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9:15:28

레바논 경제 위기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국내외 주요 경제 · 금융 위기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공황|1929 ~ 1940년대
대공황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침체|2008 ~ 2010년대
대침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대봉쇄|2020 ~ 2023
대봉쇄
{{{#!wiki style="margin: 0 -10px; font-size: .9em"
]]
<colcolor=#000,#ddd> 금융 | 경제 | 제2차 세계 대전
대침체가 정확히 언제 끝났는지는 경제학자나 역사학자들마다 의견이 다르다.
}}}[ 시대별 금융 위기 ]
||<tablewidth=100%><width=13%><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404040><colcolor=#ffffff> 20세기 이전
( 연준 이전) ||<tablecolor=#000000,#dddddd> 네덜란드 튤립 투기 파동(1636) · 미시시피회사 거품 사태(1718) · 남해회사 거품 사태(1720) · 1792년 공황(1792)· 1819년 공황(1819) · 1837년 공황(1837) · 1857년 공황(1857) · 검은 금요일(1869) · 당백전(1866) · 장기불황(1873-1896) · 1907년 은행 패닉(1907) ||
20세기
( 연준 이후)
바이마르 공화국 초인플레이션(1919) · 쇼와 금융 공황(1927) · 1929년 월가 대폭락(1929) · 대공황(1929-1939) · 금 해금·쇼와 대공황(1930) · 닉슨 쇼크(금본위제 폐지)(1971) · 석유 파동(1973-1979) · 검은 월요일(1987) · 일본 거품경제 붕괴(1991) · 닷컴 버블(1995-2000) ·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1997-2001) · 1997년 외환 위기(1997-2001) · 1998년 러시아 금융위기(1998)
2000년대 2002년 가계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2002)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2008) · 대침체(2008) ·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2008) · 그리스 경제위기(2008)
2010년대 베네수엘라 초인플레이션과 경제위기(2014) · 2014 브라질 경제위기(2014-2017) · 2015-2016년 중국 증시 폭락(2015-) · 브렉시트 증시 폭락(2016) · 튀르키예 리라화 폭락(2018-) · 아르헨티나 통화 위기(2018-) · 레바논 경제 위기(2019-)
2020년대 대봉쇄(2020) · 2020년 주가 대폭락(2020)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2021) · 2022년 러시아 경제위기(2022) · 2022년 스리랑카 경제위기(2022) · 코로나 버블(2022) ·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2022-2023) · 레고랜드 사태(2022) · 흥국생명 채권사태(2022) ·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2023) · 2023년 은행 위기(2023) · 2023년 태영건설 부도 위기(2023) · 홍콩 ELS 사태(2024)
}}}}}} ||
1. 개요2. 전개

[clearfix]

1. 개요

1990년대 말 이후 레바논의 경제적인 문제가 쌓이다가 2020년 베이루트 항구 폭발 사고 코로나 19 이후 경제가 심각하게 악화되어 문제가 부각되면서 사회적, 정치적으로 영향을 끼친 사건.

2. 전개

레바논은 2000년대 중반부터 이스라엘과의 전쟁 등으로 자충수를 뒀으며 2010년대 중반에는 정치권의 부정부패와 정치권 지각변동의 심화로 대통령이 현재까지 공석이었다. 그렇게 2010년대가 끝날때까지 정치인들의 부정부패는 심화되었지만 베이루트 항구에서 벌어들이는 외화수입으로 어느정도 버틸뿐이었다. 이는 2019년 10월 17일 혁명으로 이어졌고 혁명으로 사드 하리리 총리가 사퇴하면서 혼란이 가중되었다. 뒤이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기업들과 개인사업장들이 강제적으로 문을 닫으면서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혔다.

문제는 2020년에 터진 베이루트 항구 폭발사고로 GDP 10% 이상이 날아가버렸고 가뜩이나 부정부패로 외환고도 부족한 상황서 베이루트 항구를 복구작업을 추진하는 중이지만 3년째 아직도 재건도 못 한 상황이다. 2021년에는 석유에 대한 보조금을 중단하기로 했고 결국 석유값이 폭등하게 되었다. 더군다나 보조금 중단 발표를 한 지 나흘만에 아카르에서 연로탱크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결국 발전소를 운영할 석유마저 동이 나자 10월 9일에는 24시간동안 전국적으로 정전사태가 발생했다. 설상가상으로 식량에 필요한 밀을 전부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해왔는데 항구 꼴이 저모양이라 선박 입항률도 줄었고 우크라이나도 2022년에 러시아의 대대적인 침공으로 해상이 막히는 바람에 수입량도 급감해 나라의 경제난은 더더욱 가속화되었다. 결과적으로 2022년에 GDP 대비 부채가 151%를 기록했다.

결국 2023년 레바논 중앙은행은 부족한 외화 유출을 막고 인플레이션을 막기위해 행하는 수단이자 최후의 수단인 예금은 가능하지만 출금은 안되는 조치를 함으로써 절정에 이른다. 이는 은행에 돈은 맡길수는 있지만 예금자가 사용하기 위해 출금하려고 하면 거부하는 것으로 사실상 중앙은행이 예금자들의 돈을 먹튀하는 행동으로 밖에 안보이니 레바논 국민들은 제대로 화가나서 은행에 시위를 벌이거나 돌을 던지며 자기들 돈을 내놓으라고 하소연 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