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05:11:49

성조

성조(언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한자어에 대한 내용은 성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훈음이 '성 조'인 한자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전 세계의 언어에서
2.1. 아시아
2.1.1. 중국어2.1.2. 베트남어2.1.3. 한국어
2.2. 오세아니아2.3. 유럽2.4. 아메리카2.5. 아프리카
3. 가상의 언어에서

1. 개요

調 / tone

성조 초분절 음소 중 하나로, 대개 음절(그 중에서도 음절 핵이 되는 모음)에 실리는 소리의 고저 변동을 말한다. 음조(音調)라고도 한다.

2. 전 세계의 언어에서

소리 변동이 단어 의미 변별이 핵심적인 요소로 기능하는 경우 '성조 언어'(tonal language / tone language)라고 지칭한다. 즉, 중국어·태국어처럼 낱말의 의미를 성조(聲調)의 변화에 따라 구별하는 언어를 말한다.[1] 음조(音調) 언어라고도 한다.

전 세계 언어의 70%는 성조 언어고, 가장 많은 성조를 가진 언어들은 서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된다.[2]

원래 성조가 존재하다가 없어진 언어도 있고, 없다가 생긴 언어도 있다. 즉, 언어에 존재하는 성조의 유무는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같은 어족이라도 성조가 존재하는 언어가 있고 없는 언어가 있다. 예를 들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베트남어는 성조 언어지만, 크메르어는 성조가 없다. 또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차드어파(Chadic languages)와 오모어파(Omotic languages)는 성조 언어지만, 쿠시어파 셈어파는 성조가 없다. 반투어군 언어는 대부분 2-4개의 성조를 구분하는 성조 언어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반투어군 언어인 스와힐리어는 성조가 없다.

2.1. 아시아

동아시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성조 언어로 중국어가 있다.

남아시아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 중에서는 펀자브어, 로힝야어, 도그리어(Dogri language), 란다어(Lahnda language), 실렛어(Sylheti language), 치타공어(Chittagonian language), 차크마어(Chakma language) 등이 성조 언어이다. 인도 북서부와 파키스탄에서 사용하는 펀자브어는 음절 성조(평성, 하강, 상승)가 있는데, 펀자브어의 음절 성조는 기식(aspiration)이 있었던 유성 자음이 기식을 잃어버리면서 발생하였다고 추정된다.

동남아시아에서는 베트남어, 태국어, 라오스어에 성조가 남아있다. 그 중 베트남어는 중국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성조가 생겼다고 여긴다.[3]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도 마찬가지로 성조가 없는 언어가 대부분인데, 대표적으로 말레이 반도 말레이 제도 마인어, 자바어, 타갈로그어 등은 성조가 없다.[4] 반면 인도차이나반도 크라다이어족은 대부분 성조 언어며, 대표적으로 태국어 라오스어가 있다. 또한 몽몐어족에 속하는 언어도 대부분 성조 언어다.

중국에는 중국어 외에도 바이어, 하니어, 나시어, 좡어, 먀오어 등의 소수민족 언어가 성조 언어인 경우도 있다. 또한 라싸에서 사용되는 표준 티베트어에 성조가 있다. 다만 티베트어는 방언에 따라 성조가 없는 경우도 있다.

2.1.1. 중국어

중국은 방언의 종류가 다양한데, 중고한어 사성(四聲)이 어떻게 분화했느냐에 따라 방언의 성조 수도 달라진다. 표준 중국어에는 음평성 (1성), 양평성 (2성), 상성 (3성), 거성 (4성) 등 4가지 성조가 있지만, 방언에 따라 적게는 3가지, 많게는 10가지가 있을 수도 있다. 개중에는 광동어같이 입성(入聲)처럼 소리의 고저차가 아니라 꼬리자음의 유무 및 종류를 하나의 성조로 구분한 것도 있다. 성조가 없는 것은 경성(輕聲)이고 동음 단어끼리 연결되거나 각종 접미사( 椅子 같은)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같은 글자에서 같은 독음이 있지만 성조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표준중국어의 은 성조가 바뀌는 글자인데 뒤에 이들은 4성이 오면 2성으로 바뀐다. 一은 또한 뒤에 1, 2, 3성이 오면 4성으로 바뀐다.[5]

한어병음에서는 이 성조를 다이어크리틱을 붙여 표기한다. 사용하는 다이어크리틱은 macron(1성, ◌̄), acute(2성, ◌́), caron(3성, ◌̌), grave(4성, ◌̀) 등이다.

본래 상고한어에는 성조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후한 말~육조시대 사이에 상고한어의 음절말 자음 중 일부가 소실되는 과정에서 이들이 성조로 변화하여 중고한어의 성조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남송~원대에 걸쳐 중고한어가 여러 방언으로 분화될 때 대부분의 방언에서 전탁음(유성음)의 소실이 공통적으로 일어났는데, 이 과정에서 성모의 전탁 여부에 영향을 받아 중고한어의 사성체계가 분화되어 현대 중국어와 여러 방언의 성조 체계가 현재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성조는 중국어 학습을 어렵게 하는 진입장벽 중 하나다. 따라서 성조를 가르치기 위해 중국어 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사자성어를 활용해 챈트(chant)를 만들어 외우게 하는 방법도 있고, 문자의 뜻을 성조와 관련지어 외우게 하는 방법도 있다.[6] 좀더 전문적으로 성조를 유추하고 싶다면 사성 청탁 등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한자의 역사나 어원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

중국어 노래는 보통 성조를 무시하고 부른다. 노래를 부를 때는 계이름 멜로디가 맞아야 하는데, 성조도 일종의 멜로디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가사의 성조에 맞춰 작곡하지 않는 이상 둘을 동시에 만족하기란 불가능하므로 성조를 무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 대중가요 뮤비에서는 노랫소리만 들었을 때 가사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오해하는 것을 막고자 자막도 같이 띄워주는 경우가 있다. 그래도 한국인들이 동음이의어를 구별하는 것처럼 자막이 없어도 중국인들은 웬만한 노래는 문맥에 따라서 잘 이해한다.

중국어 노래에서도 을 할 때는 정해진 선율이 없으므로 성조가 쓰이기도 한다.

전통가곡에서는 곡 자체가 성조를 감안해서 만들어져 성조를 살려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오히려 성조와 멜로디가 어우러지는 중국어 노래가 특유의 매력이 느껴진다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그 대신 곡 쓰기는 어려워진다.

중국의 비정상회담 같은 외국인 출연 예능프로에서 아무리 중국어를 잘하는 외국인이라도 가끔 성조를 틀린다. 그만큼 외국인입장에서 성조는 현대 중국어에서 제일 정복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반대로 중국인들은 성조로 외국인들을 쉽게 구별해낸다.

2.1.2. 베트남어

베트남어(현대 표준 베트남어)에는 6가지 성조가 있다.

베트남어 성조는 연음(ngang, huyền) - 굴절되는 경음(nga, hỏi)과 굴절되지 않는 경음(sắc, nặng)[7]으로 나누기도 하며 높은 음역(ngang, ngã, sắc)과 낮은 음역(huyen, hỏi, nặng)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성조를 틀리면 현지인과 대화하기 곤란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베트남어 발음에 따라서 성조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고 6개 이상으로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성조 이름 하노이 북중부[8] 중부 남부
ngang 33 35, 353 35 33
huyền 21̤ 33 33 21
sắc 35 13̰ 13̰ 35
hỏi 31̰3 31̰ʔ 312 214
ngã 3ʔ5 22̰ 312 214
nặng 21̰ʔ 22̰ 22̰ 212
[9]

같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인 크메르어처럼 베트남어 역시 고대에는 성조가 없었으나, 어말의 마찰음이나 성문파열음이 사라지면서 성조가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2.1.3. 한국어

한국어는 성조 언어가 아니다. 성조(tone) 말고 강세 악센트(stress accent)와 고저 악센트(pitch accent)라는 범주가 있는데, 서울 방언을 포함한 현대 한국어의 주류는 성조 언어도, 강세/고저 악센트 언어도 아니다.

중세 한국어에는 성조가 있었다고들 말한다. 그러나 '중세 한국어의 성조'라는 것은 본 항목에서 설명하는 tone이 아니라 고저 악센트(pitch accent)를 말한다. 다만 현대 언어학이 아니라 중국어학의 용어를 받아들여 '성조'라 표현하였을 따름이다. 고저 악센트 언어에서 일부 단어의 악센트가 동음이의어를 구분케 한다거나 문장 의미의 해석에 영향을 주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악센트를 무시하고 말을 하더라도 원어민 입장에서 이상하게 들릴지언정 말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성조 언어는 성조를 무시하면 말이 성립하질 않는다.

중세 한국어에 있던 고저 악센트는 현대의 동북 방언, 영동 방언, 동남 방언으로 이어졌다. 현대 한국어학계는 한반도 평지 지역에선 어느 한 지역에서 악센트가 소멸한 후 그 말투가 퍼져나갔고, 산지에 가로막힌 함경, 강원, 경상 지역은 악센트가 남았다는 것이 주된 학설이다.[10]

중세 한국어는 본 항목에서 이야기하는 tone이 있는 tonal language가 아니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방언/초분절 음소 참고.

2.2.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 중에서는 누벨칼레도니의 체무힝어, 파푸아 뉴기니의 야범어(Yabem language)와 부카와어(Bukawa language) 등이 성조 언어다. 한편 마오리어는 성조가 없는 언어다. 마오리어는 대부분 성조가 없다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

파푸아 제어(諸語)에 성조 언어가 많이 속한다. 대표적으로 호수평원어족과 스코어족이 성조 언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언어에서는 성조가 발견되지 않는다.

2.3. 유럽

유럽의 인도유럽어족 언어들 역시 같은 발음이어도 음의 높낮이에 따라 뜻이 바뀌는 현상이 나타난다. 다만 이쪽은 고저 악센트(Pitch accent)가 대부분이다. 안 지키면 아예 못 알아듣는 성조와 달리 고저 악센트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지키지 않더라도 대강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11] 유럽 언어 중에선 네덜란드, 독일 등지에서 사용되는 림뷔르흐어가 거의 유일한 성조 언어(Tonal language)라고 볼 수 있다.[12]

한편,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 중 핀란드어에는 이러한 억양 체계가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유럽에서 핀란드인들은 조용하단 이미지가 있다.

2.4. 아메리카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는 성조가 있는 언어가 많다. 북중미에서는 나바호어, 틀링깃어, 오토망게어족(Oto-Manguean languages), 마야어 등이 성조 언어고, 남미에서는 티쿠나어(Ticuna language) 등이 성조 언어다. 또한 멕시코의 오토망게어족은 아프리카 아시아의 성조 언어들과 비슷한 성조 체계를 보유한 것으로 밝혀졌다.[13]

2.5.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있는 니제르콩고어족의 대부분은 성조 언어다. 니제르콩코어족에 속하는 언어 중에서 성조 언어가 아닌 것으로는 스와힐리어, 월로프어, 풀라어 등이 있다.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차드어파와 오모어파의 언어는 성조 언어다.

코이산 제어 중에서 코에어족, 카어족, 투어족이 성조 언어다.

나일사하라어족에 속하는 모든 언어가 성조 언어다.

3. 가상의 언어에서

스타워즈에 등장하는 종족인 우키의 언어인 쉬리우크(Shyriiwook)에 성조가 있다. 우키들은 성대 구조상 세세한 발음이 불가능해서[14] 쉬리우크는 모르는 사람이 들으면 그냥 짐승 울음소리로밖에 안 들린다고 한다. 그러나 인간도 배울 수 있으며 한 솔로의 경우 알아 듣는 것 뿐만 아니라 회화도 가능하다.[15]

프로젝트 헤일메리에 등장하는 종족인 에리디언들의 언어는 화성을 이용하여 의미를 구분한다. 인간인 그레이스는 절대 음감을 가졌거나 음악에 특별한 재능이 있지 않았기에 처음에는 푸리에 변환을 통해서 스프레드시트에 기록해야 했지만 나중에는 대부분의 단어를 알아듣는다.

[1] YBM, 동아출판 영어사전 참고 # [2] Moira Yip (2002). Tone.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xxxiv+341. [3] Tonal Features and the Development of Vietnamese Tones [4] Moira Yip (2002). Tone.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5] 서수적 의미로 쓰일 때는 본래의 1성 그대로 발음한다. 예) 第一次 [6] 항상 들어맞는 것은 아니지만, 1성은 높거나 가벼운 뜻의 글자에, 2성은 점점 나아가거나 높아지는 뜻을 지닌 글자에, 3성은 넓고 원만하거나 만족하는 듯한 뜻의 글자에, 4성은 급하거나 크거나 짧거나 내려가는 듯한 뜻을 지닌 글자에서 자주 나타난다는 식이다. 이런 식의 연상법이 생각보다 효과가 있는 이유는 언어학 현상 중 부바키키 효과와 연관이 있다. [7] 베트남식 한자어에서 연음은 평성, 굴절되는 경음은 상성, 굴절되지 않는 경음은 거성에 대응된다. [8] 하띤 기준. [9] 1은 가장 낮은 소리, 5는 가장 높은 소리로 나타나며 중간에 ʔ 발음이 들어가거나 기성(氣聲, 밑의 점 2개), 성문음화(밑의 물결)도 표시했다. [10] 동북 방언과 영동-동남 방언의 악센트는 분화 방향이 다르므로, 두 방언이 계속 교류하며 영향을 주고받지는 않았다고 여긴다. 그러므로 먼 옛날 동북/동남 악센트가 분화한 뒤 15~16세기 즈음부터 평지에서 고저 악센트가 소멸하기 시작했다고 이문규 교수는 설명한다. 여기서 동북/동남 악센트가 다르다는 것은 두 방언의 악센트가 대응하지 않는단 소리는 아니다. 단지 규칙적으로 대응하긴 하는데 나타나는 분화 양식이 다르다는 뜻이다. [11] 원어민한테는 다소 어색하게 들릴 뿐이다. [12] 그 외에 노르웨이어 스웨덴어의 일부 방언에서도 성조만큼 까다로운 고저 악센트가 나타난다. [13] Moira Yip (2002). Tone.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xxxiv+341. [14] 은하계 공용어를 쓸 수 있는 우키 한 명이 과거 외전작에서 등장한 적 있는데 우키족 기준으로는 언어장애이다. [15]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에서 츄바카를 처음 만났을 때 쉬리우크로 대화했다. 그러나 이후 츄바카가 솔로의 모어인 은하계 공용어를 배웠기에 둘은 대화할 때도 그냥 서로 자기네 언어를 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