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2-22 16:43:36

중개념

매개념에서 넘어옴

1. 개요

중개념(Middle Term,中槪念) 또는 매개념(媒槪念) 또는 중명사(中名辭)는 정언적 삼단 논법의 대전제와 소전제의 양자 모두에 포함되는 명사(개념)로 대명사(대개념)에 소명사(소개념)을 매개하여 결론을 성립시키는 개념을 가리킨다.
한편 대명사는 결론의 술어이며 소명사는 결론의 주어이다.

2.

전제 명제 명사
대전제 모든 동물은 움직인다. 대명사(움직인다), 중명사 (동물)
소전제 말은 동물이다. 중명사 (동물) , 소명사(말)
결 론 그러므로 말은 움직인다. 소명사(말) ,대명사(움직인다)

3. 명제의 양,질 과 주연,부주연

명제의 문장구조를 이루는 주어(양)와 술어(질)에 의해서 정언명제는 4가지 표준형식이 만들어진다.
정언명제는 포함과 배제의 방식에 따라 4가지 형식 (전칭긍정명제, 전칭부정명제, 특칭긍정명제, 특칭부정명제)으로 구분이 된다. 한편 주연이라함은 명사가 그 명사의 외연 전부에 대해 주장되는것이므로 부주연은 명사가 그 명사의 외연 전부에 대해 주장되지 못하고 일부에 그치는것을 말한다.
정언명제 명제의 양과질 주어 술어
모든 S는 P이다 전칭긍정 주연 부주연
어떤 S도 P가 아니다[1]| 전칭부정 주연 주연
어떤 S는 P이다 특칭긍정 부주연 부주연
어떤 S는 P가 아니다 특칭부정 부주연 주연

3.1.

격(figure)은 중개념 즉 중명사의 위치에 따른 분류 및 형식이다. 삼단논법에서 대명제(대전제)와 소명제(소전제)에 걸쳐 공통 구성요소이자 결론에서는 빠지게 되는 특징을 갖고있는 중명사의 성질로 부터 그 형식인 격(figure)을 조사할수있다.[2][3][4]
명제 대전제 소전제 결 론
제1격 중명사(M) + 대명사(P) 소명사(S) + 중명사(M) 소명사(S) + 대명사(P)
제2격 대명사(P) + 중명사(M) 소명사(S) + 중명사(M) 소명사(S) + 대명사(P)
제3격 중명사(M) + 대명사(P) 중명사(M) + 소명사(S) 소명사(S) + 대명사(P)
제4격 대명사(P) + 중명사(M) 중명사(M) + 소명사(S) 소명사(S) + 대명사(P)

3.2.

명제에서 식은 명제의 양과 질의 결합에 따른 4개의 폼(form) 즉 전칭긍정(A),전칭부정(E),특칭긍정(I),특칭부정(O)의 결합순서를 가리킨다. 따라서 삼단논법의 명제의 3개의 폼에 따라 AAA,AAI,EAE와 같은 폼-폼-폼을 식이라고 하고 폼(form)들의 배열순서에서 식의 종류는 256개이나 논리적으로 타당성이 보장되는것은 그중에서 10%로 안 되는 24개 이하이다. 이러한 결과는 똑같은 정보들이라고 하더라도 그 배열순서에서 다른 결과값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면 I-□-□ 처럼 I폼으로 정보가 처음 전개되는 순간 다음에 올수있는 정보는 I-A-□ 로 A밖에는 없을 뿐만아니라 제3격과 제4격만이 유효한 값이다. 즉 이 사실은 바꾸어 말하면 멩제의 양(Quantity)과 질(Quality) 배열 순서가 그리고 (중명사를 포함한) 명사들의 배열 순서가 논리적 오류의 틀을 보여줌으로써 그 배열순서 자체도 일종의 정보로 조사된다는 것이다. [5]

4. 관련항목


[1] '모든 S는 P가 아니다'는 전칭 부정 명제가 아니다. 이것은 중의적인 해석을 낳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모든 S는 P가 아니다'라는 것은, (1) '어떤 S도 P가 아니다'를 함축할 수 있지만, 반면 (2) 'S가운데 일부분만 P이고 다른 일부분은 P가 아니다'를 함축할 수도 있다. 영어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의성을 피하기 위해 "All S is not P"가 아닌 "No S is P"로 표현하라고 한다. [2] FIRST NOTIONS OF LOGIC) 1839 AUGUSTUS DE MORGAN https://www.gutenberg.org/files/67017/67017-h/67017-h.htm [3] The Mathematical Analysis of Logic by George Boole 1847 CAMBRIDGE https://www.gutenberg.org/ebooks/36884 [4] LOGIC ,INDUCTIVE AND DEDUCTIVE BY WILLIAM MINTO 1915 https://www.gutenberg.org/files/31796/31796-h/31796-h.htm Chapter II.FIGURES AND MOODS OF THE SYLLOGISM. [5] LOGIC ,INDUCTIVE AND DEDUCTIVE BY WILLIAM MINTO 1915 https://www.gutenberg.org/files/31796/31796-h/31796-h.htm Chapter II.FIGURES AND MOODS OF THE SYLLOGISM.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