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인천 전반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동고등학교 | 덕적고등학교 | 동산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
인천고등학교 | 제물포고등학교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 C 후반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동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서울컨벤션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
충암고등학교 | 한광BC | EP BC |
}}}}}} ||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Seoul High School) |
|
창단 | 1954년 |
해체 | 1965년 |
재창단 | 1973년 |
소속 리그 | 서울권 |
감독 | 김동수 |
우승 기록[1] | 9회 |
키트 스폰서 | [2] |
웹사이트 |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대통령배 | 4회(1984, 85, 2014, 17) | 2회(1996, 2007) | 4회(1995, 2008, 11, 21) |
청룡기 | 1회(1985) | 2회(2016, 17) | 4회(1984, 86, 94, 2009) |
황금사자기 | 1회(2014) | 1회(1978) | 5회(1991, 95, 2008, 15, 16) |
봉황대기 | 2회(1978, 84) | 2회(1988, 2020) | 3회(1977, 95, 2001) |
이마트배 | 1회(2018) | - | - |
1978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충암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광주상업고등학교 |
1984년, 1985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제일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군산상업고등학교 |
1984년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제일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부산고등학교 |
1985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군산상업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덕수상업고등학교 |
2014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덕수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2014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공주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2017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동산고등학교 | → | 서울고등학교 | → | 대구고등학교 |
2018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동산고등학교(2015년) | → | 서울고등학교 | → | 배명고등학교 |
[clearfix]
1. 개요
서울고등학교 산하 야구부.2. 연혁
2.1. 태동기
서울고등학교가 세워지기 이전인 경성중학교의 기록을 전신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공식적인 역사로 인정하진 않는다.[3] 경성중학교의 경우 1916년 7월에 한반도 최초의 공식야구대회인 "경성시내 중등학교야구대회"에서 우승한 청년회관팀과 경기한 기록도 있다. 서울고 야구부의 실질적 첫 창단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4년이다. 이해 제 8회 쌍룡기를 시작으로 행보를 이어 나갔으나 재정난으로 제대로된 빛을 보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가 재창단을 실시하였다.- 1956년 제1회 문교부장관배쟁탈 전국학생대회, 쌍룡기(이상 예선 탈락), 전국지구대표고교쟁패전 서울시예선전(4강, vs 중앙고 10:0 패),
- 1960년 서울시중학연맹전(예선 탈락)
- 1962년 서울시고교 춘계리그 B조 4위(2승 1무 2패)
- 1964년 서울시고교 춘계리그 B조 5위(4승 4패)
2.2. 전성기
본격적으로 야구부가 가동한 것은 1974년으로 대구야구의 명장 서영무 감독을 모셔와 1977년 봉황대기 4강[4], 1978년 봉황대기 우승을 차지하면서 야구계에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1984년 대통령배 우승. 엎드려 있는 투수는 경남고 투수 배석곤 |
박형렬(21번), 이용호(트로피 든 선수),[5] 김동수(22번과 상패를 든 선수) |
서울고의 첫 전성기는 1984년과 1985년으로 두 해 연속으로 2관왕을 차지하면서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이 때 주역은 포수 김동수, 내야수 임형석, 심판으로 유명해진 김풍기, 투수로는 이용호, 박형열 같은 선수들이 있었고, 두터운 선수층을 앞세워서 1980년대 중반 고교야구를 호령했다. 이 때 시작된 전성기는 그러나 아쉽게도 트로피를 쓸어가는 시절로 이어지는 못했다. 이상훈같은 걸출한 투수들도 등장했지만[6], 고교 시절의 이상훈은 좋은 재질이었지 초고교급의 에이스는 아니었고, 그 뒤로 등장한 박준수, 구자운, 배힘찬같은 선수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1990년대 서울고 야구부는 4강에는 충분히 들었지만, 그 이상 나간 것은 1996년 대통령배 준우승이 유일했다.
2.3. 2000년대
이형종의 눈물의 호투, 그리고 패배[7] |
그리고 2000년대 초반에 접어들면서 꾸준하던 시기를 지나 8강권 정도의 다크호스로 꼽히던 서울고는 2007년 절호의 우승 기회를 잡았다. 이형종이라는 에이스를 앞세워 대통령배 우승에 도전한 것. 광주일고와 결승전을 치렀는데, 승리 일보 직전에서 끈질겼던 광주일고의 공세에 이형종이 9회 말에 이철우에게 동점타, 윤여운에게 역전타를 맞고 무너지면서 대역전패로 끝났고, 이 때 이형종이 흘린 눈물은 상대였던 정찬헌 못지 않게 이형종이 더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래도 이형종의 눈물은 그 해 전국체전 우승으로 보답을 받지만, 2000년대 후반의 서울고는 안치홍, 박건우 같은 우수한 선수들이 4강은 올려 놓는 우수한 팀이었지만, 그 고비를 넘지 못하는 안타까운 모습도 종종 나왔다.
2.4. 2010년대
2014 황금사자기 우승 |
서울고의 두 번째 전성기는 이 안타까움의 역사를 기어이 넘은 2014년이라 할 수 있는데, 최원태- 남경호- 박윤철로 이어지는 막강한 마운드를 앞세워 황금사자기와 대통령배를 석권하며, 29년만에 다시 2관왕의 위업을 재현했다. 그리고 황금사자기 우승을 통해 메이저 4개 대회를 모두 석권하는데 성공했다.
2016년 청룡기에서 1985년 우승 이후 31년 만에 결승에 진출했으나 덕수고에 4-7로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7년 청룡기에서는 준결승에서 덕수고에 전년도의 패배를 설욕하며 결승에 진출했으나 배명고에 1-2로 패배 2년 연속 준우승을 기록했다. 이어진 대통령배에서는 에이스 강백호를 앞세워 결승 진출에 성공했고, 경남고를 상대로 진땀을 뺀 끝에 13-9로 승리하며 3년 만에 이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2018년 들어서는 전국대회에서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황금사자기에서는 1회전에 신일고에게, 청룡기에서는 32강전에서 제물포고에게, 대통령배에서는 1회전에서 라온고에게 각각 패해 초반에 탈락했다. 봉황대기에서도 청룡기와 같이 32강전에서 제물포고에 패배하였다. 남은 대회인 9월 3일에 개막하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그동안의 부진을 만회하듯 4강까지 진출했다. 신일고와의 준결승에서 10-0으로 대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해 경남고를 맞아 2-1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2019년에는 주말리그 전반기에서 5위를 기록하며 황금사자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어 개최된 청룡기에서는 야탑고에 패배하며 16강전 진출이 좌절되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 참가하며 대통령배에는 참가하지 않는다.[8] 협회장기 2회전에서 전주고를 만나 전년도까지 동료였던 박재민의 호투에 막혀 0-2로 패하며 탈락했다. 이어진 봉황대기 첫날 경기에서 중앙고에 2-8로 패하며 한 번도 토너먼트를 통과하지 못한 채 공식 일정을 모두 마쳤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뒤늦게 시작한 주말리그 후반기[9]에서 전승을 기록했고 이어진 청룡기에서도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16강전에서 신일고에 3-13 콜드게임패를 당하며 탈락했다. 협회장기 32강전에서 광주제일고등학교를 8:1 6회 콜드로 이기며 16강에 진출하였다. 16강전에서 충암고에 승리를 거뒀으나 8강전에서 덕수고에 패하여 짐을 쌌다.
2.5. 2020년대
2020년에는 두산 베어스의 1차 지명을 받은 안재석을 포함하여 무려 6명의 프로 선수를 배출했다.2020년 봉황대기 8강전에 진출했으며 북일고를 만나 7:3으로 이기며 4강에 진출하였다. 4강 상대는 부산고한테 완승을 거두고 올라온 수원유신고이다. 4강전에서 5:3으로 유신고를 이기며 봉황대기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인상고를 꺾고 올라온 인천고등학교이다. 인천고는 대회 첫 우승에 도전하며, 서울고는 1988년 이후 32년 만에 결승에 진출해[10] 1984년[11] 이후 36년 만에 우승을 노렸으나 최종 우승은 인천고의 차지가 되었다.
2021년 황금사자기에서는 소래고, 상우고, 물금고를 차례로 물리치고 8강에 진출했으나 유신고에 2:9 콜드게임패를 당했다. 대통령배에서는 이병헌이 토미 존 서저리 및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로 시즌을 접은 가운데에서도 경북고, 전주고를 이기고 8강에 올라 유신고와의 리턴 매치에서 4:1로 승리해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전년도 우승 팀 강릉고를 물리치고 창단 첫 전국대회 4강에 진출한 라온고를 만났으나 1:4로 패해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2021년에는 두 명의 1차 지명 선수를 배출했고(대졸까지 합하면 3명), 2차지명에서도 3명이 지명되면서 대졸까지 합하면 6명의 프로 선수를 배출했다. 그리고 안재석, 이재현이 두산, 삼성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면서 평가가 더 올라가고 있다. 또한, 2023년 신인드래프트에서 고교 최대어였던 심준석이 MLB 진출 선언을 통해서 김서현의 전체 1번 지명이 거의 확실시되었고, 실제 드래프트에서도 김서현이 전체 1번 지명을 받아 야구팬들 사이에서의 주목도도 고공행진하는 중이다.
2023년 황금사자기에서 8강까지 올랐으나 선린인터넷고에 패하면서 준결승 진출이 좌절됐다.[12] 봉황대기 1회전에서 전미르의 경북고에 0-3으로 패하며 2회전(64강전) 진출에 실패했다.
2023년 7월 29일, 2024년 신인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유력 후보로 평가 받던 이찬솔이 2023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을 통해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하였다. 또한 이찬솔이 미국으로 진출함에 따라 KBO로부터 받는 고교야구 지원금 지급이 5년간 끊기게 되었다.[13]
김동수 감독이 새로 부임한 2024년 이마트배에서 1회전 상대 경기고에 패했다.
3. 역대 감독
- 김재복 (1974년)
- 구상문 (1975년 ~ 1976년)
- 서영무 (1977년 ~ 1980년)
- 유백만 (1981년)
- 김호중 (1982년)
- 최정상 (1983년)
- 구상문 (1984년)
- 왕상균 (1985년)
- 김영택 (1986년)
- 유태중 (1987년 ~ 1988년)
- 도영권 (1989년)
- 이동수 (1990년 ~ 1997년)
- 김영택 (1998년)
- 이선웅 (1999년 ~ 2000년)
- 안병환 (2001년 ~ 2002년 8월)
- 백기성 (2002년 8월 ~ 2003년 7월)
- 김대권 (2003년 9월 ~ 2004년)
- 김병효 (2005년 ~ 2007년 9월)[A]
- 홍상욱 (2007년 9월 ~ 2009년 5월)[A]
- 유지홍 (2009년 6월 ~ 2011년)
- 김병효 (2011년 ~ 2014년 )[A]
- 유정민 (2015년 1월 ~ 2023년 10월)[A]
- 김동수 (2023년 11월 ~ 현재)[A]
4. 출신 선수[19]
이름 | 포지션 | 프로 입단 | 경력 |
선우대영 | 투수 | 1982년 OB 창단 멤버 | 중앙대- OB(1982~1983) |
김풍기 | 내야수 | 1989년 연습생 입단 | 연세대- 태평양(1989~1991)- 쌍방울(1992) |
김동수 | 포수 | 1990년 1차지명 | 한양대- LG(1990~1999)- 삼성(2000~2001)- SK(2002)- 현대(2003~2007)- 히어로즈(2008~2009) |
임형석 | 내야수 | 1990년 1차지명 | 한양대- OB(1990~1996)- 롯데(1997) |
임수혁 | 포수 | 1994년 2차 1순위 | 고려대- 상무(1992~1994)- 롯데(1994~2000) |
이상훈 | 투수 | 1993년 1차지명 | 고려대- LG(1993~1997)- 주니치(1998~1999)- BOS(2000)- LG(2002~2003)- SK(2004) |
이용호 | 투수 | 1993년 연습생 입단 | 건국대- OB/ 두산(1993~2001)- LG (2002) |
추성건 | 내야수 | 1993년 1차지명 | 건국대- OB- 두산(1993~1999)- SK(2000~2001) |
조경환 | 외야수 | 1995년 2차 2라운드 | 고려대- 현대 피닉스(1995)- 상무(1996~1997)- 롯데(1998~2002)- SK(2002~2007)- KIA(2008) |
박승민[20] | 투수 | 1996년 2차 9라운드 | 경희대- 현대(2000~2007)- 넥센(2008~2011)- KIA(2012) |
구자운 | 투수 | 1999년 2차 고졸우선지명 | 두산(1999~2007)- 삼성(2008~2011) |
박정현 | 내야수 | 2000년 2차 9라운드 | 해태/ KIA(2000~2003) |
박재상 | 외야수 | 2001년 2차 9라운드 | SK(2001~2017) |
배힘찬 | 투수 | 2002년 2차 1라운드 | 현대(2002~2007)- 넥센(2008~2015)- KIA(2016~2017) |
김영복 | 포수 | 2003년 2차 4라운드 | 삼성(2003~2007)- NC(2012) |
허도환 | 포수 | 2003년 2차 7라운드 | 단국대- 두산(2007)- 넥센(2011~2015)- 한화(2015~2017)- SK(2018~2019)- KT(2020~2021)- LG(2022~) |
강승현 | 투수 | 2008년 2차 3라운드 | 단국대- 롯데(2008~2016)- 한화(2017~2018) |
이보근 | 투수 | 2005년 2차 5라운드 | 현대(2005~2007)- 넥센/키움(2008~2019)- KT(2020~2021) |
김대우 | 투수 | 2011년 9라운드 | 홍익대- 넥센(2011~2016)- 삼성(2016~) |
|
투수 | 2007년 1차지명 | 두산(2007~2015)-후쿠이 미라클 엘리펀츠(2015~2018) |
한성구 | 포수 | 2011년 신고선수 입단 | 홍익대- KIA(2011~2013)- 고치 파이팅 독스(2017~2018)- 질롱 코리아(2018~2019) |
유민상 | 내야수 | 2012년 7라운드 | 연세대- 두산(2012~2016) - KT(2016~2017)- KIA(2018~2021) |
이형종 | 투수/외야수 | 2008년 1차지명 | LG(2008~2010, 2013~2022)- 키움(2023~) |
류원석[21] | 투수 | 2013년 신고선수 입단 | 인하대- LG(2013~2022)- 한화(2023) |
박건우 | 외야수 | 2009년 2차 2라운드 | 두산(2009~2021)- NC(2022~) |
안성무 | 투수 | 2015년 육성선수 입단 | 고려대- 경찰- 삼성(2015~2018) |
안치홍 | 내야수 | 2009년 2차 1라운드 | KIA(2009~2019)- 롯데(2020~2023)- 한화(2024~) |
전인환 | 투수 | 2009년 2차 6라운드 | 히어로즈(2009)- LG(2010~2018) |
최성민 | 투수 | 2009년 2차 4라운드 | LG(2009~2015) |
이인복 | 투수 | 2014년 2차 2라운드 | 연세대- 롯데(2014~2024) |
문재현 | 투수 | 2011년 9라운드 | 한화(2011~2019)- 당진 현대제철 블루캅(2021~) |
유강남 | 포수 | 2011년 7라운드 | LG(2011~2022)- 롯데(2023~) |
임정우 | 투수 | 2011년 4라운드 | SK(2011)- LG(2012~2023) |
김승훈 | 내야수 | 2016년 육성선수 입단 | 홍익대- LG(2015~2016) |
김재영 | 투수 | 2016년 2차 1라운드 | 홍익대- 한화(2016~2023) |
신동훈 | 투수 | 2012년 6라운드 | LG(2012~2015)- SK(2015~2019)- 롯데(2020) |
이준형 | 투수 | 2012년 6라운드 | 삼성(2012~2013)- KT(2014~2015)- LG(2015~2020)- KIA(2021~2022) |
임서준 | 투수 | 2016년 2차 8라운드 | 인하대- NC(2016~2020) |
장현식 | 투수 | 2013년 1라운드 | NC(2013~2020)- KIA(2020~2024)- LG(2025~) |
배재환 | 투수 | 2014년 2차 1라운드 | NC(2014~) |
윤희영 | 투수 | 2018년 2차 5라운드 | 경성대- KIA(2018) |
최우혁 | 포수/외야수 | 2018년 2차 9라운드 | 홍익대- LG(2018~2021) |
남경호 | 투수 | 2015년 1차지명 | 두산(2015~2020) |
박윤철 | 투수 | 2019년 2차 10라운드 | 연세대- 한화(2019~2023) |
최원태 | 투수 | 2015년 1차지명 | 넥센/키움(2015~2023)- LG(2023~2024)- 삼성(2025~) |
김태오 | 투수 | 2016년 2차 5라운드 | KT(2016~) |
임석진 | 내야수 | 2016년 2차 1라운드 | SK/ SSG(2016~2022)- KIA(2022~2024) |
주효상 | 포수 | 2016년 1차지명 | 넥센/키움(2016~2022)- KIA(2023~) |
최원준 | 내야수[22] | 2016년 2차 1라운드 | KIA(2016~) |
박승훈 | 내야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 연세대- 수원 파인 이그스(2023)- KIA(2023) |
이찬혁 | 투수 | 2017년 2차 3라운드 | LG(2017~2023)- SSG(2024) |
강백호 | 투수/포수/외야수[23] | 2018년 2차 1라운드 | KT(2018~) |
양승혁 | 내야수 | 2018년 육성선수 입단 | KT(2018~2024) |
이재원 | 외야수 | 2018년 2차 2라운드 | LG(2018~) |
정문근 | 외야수 | 2018년 2차 9라운드 | 한화(2018~2020) |
주승우 | 투수 | 2022년 1차지명 | 성균관대- 키움(2022~) |
최현준 | 내야수 | 2018년 2차 3라운드 | LG(2018~2023) |
배영빈 | 내야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 홍익대- 롯데(2023) |
송승환 | 포수 | 2019년 2차 2라운드 | 두산(2019~2023)- NC(2024~) |
이교훈 | 투수 | 2019년 2차 3라운드 | 두산(2019~) |
정우영 | 투수 | 2019년 2차 2라운드 | LG(2019~) |
정우준 | 투수 | 2021년 2차 6라운드 | 강릉영동대- 롯데(2021~) |
최현일 | 투수 | 2019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 LAD(2019~) |
강민 | 투수 | 2020년 2차 4라운드 | LG(2020~) |
김지민 | 투수 | 2024년 육성선수 입단 | 제주관광대-원광대- KT(2024) |
심규빈 | 외야수 | 2024년 11라운드 | 성균관대- LG(2024~) |
정재원 | 외야수 | 2020년 2차 7라운드 | 키움(2020~2022) |
김재중 | 외야수 | 2021년 2차 9라운드 | NC(2021) |
문승진 | 투수 | 2021년 2차 10라운드 | 한화(2021~) |
송호정 | 내야수 | 2021년 2차 2라운드 | 한화(2021~) |
안재석 | 내야수 | 2021년 1차지명 | 두산(2021~) |
조건희 | 투수 | 2021년 2차 3라운드 | LG(2021~) |
최우인 | 투수 | 2021년 2차 8라운드 | 롯데(2021~2024)- 두산(2025~) |
문정빈 | 내야수 | 2022년 2차 8라운드 | LG(2022~) |
이병헌 | 투수 | 2022년 1차지명 | 두산(2022~) |
이재현 | 내야수 | 2022년 1차지명 | 삼성(2022~) |
조세진 | 외야수 | 2022년 2차 1라운드 | 롯데(2022~) |
주승빈 | 투수 | 2022년 2차 5라운드 | 키움(2022~) |
김도월 | 내야수 | 2023년 9라운드 | KIA(2023~2024) |
김서현 | 투수 | 2023년 1라운드 | 한화(2023~) |
이준서 | 외야수 | 2023년 4라운드 | LG(2023~) |
소한빈 | 외야수 | 2024년 9라운드 | 롯데(2024~) |
여동건 | 내야수 | 2024년 2라운드 | 두산(2024~) |
이찬솔 | 투수 | 2023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 BOS(2024~) |
전준표 | 투수 | 2024년 1라운드 | 키움(2024~) |
김동현 | 투수 | 2025년 1라운드 | KT(2025~) |
김영우 | 투수 | 2025년 1라운드 | LG(2025~) |
최민석 | 투수 | 2025년 2라운드 | 두산(2025~) |
5. 논란
- 2015년 졸업생 중 한 명인 홍승우군의 대학 입학을 고의로 막은 것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관련 기사 이후 검찰이 입시비리 정확을 포착해 당시 연세대 감독, 서울고 지도자등 관계자들의 출국 금지 명령을 내렸다. 기사 그리고 홍승우는 2017년도까지 가는 끝에 3수만에 서울대에 합격했다. # [24]
- 거기다 전임 감독이었던 김모 감독[25]이 2014년에 승부조작을 지시한 혐의가 밝혀졌다. 휘문고와의 경기에서 아웃되기 위해 도루를 지시하거나 번트를 맞으면 일부러 수비수들을 뒤로 물려 안타로 만들어 주는 등의 수법을 사용했다고.
- 학교에 많은 후원을 하는 모 회장이 야구부 운영에 관여하며 갑질을 저질렀고, 감독과 코치 교체를 요구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 기사 복자처리 되어있기는 하지만 신인왕 두 명, 명문고 야구열전 준결승 등의 내용을 보면 서울고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서울고등학교 내에 회장의 이름을 딴 건물은 오**홀밖에 없다. 오영수 회장은 현재 채권 중개 업체인 KIDB 회장이다. 결국 서울중앙지방법원은 근로자지위보전 가처분 신청에서 유정민 감독의 청구를 인용하면서 유정민 감독은 감독직을 계속 이어갈 수 있게 되었다. [26] 유정민 감독은 2023년 10월을 끝으로 학교를 떠났다.
6. 여담
- 서울고등학교 운동장[27]은 (여느 주택가 학교와 마찬가지로) 저녁 시간 이후에는 인근 주민들의 조깅 트랙이자 놀이 공간인데 이 트랙과 같은 공간에 야구부 연습장과 회관 등이 위치해 있다. 저녁 시간에 조깅이나 걷기운동하러 가면 늦게까지 땀 흘리고 있는 야구부 선수들을 목격할 수 있다.1980년대에는 서울에서 경기가 열리는 지방 연고 프로 야구단의 연습 시설로도 이용이 되었으므로 학생들이 유명 프로 선수들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 2015~2018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 2차 1라운드 고졸 지명자를 가장 많이 배출해낸 학교다. 최원태, 남경호[28], 주효상[29], 최원준[30], 임석진[31], 강백호[32]. 정작 강백호의 동기로 2017년에 좋은 활약을 보였던 투수 주승우는 신인 2차지명 행사에 초청을 받고도 지명을 받지 못했고, 성균관대학교에 진학했다.
- 훈련 분위기가 유정민 감독의 영향으로 상당히 자유로우면서도, 선수들이 훈련 스케줄을 지키면서도 정형화된 프로그램이 아니라 선수의 의향에 맞는 훈련 일정을 소화하면서 자율과 책임을 중시하는 편이다. 또한, 합숙을 없애고 랩소도, 카이저 등 트레이닝 기계를 도입하면서도, 투수파트에서도 드라이브라인 훈련방식을 적용하는 등 최신 훈련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다.[33]
- 훈련이 끝나면, 한국사 등 과목 보충수업을 받는 등 학업에도 충실한 편이다. 그래서 안재석이 한국사 모의고사 1등급을 받기도 했다.
- 선수 층이 두터운 것이 장점이지만 지나치게 3학년 위주로 경기를 치르다 보니 선수들이 저학년 때 실전 경험을 제대로 쌓지 못한 상태에서 3학년 때 주전으로 올라오는 데에 따른 문제점도 적지 않다. 이러다 보니 중도에 그만 두거나 다른 학교로 전학을 택하는 선수들도 적지 않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ffd700,#000>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49년,
1955년 1967년, 1974년, 2022년 |
★★★★★★★ 7회 |
|
2 | 인천고등학교 | 1954년, 1989년 |
★★ 2회 |
||
3 | 동산고등학교 | 1957년, 1988년 |
★★ 2회 |
||
4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1962년 |
★★ 2회 |
|
5 | 경동고등학교 | 1959년, 1960년 |
★★ 2회 |
||
6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7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3년,
1966년,
1969년 1980년, 2015년 |
★★★★★ 5회 |
||
8 | 성남고등학교 | 1964년, 1970년 |
★★ 2회 |
||
9 | 중앙고등학교 | 1965년 |
★ 1회 |
||
10 | 경북고등학교 | 1968년, 1971년, 1979년, 1981년 |
★★★★ 4회 |
||
11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72년, 1986년, 1999년 |
★★★ 3회 |
||
12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98년 |
★★ 2회 |
||
13 | 개성고등학교 | 1975년 |
★ 1회 |
||
14 | 신일고등학교 |
1976년,
1978년,
1987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3년 |
★★★★★★★★ 8회 |
||
15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77년 |
★ 1회 |
||
16 | 세광고등학교 | 1982년 |
★ 1회 |
||
17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83년,
198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8년 |
★★★★★★ 6회 |
||
18 | 전주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충암고등학교 | 1990년, 2009년, 2011년 |
★★★ 3회 |
||
20 | 배명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1 | 덕수고등학교 |
1994년,
1995년,
2004년 2013년, 2016년, 2017년 |
★★★★★★ 6회 |
||
22 | 경기고등학교 | 2000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2001년 |
★ 1회 |
||
24 | 북일고등학교 | 2002년, 2012년 |
★★ 2회 |
||
25 | 장충고등학교 | 2006년, 2007년 |
★★ 2회 |
||
26 | 서울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27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
★ 1회 |
||
28 | 김해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29 | 강릉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0 | 부산고등학교 | 2023년 |
★ 1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000080,#191919> | <colbgcolor=#000080,#fff> 개성고등학교 | 1946년, 1964년 |
★★ 2회 |
|
2 |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73년,
1976년 1990년, 1998년, 2006년, 2007년 2010년 |
★★★★★★★★★ 9회 |
||
3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49년, 1988년, 1995년, 2002년 |
★★★★ 4회 |
||
4 | 대구상원고등학교[1] |
1950년,
1970년,
1977년 1999년, 2011년, 2015년 |
★★★★★★ 6회 |
||
5 | 인천고등학교 | 1953년, 1954년 |
★★ 2회 |
||
6 | 동산고등학교 |
1955년,
1956년,
1957년 1959년, 1966년, 2005년 |
★★★★★★ 6회 |
||
7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
★ 1회 |
|
8 | 경동고등학교 | 1960년 |
★ 1회 |
||
9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10 | 부산고등학교 | 1962년, 1978년, 1979년 |
★★★ 3회 |
||
11 | 부산공업고등학교 | 1963년 |
★ 1회 |
||
12 | 청원고등학교 | 1965년, 1989년 |
★★ 2회 |
||
13 | 경북고등학교 |
1967년,
1968년,
1971년,
1974년 1975년, 1981년, 1993년, 2023년 |
★★★★★★★★ 8회 |
||
14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9년, 1980년 |
★★ 2회 |
||
15 | 중앙고등학교 | 1972년 |
★ 1회 |
||
16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82년, 1984년 |
★★ 2회 |
||
17 | 북일고등학교 | 1983년 |
★ 1회 |
||
18 | 서울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덕수고등학교 |
1986년,
200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6년 |
★★★★★★ 6회 |
||
20 | 대전고등학교 | 1987년 |
★ 1회 |
||
21 | 부경고등학교 | 1991년 |
★ 1회 |
||
22 | 공주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1994년, 1996년 |
★★ 2회 |
||
24 | 신일고등학교 | 1997년, 1997년 |
★★ 2회 |
||
25 | 성남고등학교 | 2000년, 2004년 |
★★ 2회 |
||
26 | 광주동성고등학교 | 2003년, 2018년 |
★★ 2회 |
||
27 | 대구고등학교 | 2008년 |
★ 1회 |
||
28 | 배명고등학교 | 2017년 |
★ 1회 |
||
29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2022년 |
★★ 2회 |
||
30 | 장충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31 | 충암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2 | 전주고등학교 | 2024년 |
★ 1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ff2400,#191919> | <colbgcolor=#ff2400,#fff> 경북고등학교 | 1971년, 1975년, 1981년, 2015년 |
★★★★ 4회 |
|
2 | 배명고등학교 | 1972년, 1992년 |
★★ 2회 |
||
3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74년 |
★★ 2회 |
||
4 | 개성고등학교 | 1976년 |
★ 1회 |
||
5 | 충암고등학교 | 1977년, 1988년, 1995년, 2007년 |
★★★★ 4회 |
||
6 | 서울고등학교 | 1978년, 1984년 |
★★ 2회 |
||
7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79년, 2004년 |
★★ 2회 |
||
8 | 북일고등학교 |
1980년,
1987년,
1999년 2002년, 2009년 |
★★★★★ 5회 |
||
9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82년, 1996년, 2013년 |
★★★ 3회 |
||
10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83년 |
★ 1회 |
||
11 | 부산고등학교 | 1985년, 1986년, 1993년, 2022년 |
★★★★ 4회 |
||
12 | 동산고등학교 | 1989년 |
★ 1회 |
||
13 | 대전고등학교 | 1990년 |
★ 1회 |
||
14 | 신일고등학교 | 1991년, 1997년 |
★★ 2회 |
||
15 | 덕수고등학교 | 1994년, 2006년, 2021년 |
★★★ 3회 |
||
16 | 경남고등학교 | 1998년, 2003년 |
★★ 2회 |
||
17 | 진흥고등학교 | 2000년 |
★ 1회 |
||
18 |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1] | 2001년 |
★ 1회 |
||
19 | 유신고등학교 | 2005년 |
★ 1회 |
||
20 | 대구고등학교 | 2008년, 2010년, 2018년, 2023년 |
★★★★ 4회 |
||
21 | 휘문고등학교 | 2014년, 2016년, 2019년 |
★★★ 3회 |
||
22 | 야탑고등학교 | 2017년 |
★ 1회 |
||
23 | 인천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24 | 전주고등학교 | 2024년 |
★ 1회 |
||
[1] 현재 폐단 상태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034295,#fff> 경기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2 | 대구상원고등학교 | 2015년 |
★ 1회 |
||
3 | <colbgcolor=#034295,#191919> | 경남고등학교 | 2016년, 2018년, 2020년 |
★★★ 3회 |
|
4 | 서울고등학교 | 2017년 |
★ 1회 |
||
5 | 덕수고등학교 | 2019년[공동우승], 2022년, 2024년 |
★★★ 3회 |
||
대구고등학교 | 2019년[공동우승] |
★ 1회 |
|||
6 | 경북고등학교 | 2021년, 2023년 |
★★ 2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덕수고등학교 | 2013년, 2020년, 2023년, 2024년 |
★★★★ 4회 |
||
2 | 경기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3 | 동산고등학교 | 2015년 |
★ 1회 |
||
4 | 서울고등학교 | 2018년 |
★ 1회 |
||
5 | 배명고등학교 | 2019년 |
★ 1회 |
||
6 | 마산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7 | 북일고등학교 | 2022년 |
★ 1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1d2a>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white> | <colbgcolor=#4b0082> 경북고등학교 |
1967년,
1968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4년 |
★★★★★★ 6회 |
|
2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9년, 1979년 |
★★ 2회 |
||
3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93년 |
★★ 2회 |
||
4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75년,
1980년,
1983년,
2002년 2007년, 2015년 |
★★★★★★ 6회 |
||
5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76년, 1981년, 1986년, 2023년 |
★★★★ 4회 |
||
6 | 공주고등학교 | 1977년, 2013년 |
★★ 2회 |
||
7 | 부산고등학교 |
1978년,
1982년,
1989년,
1992년 1999년, 2000년 |
★★★★★★ 6회 |
||
8 | 서울고등학교 | 1984년, 1985년, 2014년, 2017년 |
★★★★ 4회 |
||
9 | 북일고등학교 | 1987년, 1997년, 2011년 |
★★★ 3회 |
||
10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98년, 2005년 |
★★ 2회 |
||
11 | 충암고등학교 | 1990년, 2021년 |
★★ 2회 |
||
12 | 부경고등학교 | 1991년, 1998년 |
★★ 2회 |
||
13 | 대전고등학교 | 1994년, 2022년 |
★★ 2회 |
||
14 | 배재고등학교 | 1995년 |
★ 1회 |
||
15 | 휘문고등학교 | 1996년, 2010년 |
★★ 2회 |
||
16 | 진흥고등학교 | 2001년, 2012년 |
★★ 2회 |
||
17 | 대구고등학교 | 2003년, 2018년, 2019년 |
★★★ 3회 |
||
18 | 인천고등학교 | 2004년 |
★ 1회 |
||
19 | 장충고등학교 | 2006년 |
★ 1회 |
||
20 | 덕수고등학교 | 2008년, 2009년 |
★★ 2회 |
||
21 | 동산고등학교 | 2016년 |
★ 1회 |
||
22 | 강릉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1]
4대 메이저 + 협회장기
[2]
휠라코리아 회장이 서울고 출신이기 때문에 유니폼 등의 야구용품을 휠라에서 후원을 받는다.
[3]
경성중학교는 일본인 중학교(오늘날의 중학교+고등학교)로, 대다수의 일본인 학생과 소수의 한국인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인 학교가 위치해 있던
경희궁 터에 해방 직후인 1946년
서울고등학교가 새로 개교하기는 했으나, 공식 역사로는 인정하지 않는다.
[4]
4강에서 그해 대회 우승팀인
조범현의 충암고한테 패했다.
[5]
여기의 이용호는 아래의 95년
OB 베어스 우승 주역인
이용호와는 선후배 관계의 동명이인.
[6]
이상훈과 같이 뛰던 선수로는
임수혁,
조경환,
이용호 등이 있었다.
[7]
뒤에 보이는 하얀 운동화를 신은 광주일고 선수는
장민재(당시 장민제)다.
[8]
전국 고교야구부 80개교중 39개교는 대통령배, 41개교는 협회장기에 참가한다. 개최 시기가 겹친다.
[9]
후반기를 전반기보다 먼저 치렀다.
[10]
유지현의
충암고에 우승을 내준 대회다.
[11]
대회 MVP는 김동수다.
[12]
그리고 그 선린인터넷고는 창단 후 한번도 황금사자기 우승을 못해본
부산고의 첫 우승 제물이 되고 말았다.
[13]
원래는 2018년에
최현일이 미국에 진출하면서 2018년부터 5년간 지원금이 끊겼고, 따라서 2023년이 지원금이 끊기는 마지막 해였으나, 이찬솔이 미국 진출을 선언함에 따라 서울고 입장에서는 장장 10년이나 지원금이 끊기게 되었다.
[A]
서울고 동문
[A]
서울고 동문
[A]
서울고 동문
[A]
서울고 동문
[A]
서울고 동문
[19]
나무위키 등록 선수만. 졸업 연도순.
[20]
2013년 박준수에서 개명.
[21]
유원석에서 개명했다.
[22]
현재는 외야수로 전향
[23]
프로 입단 후에는 주로 포수/지명타자로 출장한다.
[24]
다만 프로 지명은 받지 못했으며, 졸업과 함께 대학원 진학을 택했다고 한다.
[25]
2006년 이형종의 눈물의 역투 당시에도 감독이었다. 감독 사임 후 몇년 뒤 다시 감독직으로 복귀했다.
[26]
재판부는 “유 감독과 A코치가 서울고 야구부 지도자로 근무한 이후 현재까지 보여준 실적·수상이력 등에 비춰 보면, 교육감이 제출하는 자료들만으로는 유 감독과 코치에 대해 결격사유가 존재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시했다. 특히 서울시교육청 감사관이 학교장에 연장불가 통보의 철회·보류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매일노동뉴스, 2022.3.11)
[27]
심석희 선수가
나이키
광고를 촬영할 때 방문하기도 했다.
[28]
이상
2015 1차 지명.
[29]
2016 1차 지명.
[30]
2016 2차 1라운드 지명.
[31]
2016 2차 1라운드 지명.
[32]
2018 2차 1라운드 지명.
[33]
이 때문에, 합숙 생활을 기본으로 하는 한국, 일본의 명문 고교야구 팀들과도 훈련, 생활 분위기가 현격하게 차이가 난다.
[34]
일반적으로 고등학교팀·대학팀과의 경기는 2연전이나, 우천으로 인해 경기가 미뤄져
대구고등학교 야구부와의 2연전 이후 2차전을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