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19:18:06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오도마의 정규 1집에 대한 내용은 밭(앨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069541_STD.jpg
파일:강릉 중국 평지.png

田 / Field

농사( 농업)를 짓는 으로 된 땅으로, 물을 채운 은 제외된다. 신석기 시대부터 했던 가장 기본적인 농업이다.[1]

앞에 작물의 이름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 논과 함께 '논밭', '전답', '농지'라고도 하며 법적으로 논과 밭은 토지 등록상 별개로 되어 있다. 채소를 심는 때에는 고랑을 파서 튀어나온 곳 이랑에다가 심는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58조 제1호는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곡물·원예작물(과수류는 제외한다)·약초·뽕나무·닥나무·묘목·관상수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食用)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라고 하고 있다.

가끔 작물로서 재배하지 않더라도 어떤 식물종만 가득할 때 ' 쑥대밭'처럼 밭으로 일컫기도 한다. 굳이 식물이 아니고도 국어학적으로는 'XX투성이'라는 은유적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자가경작을 위한 조그만 밭은 ' 텃밭'이라 한다.

밭을 뜻하는 한자는 '田'이지만, 일본어로는 이라는 뜻으로 'た'(경우에 따라서는 'だ')로 읽고, 밭은 '畑·畠(はたけ)'이라는 일본제 한자를 쓴다[2]. '畓(논 답)'이라는 한국제 한자를 쓰는 우리나라와는 정반대인 셈. 이는 비가 자주, 그리고 많이 오고 따라서 논농사의 비중이 높아 채소밭[3]화전농법[4] 밖에는 밭농사가 드물던 탓으로 추정된다. 다만 한자음인 'でん'은 논과 밭 둘 다 가리킨다.

우리나라(남한)의 밭면적은 1970년에는 102만 5천 헥타르로 최대를 기록하였으나, 산업화에 따라 주택, 공장, 도로 등으로 전용되면서 22년이 지난 1992년에는 75만 5천 헥타르로 크게 감소했다. 하지만 2022년의 밭 면적은 75만 3천 헥타르로 30년 전과 거의 변화가 없다. #


[1] 물을 다스리는 치수가 필요한 논농사는 좀 더 늦은 청동기 시대에 시작했고, 본격적으로 발달하는 것은 수리시설 축조와 관리가 본격화되는 삼국시대 중후반부였다. [2] 원래 일본제 한자이므로 한국 한자음이 없어야 원칙이지만 형성자로 여겨 '화전 전(畑)'·'밭 전(畠)'이라는 훈음(訓音)을 붙였다. [3] 위의 '白'+'田'은 배추밭이 유래인 듯 하다. [4] 현대 일본어로는 '焼き畑'(야키바타)라 부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