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22:04:37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자 U-17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세대별 국가대표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남자 여자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남자 U-23 대표팀
남자 U-20 대표팀 여자 U-20 대표팀
남자 U-17 대표팀 여자 U-17 대표팀
남자 U-14 대표팀 여자 U-14 대표팀
남자 풋살 대표팀 여자 풋살 대표팀
남자 비치사커 대표팀
남자 유니버시아드 대표팀 여자 유니버시아드 대표팀
남자 밀리터리 대표팀 여자 밀리터리 대표팀
남자 시각 장애인 B1 대표팀
남자 시각 장애인 B2/B3 대표팀
남자 뇌성마비 장애인 대표팀
남자 지적 장애인 대표팀 여자 지적 장애인 대표팀
남자 청각 장애인 대표팀 여자 청각 장애인 대표팀
대한축구협회 | 대한장애인축구협회 | 역대 스쿼드 | 역대 유니폼 | 역대 응원가 | 역대 엠블럼 | 파주 NFC
}}}}}}}}}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Women's U-17 National Football Team
<colbgcolor=#E6002D> 코드 KOR
협회 대한축구협회 (KFA)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홈구장 용인미르스타디움 (37,155석, 비공식)
감독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김은정 (KIM Eun-Jung)
주장단
C
노시은 (No Si-Eun)
VC
범예주 (Beum Ye-Joo)
최다 출전 이현영, 지소연 (15경기)
최다 득점 여민지 (22골)
첫 국제경기 출전 vs 인도네시아 (15:0 승)
대한민국 남해 (2005년 4월 16일)
월드컵 출전 4회, 우승 1회 ( 2010)
U-17 아시안컵 출전 9회, 우승 1회 (2009)
유니폼 원정
상의
하의
양말
유니폼 골키퍼 1 골키퍼 2 골키퍼 3
상의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하의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파일:나이키 로고.svg
양말
1. 개요2. 역사3. 역대 감독4. 현 대표팀 및 사령탑5. 선수 명단6.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7. 국가별 전적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17세 이하 대표팀.

2. 역사

여자 축구 국가 대항전이 출범한 것이 2000년대, 대한민국의 여자 축구가 발전한 것은 2010년대이므로 U-17 대표팀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이러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축구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남긴 대표팀이다.

첫 번째 U-17 월드컵 출전은 2008 FIFA U-17 여자 월드컵이었다. 김용호 감독이 이끈 이 팀의 주축 멤버는 지소연, 이영주, 이민아, 서현숙 등이었고 무려 브라질과 잉글랜드를 잡고 8강에 진출했다. 한국 여자 축구가 FIFA 주관 대회에서 처음으로 토너먼트 진출에 성공한 대회였다.

이어서 최덕주 전 감독이 이끈 대표팀은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여민지, 장슬기, 신담영, 이소담 등의 활약으로 결승에서 일본을 꺾고 우승을 차지해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FIFA 주관대회 우승이라는 업적을 일궜다. 또한 여민지는 골든부트(득점왕)와 골든슈를 차지했다.

2010년 이후 줄곧 예선 격인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떨어지며 3회 연속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다. 그러나 허정재 전 감독이 이끄는 U-17 대표팀이 2017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2위에 오르며 2018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루과이 본선 티켓을 획득, 8년 만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강지연, 곽로영, 황아현, 조미진 여민지 세대와 비견될 만큼 좋은 선수들로 구성되어 8년 만의 본선 진출과 동시에 두 번째 우승까지 바라볼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왔으나, 막상 뚜껑을 열자 1무 2패(vs 스페인 0-4 패, vs 캐나다 0-2 패, vs 콜롬비아 1-1 무)로 조별리그에서 허무하게 탈락했다.[1]

2019 U-16 챔피언십에서는 인창수 전 감독이 이끈 팀이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하며 다시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코로나19로 모든 국제대회가 취소되어 사실상 운영되지 않는 상태로 있다가 2022년 11월 김은정 감독이 부임하면서 다시 2024 FIFA U-17 여자 월드컵을 목표로 팀이 꾸려졌다.

3.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05년 이후
초대
김종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대
김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대
최덕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대
정연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대
이문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대
하금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대
허정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대
인창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대
김태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대
김은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4. 현 대표팀 및 사령탑

<colbgcolor=#E6002D> 현 대표팀 김은정호
현 사령탑 김은정
계약 기간 2024 FIFA U-17 여자 월드컵
참가 대회 및 성적 2024 AFC U-17 여자 아시안컵 (3위)
2024 FIFA U-17 여자 월드컵 (조별리그)

5. 선수 명단

포지션 등번호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소속팀
GK 1 우수민 Woo Su-Min 2007년 5월 18일 ([age(2007-05-18)]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18 정혜림 Jeong Hye-Rim 2008년 10월 12일 ([age(2008-10-12)]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
21 정유정 Jeong Yu-Jeong 2008년 7월 12일 ([age(2008-07-12)]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DF 2 신다인 Shin Da-In 2007년 5월 1일 ([age(2007-05-01)]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3 김한아 Kim Ha-Na 2008년 9월 8일 ([age(2008-09-08)]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양여자고등학교
4 신성희 Sin Seong-Hui 2007년 6월 27일 ([age(2007-06-27)]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5 신윤아 Shin Yu-Na 2007년 7월 23일 ([age(2007-07-23)]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양여자고등학교
16 박지유 Park Ji-Yu 2007년 9월 6일 ([age(2007-09-06)]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
19 정하윤 Jung Ha-Yun 2008년 6월 19일 ([age(2008-06-19)]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남로봇고등학교
20 노시은 No Si-Eun 2007년 3월 24일 ([age(2007-03-24)]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MF 6 임예지 Lim Ye-Ji 2008년 3월 29일 ([age(2008-03-29)]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7 김예은 Kim Ye-Eun 2007년 4월 25일 ([age(2007-04-25)]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8 범예주 Beum Ye-Joo 2007년 8월 12일 ([age(2007-08-12)]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
10 양지민 Yang Ji-Min 2008년 8월 17일 ([age(2008-08-17)]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11 서민정 Seo Min-Jeong 2007년 1월 31일 ([age(2007-01-31)]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남로봇고등학교
12 백지은 Back Ji-Eun 2008년 2월 16일 ([age(2008-02-16)]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13 류지해 Ryoo Ji-Hae 2008년 2월 22일 ([age(2008-02-22)]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15 김민서 Kim Min-Seo 2009년 8월 24일 ([age(2009-08-24)]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가정여자중학교
17 남사랑 Nam Sa-Rang 2007년 10월 30일 ([age(2007-10-30)]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고등학교
FW 9 케이시 유진 페어 Casey Yujin Phair 2007년 6월 29일 ([age(2007-06-29)]세)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 시티 FC
14 한국희 Han Guk-Hui 2009년 8월 21일 ([age(2009-08-21)]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청운중학교
감독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은정 (KIM Eun-Jung)
출처: 대한축구협회
2024년 10월 3일 기준

6.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

6.1. FIFA U-17 여자 월드컵

연도 라운드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뉴질랜드 2008 8강 6 4 2 0 2 8 7
트리니다드 토바고 2010[2] 우승 1 6 4 1 1 18 14
아제르바이잔 2012 진출 실패
코스타리카 2014
요르단 2016
우루과이 2018 조별리그 15 3 0 1 2 1 7
인도 2022 진출 실패
도미니카 공화국 2024 조별리그 14 3 0 1 2 1 11
모로코 2025
합계 우승 1회 4/8[3] 13 6 3 7 28 39
2008년에 시작되어 2022년 대회까지 7회 개최된 FIFA U-17 여자 월드컵에서 우리나라 청소년 대표팀은 본선 무대에 총 3번 진출하였으며 이 대회에서 FIFA 주관의 메이저 대회에서 첫 우승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러나 2010년 대회에서 우승의 기쁨을 이룬 후에는 3회 연속으로 본선 진출조차 하지 못하는 암흑기를 겪었고, 8년 만에 본선행에 성공한 2018년 우루과이 대회에서 1무 2패로 광탈했으며, 6년 만에 진출한 2024년 도미니카 공화국 대회에서는 두 경기를 연속으로 5-0으로 참패하며 또다시 1무 2패로 광탈하는 등, 성인 대회도 아닌 유소년 대회에서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는 부진만 반복하고 있다.

B조, D조에 속한 적 있다.

6.2. AFC U-17 여자 아시안컵

연도 라운드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대한민국 2005 4강 4위 5 3 0 2 26 8
말레이시아 2007 4강 3위 4 1 1 2 6 9
태국 2009 우승 1위 5 4 1 0 23 2
중국 2011 4강 4위 5 2 1 2 7 7
중국 2013 조별리그 12위 2 0 2 0 2 2
중국 2015 조별리그 5위 3 1 1 1 8 4
태국 2017 준우승 2위 5 2 2 1 13 5
태국 2019 조별리그 5위 3 1 0 2 3 5
인도네시아 2024 4강 3위 5 2 1 2 15 12
합계 우승 1회 9/9 37 16 9 12 103 54

7. 국가별 전적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중국 10 3 4 3 11 14 -3
일본 9 3 3 3 15 20 -5
태국 8 5 1 2 27 9 +18
호주 8 5 2 1 15 7 +8
북한 8 1 1 6 7 26 -19
홍콩 3 3 0 0 33 0 +33
인도 3 3 0 0 22 0 +22
이란 2 2 0 0 13 0 +13
베트남 2 2 0 0 6 0 +6
인도네시아 2 2 0 0 27 0 +27
필리핀 2 1 1 0 8 1 +7
타지키스탄 1 1 0 0 16 0 +16
말레이시아 1 1 0 0 13 0 +13
미얀마 1 1 0 0 8 0 +8
라오스 1 1 0 0 7 0 +7
대만 1 1 0 0 3 2 +1
우즈베키스탄 1 0 1 0 0 0 0
덴마크 2 2 0 0 7 4 +3
스페인 3 1 0 2 2 10 -8
포르투갈 2 0 1 1 3 4 -1
잉글랜드 1 1 0 0 3 0 +3
아일랜드 1 0 0 1 1 2 -1
독일 1 0 0 1 0 3 -3
미국 3 0 0 3 3 15 -12
멕시코 1 1 0 0 4 1 +3
트리니다드토바고 1 1 0 0 4 1 +3
브라질 1 1 0 0 2 1 +1
콜롬비아 2 0 2 0 2 2 0
캐나다 1 0 0 1 0 2 -2
남아공 1 1 0 0 3 1 +2
나이지리아 2 1 0 1 7 7 0
뉴질랜드 3 2 1 0 9 2 +7
1 1 0 0 17 0 +17
북마리아나 1 1 0 0 11 0 +11
'''합계''' 87

[1] 다만 이때는 축협의 문제가 컸다. 대회 직전 허정재 감독을 U-18 감독으로 빼가는 바람에 코치들이 선수들을 지도한데다 대회를 앞두고는 평가전조차 치르지 못했다. 또한 단장이나 대표팀 선수들을 케어할 인원이 없던 탓에 선수들이 우루과이 현지 음식을 먹어 단체로 컨디션의 문제를 겪어야 했다. [2] 대한민국의 FIFA 주관 첫 메이저 타이틀 획득. [3] 본선 진출 비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