 것도 아니라 그냥 전부 다 사라져버렸다. 물론 가로쓰기가 보편화되었고 세로쓰기는 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세로쓰기 규정을 없애고 굳이 세로쓰기용 부호를 따로 정하지 않기로 한 것이지, 세로쓰기나 세로쓰기용 부호의 사용을 막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또한,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세로쓰기 부호에 대해 기존의 규정을 준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으니, 우종서와 좌종서에도 기존의 규정에 맞는 우종서를 쓰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우종서가 표준이었던 것은, 각종 워드프로세서와 DTP 프로그램의 세로쓰기 모드가 모두 '우종서'이며, '좌종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세계 어디에도 없음을 봐도 알 수 있고, 동아시아의 무수한 세로쓰기 문헌을 봐도 알 수 있다. 책 제목 자리(책 등)에 두 줄 이상 세로쓰기 할 때도 '우종서'로 적어야 한다. '좌종서'는 글씨가 적히는 곳의 상황에 따라 극히 제한적으로 1~2줄 정도 쓰이는 것에 그친다.

우종서와 좌종서로 '「 나무위키」는 정말로 이해가 쉽다.'를 써 보면 다음과 같다.
파일:우종서.png 파일:좌종서.png
<rowcolor=#333> 우종서(왼쪽 ← 오른쪽) 좌종서(왼쪽 → 오른쪽)

우종서를 쓸 때 로마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기울여 쓰기도 하는데, 이를 좌종서에 적용하고 문장을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리면 하횡서(아래 → 위)가 됨을 알 수 있다.
ihaega swipda。
Namuwiki」neun jeongmallo
이해가 쉽다。
나무위키」는 정말로

그런다고 반대로 돌리면 다음과 같이 된다.
ollamgnoej nuen」 ikiwumaN
。adpiws ageahi
로말정 는」 키위무나
。다쉽 가해이

2. 역사

과거 한국에서는 세로쓰기를 했으며, 전부 우종서였다. 가로쓰기를 하는 경우는 세로쓰기의 각 줄에 한 글자씩 들어가는 특별한 경우뿐이었고[1], 이 경우에도 세로쓰기의 순서를 따르다 보니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 가는 우횡서(右橫書)였다.[2] 사찰 등 오래된 건물의 현판 등을 보면 우횡서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즉 근대 이전의 우횡서는 엄밀히 말하면 가로쓰기가 아니라 각 줄이 한 글자씩으로 된 세로쓰기이다. 쉽게 말해서, 광화문의 현판 門化光은, “문화광”이 아니라, “광화문”이라 읽어야 한다. ‘옛날엔 오른쪽부터 읽고 썼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광화문”이라 읽을 수 있다. 자쓰가리우것든만가리우[3]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광복 이후로 미국의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세로쓰기는 점차 사라져 갔으며, 21세기 현재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지 않은 이상 가로쓰기로 쓰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신문·잡지의 경우 1990년대 이전에는 대부분의 신문이 우종서 세로쓰기였으며 1999년까지는 세로쓰기 신문·잡지가 있었다. 한겨레신문이 신문 최초로 가로쓰기를 도입하였으며, 1999년 조선일보 세계일보를 마지막으로 2000년대 이후에는 모든 신문이 가로쓰기를 하고 있다. 2014년 현재 인쇄물에서 세로쓰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신문에 가끔 실리는 부고 광고, 결산공고 대차대조표 정도가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기독교 자체는 서양에서 수입한 종교이나 성경 만큼은 오랫동안 우종서로 써왔다.[4] 하지만 성경도 1990년대 이후로는 좌횡서로 보급되어 있다.

그런데 가로쓰기가 보편화되고 세로쓰기가 사실상 절멸 상태이다 보니, 세로쓰기를 해야 할 때도 가로쓰기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좌종서(左縱書)가 많아지고 있다. 학교의 국어 교육과정에서 세로쓰기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없기 때문에(사실 초등학교 교과서의 원고지 쓰는 법을 배우는 장에 세로쓰기의 올바른 방향도 설명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우종서와 좌종서를 둘 다 쓰고 있으며 심지어 공공기관 등지에서도 혼용하고 있는 상태다. 예를 들면 TV 프로그램 강심장에서 각 연예인들 자리 앞에 작은 칠판이 세로로 길쭉하게 있는데, 연예인들의 세로쓰기를 보면 우종서와 좌종서가 둘 다 보인다. 2000년대 이전까지는 우종서가 많았으나 2000년대 이후로는 좌종서가 많아지는 추세이다. 문장부호도 원래의 세로쓰기 문장부호 대신 그냥 가로쓰기에 사용되는 문장부호를 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북한에서는 세로쓰기를 할 땐 우종서를 원칙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 좌종서를 쓰기도 한다. 사실 대한민국에서도 부호만 원래 세로쓰기의 부호를 쓸 뿐 이와 비슷하다.
조선글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가로쓰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특수하게 내려쓸 때에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내려쓴다. 그러나 가로쓰는 글과 배합하여 내려쓰는 경우에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쓰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내려쓸 때의 맞춤법, 띄여쓰기, 부호 등은 다 가로쓸 때의 규칙을 그대로 적용한다.
「조선말 규범집」, 2010
원문이 세로쓰기인 것을 가로쓰기로 바꾼 경우 문맥상 뜻이 바르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중화민국 헌법이다. 예를 들자면 '第27條(國大職權) 國民大會之職權如.'[5] 가로쓰기였다면 左가 아니라 下였을 것이다. 이 글을 원문 그대로 가로쓰기로 보면 고개를 갸웃거릴 수 있다(그 다음 내용은 왼쪽이 아닌 아래에 있을 테니). 물론 좀더 생각하면 '이게 원래 세로쓰기여서 그렇구나' 하고 무릎을 친다. 2005년 이후로 중화민국( 대만) 공문서나 법령은 가로쓰기로 전환된터라 원문이 주로 가로쓰기라 如左가 아닌 如下로 나온다.

외국뿐만 아니라 한국 법령에서도 세로쓰기의 잔재가 존재하는 법령이 드물게 있다. 일례로, '憲兵令 第11條 憲兵司令部에 의 職員을 둔다.'[6]

국어학 교재 등에서 중세 국어의 연철(이어적기)[7]을 설명할 때, 앞 음절의 종성을 뒤 음절의 초성으로 내려 쓴다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 역시 세로쓰기의 흔적이다. 좌횡서(왼쪽부터 가로쓰기) 기준이라면 (오른쪽으로) 넘겨 쓴다고 표현할 수 있겠다.

3. 오해

한국과 중국이 가로쓰기를 주로 하는 상황에서 일본은 젊은층 외엔 여전히 세로쓰기를 많이 하다보니, 우종서를 일본문화의 흔적이라고 잘못 생각하는 사람도 간혹 있다. 심지어는 좌종서를 쓰는 사람에게 세로쓰기는 우종서로 써야 한다고 지적하는 사람을 일본 문화에 찌든 오덕으로 몰아붙이는(...) 당혹스러운 경우도 있다. 높으신 분들도 우종서는 일본에서 쓰는 순서이므로 한국에서는 좌종서로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꽤 있는 모양. 관련글

그러나 원래 한국을 포함한 한자문화권에서는 세로쓰기를 우종서로 썼다. 훈민정음 언해본을 비롯해서 1980년대 이전의 서적들을 보면 전부 우종서였으며, 이는 한중일 등 한자 문화권의 국가들이 모두 마찬가지였다.[8] 단지 전통 문화를 고깝게 본 중국공산당에 의해 중국 본토에서 인위적으로 세로쓰기가 배제되었을 뿐이다. 그리고 신문 등의 예를 봐도 1990년대까지는 우종서가 대세였다. 일본뿐 아니라 중국공산당의 어문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은 대만도 아직 세로쓰기가 대세이며, 홍콩·마카오에도 상당히 남아 있다. 좌종서는 만주족, 몽골족 같은 북방 유목민들이 쓰던 방식이었다.

파일:renmin19491002.jpg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의 수립을 알리는 인민일보 1949년 10월 2일자. 중국 본토의 모든 신문들은 1956년부터 가로쓰기로 바뀌었다.

그리고 좌종서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좌종서가 우종서보다 읽기 편하다고 주장하나 이는 별다른 근거가 없다. 그래서인지, 첫 컷은 표기 방식의 차이로 오른쪽부터 읽으셔야 합니다.로 시작한다.

4. 우종서를 쓰는 예

파일:훈민정음 언해본.jpg 파일:구운몽.jpg
훈민정음 언해본 구운몽 (규장각본)
파일:대한민국 임시 헌법.jpg 파일:무즙엿먹어보라.png
대한민국 임시정부 1차 임시헌법 1963년 무즙 파동 당시 동아일보 기사
파일:external/cdn.mainichi.jp/81.jpg 파일:external/img4.itiexue.net/12226072.jpg
일본 마이니치신문 대만 계엄령의 해제를 알리는 총통부 공보
  • 근대 이전 모든 한자 문화권 문서
  • 일본, 대만의 세로쓰기 매체물 대부분[9]
  • 1980년대까지의 한국 세로쓰기 출판물: 1990년대부터는 좌종서를 했단 얘긴 아니고, 1990년대 이후로는 세로쓰기 출판물 자체가 거의 없다.
  • 1990년대 종반까지의 한국 세로쓰기 신문
  • 2000년대 초반까지의 홍콩 세로쓰기 신문[10]: 다만 대다수 홍콩 신문의 '제호'는 여전히 세로쓰기다. 제호까지 모두 가로로 바꿔버린 한국 신문과는 대조된다. 그리고 경마신문 등 일부는 2020년대에도 세로쓰기로 발행된다. 홍콩·마카오는 한국처럼 세로쓰기가 박멸된 정도는 아니다.
  • 대부분의 신문 결산공고
  • 개별 예시
    • 상당수 대기업 TV 광고
    • LG G3 광고 #: 그런데 정작 문장부호는 가로쓰기용 반각자가 사용되어 마침표와 쉼표가 반대로 찍혀 있다. 또한 밑줄도 반대쪽에 되어 있다.
    • 2016년 롯데리아 모짜렐라 인 더 버거 이탈리아편 광고 #
    • 영화관에서의 세로쓰기 자막: 지금이야 죄다 가로쓰기이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만 했어도 세로쓰기 자막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현재도 서울아트시네마, 한국영상자료원 같은 시네마테크 시설에서 하는 영화를 세로쓰기 자막으로 방영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자쓰가리우것든만가리우: 이 광고는 우횡서(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로쓰기. 우종서에서 각 줄에 한 글자만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당시에 왜 이렇게 썼는지 이해할 수 있다)로 되어 있다. 따라서 현대 가로쓰기로 바꿔보면 '우리가 만든 것 우리가 쓰자'가 된다. 이 광고의 패러디 작품은 우횡서와 우종서를 해야 한다는 불문율이 있다. 물산장려운동 문서 참고.
    • 공길동전: 도전만화가 시절에는 좌종서로 썼으나, 읽기 힘들다는 의견이 많아 정식 연재 시에는 우종서로 바꿨다.
    • 익스트림 노벨의 일러스트
    • 듀오정보의 지면광고 #: 문장부호로 이전 정서법에 맞는 고리점을 사용했지만, 정작 고리점을 반각자로 입력해서 반대쪽에 찍었다.
    • 만찐두빵 → 찐빵·만두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제83회 예고편

5. 좌종서를 쓰는 예

파일:세로좌종.jpg

6. 혼용하는 예

7. 우종서와 좌종서의 구별

대한민국에서는 우종서와 좌종서를 사실상은 혼용하기 때문에, 세로쓰기로 된 문장을 마주치면 우종서로 읽을지 좌종서로 읽을지 문맥으로 판단해야 한다. 구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세 줄 이상 긴 문장이 세로쓰기를 했다면 대부분은 우종서(일 것)이다. 현대에 와서 거의 모든 문장은 컴퓨터로 작성하게 되는 데 컴퓨터의 문서 편집프로그램 중 좌종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은 없다. 무조건 우종서로만 나온다. 굳이 좌종서를 하고 싶다면 한 줄 한 줄 수작업으로 늘어놓는 수 밖에 없는데 이렇게까지 하면서 좌종서로 세로쓰기해야 할 상황은 없다.(...) 물론 드물게 좌종서일 수도 있다.
  • 둘째 줄은 첫 줄보다 길이가 길거나 약간 아래쪽에 치우쳐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두 줄을 비교하면 어느 줄을 먼저 읽어야 할지 알 수 있다.
  • 마침표를 찾는다. 마침표가 있을 경우 그 줄이 맨 마지막 줄이므로 반대편부터 읽어 가면 된다.
  • 일단 자신에게 익숙한 방향으로 먼저 읽어본 뒤는 뭔가 말이 이상하면 반대 방향으로 읽어 본다.
  • 세로쓰기를 썼는데 문장 부호가 가로쓰기에서 사용되는 것들이거나, 글자 오른쪽에 붙어 있거나 하면 좌종서일 확률이 높다.
  • 뭔가 고풍스러운 분위기에서 궁서체로 표기될 경우 우종서일 확률이 있다. 그러나 예외도 많다.
  • 버스 행선판이나 식당 메뉴판은 좌종서라고 보면 된다.

8.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입력 방법

MS 워드나 아래아 한글에 '세로쓰기' 기능이 있다. 다음과 같다.
  • 아래아 한글 2007에서는 「모양(J)」 메뉴의 세로쓰기, 아래아 한글 2010에서는 쪽 탭의 세로쓰기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2007에서는 페이지 레이아웃 탭의 페이지 설정 그룹에서 용지 방향을 클릭하면 된다. 단, 문장 부호가 가로쓰기에서처럼 그대로 나온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글상자를 만들고 쓰는 경우에는 글꼴 앞에 '@'을 입력해주면 세로쓰기로 바뀐다.

그런데 이 기능들을 이용하면 기본적으로 우종서로 쓰인다. 네이버 지식인 등지에는 "세로쓰기가 거꾸로 써져요. 반대로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등과 같은 질문이 많다. 풀이하자면 좌종서로 쓰고 싶은데 우종서로만 써지니 좌종서로 쓰는 방법을 알려 달라는 질문이다.

간단히 답하자면 아래아 한글이든 MS워드이든 전문 DTP 프로그램이든 그런 방법은 없다. 앞서 이야기했듯 세로쓰기는 우종서가 맞기 때문이다. 굳이 좌종서를 쓰려면 수작업으로 일일이 마지막 줄부터 거꾸로 쓰는 방법밖에는 없다.

표기능 등을 사용해서 최종적인 모양만은 비슷하게 만들 수는 있으나, 어디까지나 노가다이며 임시방편. 예를 들어 아래아 한글에서 좌종서로 쓰고 싶으면 가로 폭이 글자 하나만 들어갈 정도로 좁고 세로로 길쭉한 표를 하나 만들자. 그리고 표의 테두리를 투명으로 설정한 다음 글씨를 써 보자. 글씨가 꽉 차면 그 오른쪽에 같은 방식으로 표를 또 만들어 그 속에 글씨를 써 가면 된다. 우종서로 쓸 때보다 노가다인 편.


[1] 가령 독립문의 현판 '문립독'이나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회관의 현판 '관회수교' 등. [2] 중화민국(대만)에서는 꽤 최근까지 가로쓰기를 이런 식으로 표기하기도 했다. [3] 물산장려운동의 구호이다파일:jAjRHj7.jpg [4] 그것은 스코틀랜드 출신 선교사로서 맨 처음 성경을 번역했던 존 로스가 한글 성경을 번역할때 그가 이전에 선교활동을 했던 곳인 중국의 한자 사용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5] 제27조( 국민대회 직권) 국민대회의 직권은 왼쪽과 같다. 국민대회는 중화민국 초기의 최상위 입법기구(총통 선출권도 있었다)를 말하며, 민주화 이후 입법원으로 권한이 전부 넘어가며 사실상 폐지되었다. 통일주체국민회의의 모티브. [6] 헌병령 제11조 헌병사령부에 좌의 직원을 둔다. [7] '깊[深\]-' + '-은' → 기픈 [8] 이는 두루마리에 글을 쓸 때 왼손으로 두루마리를 펴나가면서 오른손으로 붓을 잡고 쓰면서 생긴 관행이란 설이 있다. [9] 친중신문으로 악명(?)높은 대만의 중국시보는 주요 일간지 중 처음으로 2013년부터 전면 가로쓰기 도입. [10] 星島日報의 사례 [11] 이유도 다양한데, 일본만 오른쪽부터 쓴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고전 서적들의 제목이 왼쪽에 써져 있는 것만 보고, 좌종서가 맞다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은 가로쓰기가 전통인데 일본의 영향으로 억지로 세로로 썼다는 등, 하나만 알고 둘은 몰라서 착각한다. 그 밖에 자주 보이는 이유는 좌횡서로 써진 책처럼 왼쪽부터 넘겨가며 읽을 것이라고 예단해서도 있다. [12] 몽골 문자로 몽골어를 쓸 때. 조선의 몽골어 교재인 몽어노걸대 문서의 두 번째 이미지를 보면, 몽골문은 물론 조선어 해석문("큰兄아 네 어ᄃᆡ셔 온다", "내 朝鮮 王京셔 왓노라" 등) 역시 좌종서로 쓰여 있다. 교재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고려했을 때, 몽골문만 좌종서로, 조선문은 기존대로 우종서로 쓰기가 어려웠던 듯. [13] 왼쪽이 차고지, 오른쪽이 반환점. [14] 많은 식당이 왼쪽에 주메뉴를 표기하고 오른쪽에 주류, 음료를 표기한다. [15] 물론 예전 음식점 메뉴판은 당연히 우종서. 사진을 보면 중국집 불멸의 메인 메뉴 짜장면이 우측 상단에 있다(덤으로 당시엔 짬뽕보다도 중식 우동이 더 주요한 메뉴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정작 '中華飮食業同業協定價格表(중화음식업동업협정가격표)'라는 제목이 좌횡서다. [16] 해당 샴푸 본체에 적혀있는 문구는 우종서. [17] 이쪽은 일본에서 좌종서를 사용한 드문 경우다. [18] 말 그대로 제설용액을(목적어) 자동살포한다(동사)는 뜻. 우종서로 읽으면 '자동살포 제설용액'이 되는데, 이는 한문 어순에는 맞겠지만 동사가 뒤에 오는 한국어의 어순과는 반대 방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