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18:28:26

던데블몬

단데비몬에서 넘어옴
1. 개요2. 종족 특성3. 작중 묘사4. 기타

1. 개요

ダンデビモン DONEDEVIMON / DONEDEVILMON

파일:던데블몬 고화질.png

디지몬 시리즈의 등장 디지몬.

TCG에선 '단데블몬'이라고 나왔으며 디지몬 어드벤처: 더빙판에서는 '던데블몬'으로 나왔다

2. 종족 특성

  • 세대: 궁극체
  • 타입: 타천사형
  • 속성: 바이러스
  • 이름의 유래: 던(Done: 완료)[1]+데블몬
  • 필살기: 디스트로이 클로, 얼티밋 플레어, 마이아스피우

마이너스 데이터를 한계까지 받아들여 궁극체가 된 데블몬의 모습. 정신상태가 정상과 이상 사이에 있으며, 한번 격노하면 지성은 사라지고 사납기 그지없는 모습으로 변모하여 덤벼든다. 폭주한 던데블몬의 습격을 받은 디지몬은 흔적도 없이 소멸하게 된다.

필살기는 상대의 몸을 통째로 꿰뚫는 디스트로이 클로와, 입에서 발사되는 파괴의 에너지파 얼티밋 플레어.[2] 그리고 쏟아져 나오는 마이너스 데이터로 인해 생겨난 두 개의 팔로 적을 무찌르는 마이아스피우.

3. 작중 묘사

3.1. 디지몬 어드벤처:

디지몬 어드벤처: 분기별 보스(누설 주의)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프롤로그
아르고몬
클라우드 대륙 편
전반
( 아이즈몬 스캐터 모드 →) 아이즈몬 오로치몬 니즈헤그몬
후반
데블몬 네오데블몬 던데블몬
무겐 대륙 편
다크나이트몬
밀레니엄몬 편
문밀레니엄몬 밀레니엄몬 지드밀레니엄몬
최종 결전
[스포일러]
네거몬 아바도몬 ( 아바도몬 코어)
}}} ||

파일:던데블몬.jpg

디지몬 어드벤처: 클라우드 대륙편의 최종보스

성우는 데블몬과 같은 오키아유 료타로[3] / 김종엽. 더빙판 이름은 데블몬으로 나왔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진화한 이후의 행적에 대한 내용은 던데블몬 vs 파워드라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담으로 24화가 상당히 호평을 많이 받았는데, 제작진에 따르면 예산을 꽤 초과해서, 마지막화라고 생각될 정도의 열량을 쏟아부은 화라고 한다.

파일:던데블몬 64화.jpg
64화에서 파닥몬, 타케루와 마주보면서 잠시 등장한다.

66화에서 아바도몬에게 집어삼켜진 줄 알았던 리키와 세라피몬을 던데블몬의 형태로 세라피몬의 왼팔에서 나와 구해준 것으로 한번 더 등장한다.[4] "들린다... 들린다... 세계를 넘어 울리는 목소리, 하나되는 의지, 파멸을 앞에 두고서 더욱 눈부시게 빛나는 희망의 빛, 그게 지금 만들어낸 기적, 그렇다면 우리 그림자 되는 자들의 변덕 또한... 이게 너의 도달한 답이로군, 오랜 벗이여."라고 말하며 선택받은 아이들을 인정하고 진화전인 데블몬의 모습으로 변한 뒤에 검은 깃털이 되어 세라피몬의 왼팔에 떨어지더니 이내 사라진다.

4. 기타

  • 디지몬 어드벤처 리부트의 새로운 디지몬이자 최초로 나온 데블몬 계열의 궁극체 디지몬이다. 데블몬 계열은 성숙기와 완전체는 많았지만, 데블몬 자체가 타락천사/마왕형 디지몬들의 가장 기본적인 베이스 취급이라 그런지 직접적인 궁극체는 나오지 않았는데 드디어 공개되었다.
  • 전체적인 디자인 모티브는 스폰 베놈이라고 한다. 확실히 동공없이 흰자만 길게 찢어진 눈과 길다란 혀 등 외모가 베놈을 닮았고 망토는 스폰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성향이나 행적을 보면 베놈보다는 카니지에 가까운 편.
  • 최근 신규 디지몬(특히 x항체 종류)들이 과도하게 화려한 이미지로 호불호가 갈린 반면, 던데블몬 자체는 상당히 심플한 디자인인 편이다. 와타나베 켄지가 트위터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의도된 것이라고 한다.
  • 던데블몬으로 진화하면서 이성을 상실한 탓에 대부분 대사가 괴성뿐이지만, 성우는 데블몬 시절 그대로 오키아유 료타로다. 해당 화의 엔딩 크레딧에서는 데블몬 역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네오데블몬을 담당했을 때도 표기는 데블몬이었다. 반대로 한국어판 목소리 출연 스탭롤에서는 각 디지몬 이름으로 나온다.
  • 워가루몬과 비슷하게 이족 보행과 사족 보행 모두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족 보행으로만 공격할 수밖에 없는 워가루몬과 달리 이쪽은 등 부분에 설정상 마이너스 데이터로 생겨난 커다란 두 손도 있어 어느 쪽이든 자유롭게 공격할 수 있다.
  • 한국어 더빙판 24화에서 던데블몬 이름을 띄워야 할 장면에서 엘도라디몬으로 잘못 표기해서 나오는 오류가 있다.


[1] 초기에 영칭이 공개되지 않았을 때 직역한 것과 누군가 단테+데블몬이라고 추측한 것이 퍼진 영향으로 단데블몬이란 명칭이 퍼져있었지만 정식수입된 애니메이션에선 제대로 던데블몬으로 번역되었다. [2] 아마게몬의 필살기와 이름이 같다. [3] 엔딩 크레딧에서는 데블몬만 표기되었지만 동일 디지몬이니 상관 없는 듯 하다. [4] 오파니몬과 신나리도 스컬나이트몬이 구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