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8:58:44

부산 버스 5

부산 버스 5(폐선)에서 넘어옴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산5.jpg [1]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미디어에서6. 연계 철도역7.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번
기점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해운대신시가지) 종점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부산진시장)
종점행 첫차 04:30 기점행 첫차 05:20
막차 22:40 막차 23:40
평일배차 출퇴근 12분/평시 15분 주말배차 18분
운수사명 부일여객 인가대수 13대
노선 해운대 신시가지 - 해운대역 - 올림픽교차로 - 센텀시티역· BEXCO - 수영역·수영교차로 - 부산지방병무청 - 배산역 - 연제구청 - 양정역 (→ 부전시장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범내골역 → / ← 부전도서관 ← 지오플레이스 ← 범내골역.상공회의소 ←) - 중앙시장 → 부산진시장 → 중앙시장 → 이후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35km였다.

3. 역사

  • 경동여객에서 운행되었으며, 신설당시 노선은 '고려제강(망미2동) - 수영본동 ~ 수영교차로 - 통합병원(현 망미역) - 부산여상 - 양정 - 서면 - 진시장 - 범일5동 주민센터 - 항만소방서 - 부산역후문 - 세관 - 충무동 - 구덕운동장'이었다.
  • 1980년대 후반에 '수영 - (기존 노선) - 남포동 - 충무동교차로 - 자갈치시장'으로 단축되었다.
  • 이후 '좌동 - 대천부락 - 해운대역 - 운촌 - 수비삼거리 - 수영교차로 - (기존 노선) - 충무동'으로 연장하였고, 운행업체도 우진서비스(현 부일여객)로 바뀌었다.
  • 1991년에 '좌동 - (기존 노선) - 진시장 - 부산진역 - 부산역 - 충무동'으로 변경되었다. 단독구간이었던 충장로 구간은 5-1번으로 승계된다. 기존 망미2동, 수영안동네 대체 노선으로 103-1번을 신설시켜 그대로 승계되었다.
  • 1994년에 '좌동 - (기존 노선) - 서면 - 범내골 - 제일제당(현 지오플레이스) - 부전도서관 - 전포초교'로 단축되었다.
  • 신시가지가 입주하여 1996년에 '좌동 - 대동상가 - 폭포사입구 - 좌동입구(현 스펀지) - (기존 노선) - 서면'으로 변경되었다.
  • 2002년에 좌동 방향은 요트경기장을 경유하지 않는 걸로 조정했다.
  • 2007년 부산시내버스 전면 개편 때 현상유지되었다.
  • 2008년 후반에 '좌동 - (기존 노선) - 범내골 - 중앙시장 - 시민회관 - 진시장 - 중앙시장'으로 연장했다.
  • 수요 저조 및 중복노선이 많다는 이유로 폐선되었지만 사실상 1010번 개통으로 인한 차량수급문제 해결을 하기위해 2012년 5월에 이 노선이 폐선되었다. 차량은 40번, 182번, 188번→185번,[2] 1001번, 1010번→1011번에 투입되었는데, 이 중에서 좌석격하차량은 1001번에 투입하였다.

4. 특징

  • 폐선 이전 해운대 신시가지 부산진시장을 잇는 셋 뿐인 입석노선이었다.[3]
  • 주로 로얄미디/로얄시티/에어로시티에서 BS110CN/BS106 NGV/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되었다. 폐선 후에는 주로 38번, 40번으로 이동되었다.
  • 이 노선에 2011년식 BC211M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이 1대 존재했다. 미국 이튼社의 자동변속기가 달린 모델이었고, 청강리 개편 때 5번이 폐선된 이후 예비차로 전락했다가, 얼마 뒤 기존 면허는 두 번 대차되어 2015년에 수원여객 취소분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으로 182번에서 다니고 있으고, 차량은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동화운수에 중고차로 매각되었다가 2020년 8월에 최종 대차되었다.
  • 유난히 부일여객에는 여성승무원들이 많은데 40번, 1001번보다는 5번에 주로 소속되어 있었다. 5번 폐선 이후 거의다 40번으로 이동되었다.[4]
  • 역사 문단에 폐선 사유가 수요 저조라고 서술되어있고 부산시에서도 그렇게 주장했는데, 실제로는 운행당시에 대당 운송수입금 47만원이었고 그 정도면 보통은 한 것이었기 때문에 매우 잘못된 주장이다. 사실상 1010번(현.106번)의 운행차량들을 확보하기 위해 이 노선이 희생된거다.

5. 미디어에서

  • 2010년도 초반에 방영되었던 공부의 신에서도 이 노선이 등장한 적이 있었다. 길풀잎 나현정 불량배들한테서 도망치면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 부근의 버스 정류장에서 이 노선에 탑승하는 씬에서... 원래 공부의 신의 촬영 장소는 병문고였는데 폭설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부산으로 내려와 부산전자공고에서 해당 회차를 촬영하게 되었고 장산역 풀사인과 함께 이 노선이 부산 시내버스 도색을 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로 등장한다.[6]
  • 응답하라 1994에서 이 노선이 등장한 적이 있었다. 부산에서 정우( 김재준/쓰레기 역)와 정은지( 성시원 역)가 서로 버스 안에서 만나는 장면에서... 하지만 정작 차량은 부산과 관련없는 몬드리안 도색을 한 1996년식으로 추정되는 하이파워 BS106 차량이다. # 그리고 성시원이 승차했던 정류장이 실제로 5번이 경유한 적도 없는 광안고등학교였으며 무엇보다 부산에 광안고등학교라는 학교가 존재하지 않는다.

6. 연계 철도역

폐선일 기준.

7. 관련 문서



[1] 이 차량은 182번에서 운행하다가 뉴슈퍼에어로시티 개선형으로 대차되어 40번에서 운행 중이다. [2] 원래 188번에 투입되었지만 현재는 철수했다. [3] 다른 둘은 40번과 63번이다. 139번은 노선 변경 이전 양방향 자성로로 직통하였다. 63번의 경우 초읍으로 둘러가는 굴곡 구간이 존재하여 사실상 진시장으로 가려는 수요는 40번과 이 노선으로 몰렸다. [4] 38번은 급경삿길, 산복도로를 지나가기 때문에 좌범길 경유 조정 이후부터 여성승무원들은 38번에서 모두 철수했고 남성승무원들만 운행중이다. [5] 이 구간은 회동동행은 이 노선과 100%, 충무동행은 이 노선과 99% 같다. [6] 해당 방영분에 나온 차량은 2017년에 대차되어서 38번에서 운행중이다. 행선지도 해운대(좌동) → 진시장이 아닌 후암동 서울역으로 표기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