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06:54:34

성산일출봉

일출봉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일출봉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MBC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일출봉(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1f2023> 경기 남한산성 수리산 연인산
강원·충청 고복 경포 대둔산 덕산 칠갑산 철원DMZ
성내산
경상 가지산 금오산 문경새재 연화산 청량산
전라 대둔산 두륜산 마이산 모악산 무안갯벌 벌교갯벌
불갑산 선운산 신안증도갯벌 조계산 천관산
제주 제주곶자왈 서귀포해양 성산일출해양 마라해양 우도해양 추자해양
산, 저수지, 해안, 도서, 갯벌
※ 같이 보기: 국립공원 | 도립공원 | 군립공원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성산일출봉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 만장굴 | 김녕굴 | 벵뒤굴 | 용천동굴 | 당처물동굴 | 웃산전굴 | 북오름굴 | 대림굴)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2. 진도의 진도개
  3. 해남학도래지
  4. 해남학번식지
  5.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6.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7. 어의궁의은행나무
  8. 서울 문묘 은행나무
  9. 고양 송포 백송
  10. 진천의측백수림
  1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12.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13.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14. 울주 목도 상록수림
  15.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16.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7. 선남리의음나무
  18.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19. 금란굴
  20.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21.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22.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23.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24.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2. 보은 속리 정이품송
  3. 보은의백송
  4. 부여의동매
  5. 예산 용궁리 백송
  6.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7.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8. 서귀포의곰솔
  9.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0.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11.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12.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3.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14.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15.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6. 청송의향나무
  17.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8.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9. 음성의학번식지
  20. 예산삽교의학도래지
  2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22.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23.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24. 구례원달리의산수유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2.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3. 함양 상림
  4. 울진 성류굴
  5.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6.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7. 울진 후정리 향나무
  8.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9. 제주 산천단 곰솔 군
  10.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11.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12.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13.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14.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15.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16.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17.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18.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19. 홍도 천연보호구역
  20.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21.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22.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23.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24.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2. 흑두루미
  3.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4.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5. 통영 도선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6.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7.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8.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9.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10.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 황금굴,협재굴)
  11.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12. 금강의 어름치
  13.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14. 서울 선농단 향나무
  15.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6. 까막딱따구리
  17. 독수리( 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8. 소백산 주목군락
  19. 철원 철새 도래지
  20.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21.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22.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23.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24.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2.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3.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4. 청원 공북리 음나무
  5.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
  6.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7.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
  8. 부산 구포동 당숲
  9. 무안 현경면 팽나무
  10.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11. 울진 화성리 향나무
  12. 청송 장전리 향나무
  13.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14.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15.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
  16.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17.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18.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19.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20. 연기 봉산동 향나무
  21.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22. 매류(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23. 올빼미류, 부엉이류(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24. 기러기류( 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2. 하늘다람쥐
  3. 반달가슴곰
  4. 수달
  5. 점박이물범
  6.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7.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8.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9.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0. 독도 천연보호구역
  1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2.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3.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14.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15.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16.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17.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18.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19. 통영 추도 후박나무
  20.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21. 제주의 제주마
  22.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23. 영월 청령포 관음송
  24. 명주 삼산리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2. 제주 천제연 난대림
  3. 제주 천지연 난대림
  4.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5. 이천 도립리 반룡송
  6.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7. 괴산 적석리 소나무
  8. 제주 당처물동굴
  9.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0.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2.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3.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4.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5.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1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7.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8.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9.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20.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21. 장수 장수리 의암송
  22.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23. 영양 답곡리 만지송
  24.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2. 성주 경산리 성밖숲
  3.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4. 의성 사촌리 가로숲
  5.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6.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7.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8.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9. 거창 당산리 당송
  10.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2.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3.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14.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5. 태백 장성 전기고생대 화석 산지
  16.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7.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8.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9.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20.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
  2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22.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23. 지리산 천년송
  24. 문경 존도리의 소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2.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3.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4.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5.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6.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7.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8. 정선 산호동굴
  9. 평창 섭동굴
  10.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11.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12.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13. 영덕 도천리 도천숲
  14.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5.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6. 제주 물장오리 오름
  17.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8. 영양 무창리 산돌배
  19. 강릉 방동리 무궁화
  20.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2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22.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23.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24.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2.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3.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4.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5.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6.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7.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8.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9.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10.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12. 독도 사철나무
  13.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4. 경주개 동경이
  15.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6.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17.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18. 제주 강정동 담팔수
  19.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20. 제주 흑우
  21.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22.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23. 정선 용소동굴
  24. 제주 흑돼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다크모드).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023~2024 ]
{{{#!wiki style="margin: -6px -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청와대 앞길 | 경복궁 | 광명동굴 | 익선동 | 자라섬 | 서울숲 |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 수원 화성 | 창덕궁과 후원 | 인천 차이나타운 | 헤이리 예술마을 | 양평 두물머리 | 파주 임진각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경희궁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서촌마을 | 덕수궁 | 서울랜드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남산서울타워 | 송도 센트럴파크 | 한국민속촌 | 에버랜드 | 안성팜랜드 | 송월동 동화마을 | 재인폭포 | 창경궁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백령도 | 대청도 | 홍대
강원권 원대리 자작나무 숲 |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 남이섬 |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 뮤지엄 산 | 간현관광지 | 대관령 관광특구 | 고석정 | 무릉계곡 | 강릉 커피거리
충청권 수덕사(예산) | 만천하 스카이워크 | 충주 탄금호 무지개길 | 국립세종수목원 | 속리산 테마파크 모노레일 | 중앙탑공원(충주) | 청풍호반케이블카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관북리 유적 부소산성 | 한밭수목원 | 서동공원과 궁남지 | 단양강 잔도 | 도담삼봉 | 보은 법주사 | 공주 공산성 | 꽃지해수욕장 | 대천해수욕장 | 서산 해미읍성
경상권 여좌천(벚꽃명소) | 진주성 | 대구 동성로거리 |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 수성못 유원지 | 문경단산 모노레일 | 스카이라인 루지(부산) | 부산엑스더스카이 | 스페이스워크 | 광안리 SUP Zone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디피랑 | 부산 감천문화마을 |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 죽변해안스카이레일 | 거창 항노화힐링랜드 | 부산 송도해수욕장 | 울릉도 | 경주 불국사 | 영남 알프스 | 대구 서문시장 & 서문시장 야시장 | 송정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태종대 | 송도용궁구름다리 | 당항포관광지 | 김해가야테마파크 | 황매산군립공원 | 주산지 | 대왕암공원 | 태화강 국가정원 | 소수서원 | 독도 | 경주 석굴암 | 해운대해수욕장 | 대구앞산공원 | 광안리해변 테마거리
전라권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 전북 전주 한옥마을 | 고군산군도 | 천은사 상생의 길 및 소나무숲길 | 무등산국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오동도) | 목포 해상케이블카 | 선유도 | 마이산도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돌산도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5·18 기념공원 | 익산 왕궁리유적 | 국립태권도원 | 무주 반디랜드 | 죽녹원 | 여수 해상케이블카 | 섬진강기차마을 | 양림역사문화마을
제주권 우도 | 제주 올레길 | 한라산(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성산일출봉 | 제주돌문화공원 | 비자림
}}}}}}}}}
[ 2021~2022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 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 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 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 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 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 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 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 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 독도 | 불국사 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제주특별자치도의 도립공원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 성산일출해양
城山日出海洋
Seongsan IlchulHaeyang
}}}
파일:성산일출봉.jpeg.jpg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출로 284-12
좌표 북위 33° 27′ 29.26″
동경 126° 56′ 33.29″
규모 해발 높이 180m[1]
총면적 약 453,030㎡
둘레 2,927m
분화구 해발 90m, 직경 600m
면적 214,400m²
경사각 최대 45°
위성사진
파일:성산일출해양도립공원.png
성산일출해양 도립공원
지정일 2008년 9월 19일
관리주체 제주특별자치도
연락처 064) 783-0959
홈페이지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참고 홈페이지 비짓제주 대한민국 구석구석

1. 개요2. 지리3. 역사4. 관광5. 교통6. 여담7. 관련 문서8.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제주도 동부에 있는 육계도.

2. 지리

제주도가 만들어진 시기인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단성 화산 오름과는 달리 유일하게 현무암질 마그마가 얕은 바닷속에서 분출하여 만들어진 수성화산의 일종인 응회구이자 섯시형화산체이다.

마그마나 용암이 다량의 얕은 수심의 차가운 바닷물과 섞여서 급히 냉각되고 물이 가열되어 끓으면서 분출 초기부터 격렬한 폭발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의 폭발로 마그마가 유리질 화산재와 화산력(火山礫)[2]으로 산산이 깨졌으며, 습기를 머금어 끈끈한 화산재는 뭉치거나 화산력 표면에 수 mm 두께로 달라붙어 피복화산력(부가화산력)을 만들었다. 끈끈하고 차가운 화산재와 화산력은 분수처럼 수증기와 함께 수백 m 높이로 솟구치며 분출했고, 분화구 둘레에 한 겹씩 원뿔형으로 퇴적층이 무수히 쌓이면서 황갈색, 짙은 회색의 응회암으로 이루어진 뚜렷한 층리를 이루며 융기하였다. 분출물이 물기를 머금고 있었기 때문에 안식각(30°)[3]을 훨씬 넘는 가파른 경사면(최대 45°)에 쌓일 수 있었다.

형성 직후 해수면에서 파도에 씻기며 풍화 및 침식 작용을 받아 원래의 지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의 침식절단면을 만들었다. 상부와 하부를 나누는 경계인 판상 층리의 높이가 현재의 해수면과 거의 일치하는데, 이를 통해 현대의 해수면과 같이 얕은 바다 속에서 침식 작용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 경계를 기준으로 일출봉 상부는 화산재와 화산력이 빗물에 씻기고 가파른 경사면을 따라 사태를 일으키며 탄낭구조가 생겼고, 사면에 놓여있던 응회층이 미끄러져 내려 겹쳐지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사면 아래쪽에 기왓장을 포개놓은 듯한 수평의 불규칙한 층리가 분포하게 되었다. 하부 층리는 침식 흔적으로 좌측으로 완만히 경사지며 연속적이고 평행한 형태를 갖는 사층리구조와 깎고 채운 지층이 있다. 고결도는 낮은 편이나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 기암절벽을 이룬다. 바다 쪽 해안절벽은 접근이 불가능하지만 각종 야생화가 서식하고, 분화구 서쪽 바위 틈에는 '생제'[4]이라는 작은 샘이 있다.

생성 당시에는 제주도 본토와 1km 떨어진 화산섬이었으나, 침식작용으로 바닷가까지 운반된 화산재와 화산력이 퇴적되어 바다를 향하여 얇고 완만히 경사진 신양리층을 만들면서 사주가 발달하여 간조 때마다 본토와 이어지는 너비 500m, 길이 1.5km 남짓한 '터진목'[5]이라는 육계사주가 생겼고, 1940년엔 여기에 도로를 놓아 육지와 완전히 이었다.

이러한 수상화산은 한번 형성되면 바다에 의해 침식되어 길어도 몇백 년에 걸쳐서 사라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른 수상화산과는 달리, 성산일출봉은 침식사면 외 부분이 수천 년간 침식되지 않고 온전한 형태를 보존했다. 그래서 깎인 부분의 내부 구조 연구를 통해 생성 과정을 밝힘과 함께 깎이지 않은 부분을 연구하여 수성화산의 분출 및 퇴적과정을 이해하는 데 세계적으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성산일출봉은 매우 희귀한 지질학적 사례로, 하와이 오아후 섬[6]의 다이아몬드 헤드 산(Diamond head) 혹은 레아히(Lē'ahi)[7]과 유사하다.

성산일출봉을 중심으로 하는 성산포 해안 일대의 육상식물은 73과 179속 220, 해안식물은 127종이 발견되었다. 제주분홍풀, 제주나룻말로 지칭되는 신종 해산식물의 원산지로도 주목을 받았다. 해산동물의 경우 총 177종이 있다고 밝혀졌으며, 그중에 많은 한국산 미기록종이 있다.

3. 역사

신증동국여지승람과 탐라지를 비롯한 1960년대까지 대부분 문헌에서 성산이라고 표기해왔다. 원래 숲이 무성하고 울창하여 청산(淸山)이라고 불렸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깎아지른 듯한 절벽이 병풍처럼 둘렀고, 꼭대기는 평평하고 넓어서 마치 성과 같아 '성산(城山)'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며, 후에 해돋이가 유명하여 제주도의 10대 절경인 영주10경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혀 '일출봉(日出峯)'이라는 명칭이 덧붙었다. 탐라지에서는 돌을 뚫어서 사다리를 놓은 뒤에야 오를 수 있다고 했는데, 실제로 탐라순력도에 이 부분이 묘사되어 있다.

몇 가지 전설이 전해져 내려온다. 하나는 성산일출봉의 봉오리가 100개였다면 제주에도 호랑이나 사자 같은 맹수가 났을 테지만, 하나가 모자란 99개이기 때문에 호랑이도 사자도 나지 않는다는 전설이다. 다른 하나는 일출봉 등산로 길목에 있는 '등경돌'에 얽힌 전설이다. 이 전설에 따르면 제주도의 거신 설문대할망은 일출봉 분화구를 빨래바구니로 삼고 우도를 빨랫돌로 하여 옷을 매일 세탁하였다고 한다. 옷이 단 한 벌밖에 없었기에 날마다 빨래를 했으며 밤에는 헤진 데를 꿰매 입었는데, 이때 등경돌에 불을 밝혔다고 전해진다. 한편으로는 고려 삼별초의 김통정이 성산에 토성을 쌓을 때 부인이 밤마다 돌에 불을 밝히고 바느질을 했는데, 부인이 불을 좀 더 밝히면 좋을 것 같다고 말하자, 장군이 돌덩이 하나를 주워다가 그 위에 얹고 불을 밝히니 부인이 좋아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분화구에 형성된 넓은 풀밭은 예전에 인근 주민의 연료 및 초가 지붕을 이는 띠로 이용하기 위한 풀을 채집하는 장소였다. 농사지 및 소나 말의 방목지로도 쓰여서 매년 불을 질렀기 때문에 나무는 거의 없고 억새와 띠로 이루어진 식물군락을 비롯한 풀들과 인위적으로 심었던 대나무 군락만 남았다.

삼면이 절벽이고 서쪽은 육지로 이어져 있어서 적군 공격에 유리하여 예로부터 요새로 사용되었다. 고려 원종 12년(1271)에 김통정이 이끄는 삼별초 여몽연합군의 공세에 대비하여 이곳에 토성을 쌓았고, 조선 선조 30년(1597) 임진왜란 때 제주목사 이경록이 수산진성을 잠시 성산일출봉으로 옮겼다는 기록이 있다. 일출봉 정상 동쪽에는 봉수대가 있었는데, 북쪽으로 지미봉수, 서쪽으로 수산봉수에 연결되었다.

1943년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이 이곳을 요새화하고자 위해 2년에 걸쳐 해안절벽에 굴 24개를 판 후 폭탄과 어뢰 및 이들을 실어놓은 쾌속정 등을 감춰두고 전쟁에 대비했지만[8] 제대로 사용도 못하고 패전했다. 오키나와 등지에서 일본군이 벌인 주민 총 옥쇄 따위의 일을 생각하면, 사용도 못 해본 것이 천만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굴의 크기는 높이 3~5m 넓이 3m 길이 10~50m 정도로, 입구 서너 개를 통해 안으로 들어가면 하나로 통하도록 해놓은 굴도 있다. 이 굴을 뚫을 당시 일제의 수탈이 너무 가혹하여 일부 성산리 주민들은 이를 피해 다른 마을로 이주해 갔다고도 한다. 이 굴은 이후 해녀들의 탈의장으로 사용되었고, 2006년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311호로 지정, 보호된 이후 현재는 일부 막아놓고 있으며, 송악산, 알뜨르 비행장 등과 함께 제주 내 '다크 투어리즘' 중 한 곳으로 들르는 사람들이 많다.

제주 4.3 사건 당시 이곳 성산일출봉 주변 터진목과 우뭇개 일대에서는 당시 고성리 청년들과 오조리 마을 주민 100여 명 등 많은 민간인이 토벌대에게 목숨을 잃기도 했다.

이후 빼어난 경관과 한국 신종 생물 원산지를 비롯한 한국 대표 생물 특성 보존, 수상화산의 지질학적 가치 등 여러 이유로 1976년에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다가 5.02km² 넓이인 일출봉 전체와 1km 이내의 해역이 2000년 7월 18일 천연기념물 제420호로 지정, 2007년 7월 2일 성산일출봉 1.688km²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고, 2010년 10월 1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관광명소로도 유명하여 2011년에는 대한민국 자연생태관광 으뜸명소, 2012년 12월에는 한국관광 기네스 12선에 선정되었다.

4. 관광

3월~9월 운영 시간은 07:00~20:00(매표 마감 19:00), 10월~2월 운영 시간은 07:30~19:00(매표 마감 17:50)이며, 매월 첫째 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요금은 성인 개인 5천 원, 단체 4천 원이며, 도민은 무료다. 등산길 외의 등하산교차로, 우뭇개 전망대와 우뭇개 해안은 연중 무료개방한다.

매표소에서 전망대까지는 걸어서 30분 걸린다. 등산길은 계단이 잘 조성되어 있으나, 꽤 가파르기 때문에 등산이 그렇게 수월하지는 않다. 다만 건장한 성인이라면 쉬는 시간 없이 한 번에 올라갈 수 있다. 정상의 넓은 분화구에 펼쳐진 억새밭과 멀리 보이는 우도, 그리고 올라가는 도중 펼쳐지는 바닷가 풍경. 무엇보다도 정상에 올라갔을 때 볼 수 있는, 바다 위에서 고개를 슬금슬금 내미는 태양이 일출봉 관광의 묘미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관광지여서 많은 외국인들이 방문하며, 주변에는 상권이 발달하여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 유명 체인점과 여러 기념품점들이 많이 들어서있다. 참고로 여기 있는 체인점들은 성산일출봉 폐장 시간에 맞춰 다른 곳의 동일한 프랜차이즈보다 일찍 문을 닫으니 주의할 것. 롯데리아는 특별점인 모양인지 모바일 쿠폰도 먹히지 않는다.

일출을 보고 싶다면 전날 일출봉 근처에 있는 숙소에서 묵고 다음날 해 뜨는 시간에 맞춰 올라가는 것이 좋다. 일출봉 주변 숙소에서는 다음날 일출 시간을 입구에 내거는 것은 기본이고 숙소에 따라선 일출 시간에 맞춰 일출봉까지 차로 데려다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니 미리 알아두면 좋다. 자신이 좀 일찍 못 일어나겠다 하는 사람은 비도 피할 겸 해가 짧은 겨울에 올라가 보는 것이 낫다. 날씨는 추워도 올라가다 보면 땀이 나고 몸에 열이 오르기 때문에 괜찮다. 이렇게 해도 일출을 보는 것은 맑은 날이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하늘의 도움이 필요하다 하겠다. 일출봉의 전체 모습을 촬영하려면 신양해변에서 촬영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섭지코지나 우도에서도 일출봉의 모습을 담을 수는 있지만 성산일출봉 위로 해가 떠오르는 모습은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일출봉 입구 왼쪽에 있는 전망대와 정상부의 전망대에서는 일출과 일출봉의 일부를 함께 담을 수 있다. 매년 12월 31일에는 성산일출제가 열린다. 이때는 새해를 맞는 날이라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일출봉에는 선착순 1,500명만 올라가서 일출을 볼 수 있다. 사실 1,500명도 수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공간이 넓은 편이 아니다. 성산일출봉에 올라가는 것도 귀찮다면 일출봉이 잘 보이는 방으로 숙소를 잡고 그냥 숙소에서 보도록 하자.

유네스코에도 올라간 명소이자 제주도 관광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운 장소이기 때문에 외국인 비중도 매우 높다. 대놓고 이름부터 일출봉이기 때문에 아무리 비수기라도 일출 시에 외국인이 꼭 한 명은 끼어 있다. 특히 일본에 비해 중국에는 화산 지형이 없기 때문에 중국인 단체여행의 필수 코스.

5. 교통

  • 1119번 지방도의 종점에서 시작되는 일출로를 따라 가면 성산일출봉 주차장과 이어진다.
  • 버스 정류장은 성산중앙로에 위치한 '성산일출봉입구 정류장'이 가장 가깝다. 성산환승정류장 방면으로 가는 721-2번 버스를 이용한다면 성산리입구 정류장[9]에 내려서 가면 된다.
406000816 성산일출봉입구[동] 111 성산항 방면
112 성산항 방면
201 제주버스터미널 방면
211 성산항 방면
212 성산항 방면
295 성산항 방면
721-2 성산환승정류장 방면
721-3 성산환승정류장 방면
406000817 성산일출봉입구[서] 111 제주국제공항 방면
제주버스터미널 방면
112 제주국제공항 방면
제주버스터미널 방면
201 서귀포버스터미널 방면
211 제주버스터미널 방면
212 제주버스터미널 방면
295 서귀포환승정류장 방면
721-2 성산환승정류장 방면
721-3 성산환승정류장 방면

6. 여담

  • 영화 " 이장호의 외인구단", 드라마 " 마이걸"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김민부 시인의 " 기다리는 마음"이 일출봉을 소재로 지어졌다.
  • 80년대 초반에는 헬기로 성산일출봉 관광이 가능했으나, 1983년 10월 1일 헬기 추락사고로 인해 중단되었다.
  • 2020년 4월 23일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사상자는 없고 30분만에 진압되었다. # 화재 이후 올라가는 동안 화재가 발생했다는 것 자체를 느끼지 못할 정도다.
  • 카트라이더 코리아 제주 해오름 다운힐 트랙에서 성산일출봉이 나온다. 트랙의 거의 모든 구간이 성산일출봉에서 내려와 주차장으로 향하는 구간이며 비행기가 지나가는 걸 확인 할 수 있다.

7. 관련 문서

8. 참고 자료


[1] 비고 174m, 분화구 바닥 해발 90m [2] Lapillus. 화산재보다 크고 64mm보다는 작은 입자이다. [3] 물질이 쌓이다가 어느 한계점에 이르면 더 이상 쌓이지 못하고 미끄러지거나 무너지는데, 이러한 경사 각도를 안식각(安息角)이라 한다. [4] 제주어로 '생이'는 참새같이 작은 새를 일컫는다. [5] 간조 때 길이 터진다 하여 붙은 명칭이다. [6] 호놀룰루와 와이키키가 위치해 있다. [7] 하와이말로 참치머리라는 뜻이다. [8] 일본군이 뚫어놓은 굴은 이곳 성산 뿐만 아니라 다른 해안절벽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지금은 모두 유람선 안내인의 설명거리로 요긴하게 쓰인다. [9] 성산리입구(북) (406000815). 성산일출봉 주차장까지 도보로 약 5분 정도 걸리는 위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