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7:38:34

서울 버스 0411

0411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5bb02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0017 0411
[[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파일:0411_2781.png 파일:0411_7553.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04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0411 노선도.png
기점 [출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서울드래곤시티)
[도착]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용산역3번출구.용산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AT센터.양재꽃시장)
종점
첫차 04:2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10~15분 주말배차 12~17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인가대수 22대(예비 1대)[1]
노선 서울드래곤시티/용산역3번출구.용산차고지 - 용산전자상가 - (공통 구간) - (→ 원효로3가 →) - 이촌2동주민센터 - 이촌동동부센트레빌 - 이촌동한강맨션. 이촌역 - 서빙고신동아아파트 - (← 서빙고역1번출구 ←) - 동작대교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반도미도아파트 - 교대역 - 강남역 - 뱅뱅사거리 -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 AT센터.양재꽃시장
공통 구간 원효로3가 → 원효로2가사거리 → 효창공원앞역 → 효창공원삼거리.윤봉길의사등묘옆 → 숙명여대후문.이봉창활동터 → 대한노인회중앙회 → 효창운동장.효창동주민센터 → 효창공원앞역 → 원효로2가
* 공통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기 때문에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상행과 하행 모두 이 구간에서는 화살표 순서대로 운행한다.

2. 개요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4.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22년 7월 18일부터 용산공영차고지 하차와 차고지 주변에서 승차가 가능해졌다. 승차는 서울드래곤시티 정류소에서, 하차는 용산역3번출구 정류소에서 가능하다. 관련 공문
  • 2022년 8월 16일을 기해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로 인해 정상운행차량 1대가 침수되면서 임시로 평일 운행대수가 1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4회 감회된 80회로 조정되었고 평일 최소/최대 배차간격 역시 11~15분에서 12~16분으로 늘어났다. 다만, 토요일/공휴일 운행계통에는 변동이 없다. 관련 공문
  • 2022년 8월 29일을 기해 1대가 대원여객 2312A번으로부터 투입됐다. 또한 침수차량를 대체하기 위한 예비차량이 정규 운행에 한시적으로 투입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기존 대비 8회/4회/5회 증회된 88회/77회/73회로 조정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공휴일 각각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2~16분/14~19분에서 10~15분/12~17분으로 소폭 줄어들었다. 관련 공문
  • 2022년 11월 11일을 기해 침수차량의 수리가 완료되면서 한시적 예비차량 투입이 종료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고속터미널에서 논현역을 경유하여 강남역으로 향하도록 계획했지만, 서초구청과 용산구 주민들의 민원 제기로 삼호가든사거리와 교대역을 대신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문 이로 인해 강남역~신반포역 구간은 서초10번과 겹친다.
  • 가스 충전은 염곡공영차고지에서 한다. 도로교통공단까지 가기로 했으나 140번처럼 염곡사거리까지만 운행한다.
  • 0018번이 폐선된 지 약 9년 만에 개통한 0권역 지선버스이자 최초의 0권역발 4권역행 노선이다.
  • 3420번 서초10번의 삼호가든사거리 구간 과포화를 해소시켜 줄 것으로 보이며, 단축 후 세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삼호가든 방면 하교수요도 대신 맡게 된다. 진흥아파트 ~ 교대역 편도 구간의 경우, 740번 외에 노선이 추가되어 조금 더 편해질 것으로 보인다.
  • 서초대로와 강남역 남쪽의 강남대로를 오갈 때, 즉 신분당선 강남역과 교대역 간을 오갈 때 이 노선이 유용하다.
  • 가스차량 충전 문제, 강남 구간의 심각한 정체로 인해 배차간격이 자주 깨진다. 평일 배차간격이 40분을 넘길 때도 있다.
  • 숙명여대 학생들의 든든한 발이 되어주는 노선이다. 특히 효창공원앞역 ~ 숙대 순환구간 수요가 상당하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0411번
<rowcolor=#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비고
2022년 7,675명 - [2]
2023년 8,773명 △ 1,09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6대 운행 [2] 개통일인 6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3] 용산전자상가 방면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