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3 09:46:57

노르웨이/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노르웨이
북유럽 경제
북대서양 발트 3국
[[아이슬란드/경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경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라트비아/경제|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리투아니아/경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스칸디나비아 반도
[[스웨덴/경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핀란드/경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덴마크/경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노르웨이/경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ba0c2f> 상징 <colcolor=#000,#fff> 왕의 노래 · 노르웨이 국가
정치 정치 전반 · 노르웨이 왕실 · 노르웨이 국왕 · 노르웨이 총리 · 노르웨이 의회
역사 역사 전반 · 바이킹 · 빈란드 · 레이프 에이릭손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외교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노르웨이-핀란드 관계 · 범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노르웨이 여권
지리 지역구분 · 북유럽 · 스칸디나비아 반도 · 피요르드 · 베어 섬 · 부베 섬 · 스발바르 제도 · 얀마옌 섬 · 노르웨이 해 · 북극 · 백야 · 극야 · 오로라 · 순록
경제 경제 전반 · 노르웨이 크로네 · 오페라
문화 북유럽 신화 · 루터교회( 노르웨이 교회) · 노르웨이 요리 · 노르웨이 영화 · 에드바르 그리그
스포츠 축구 선수/노르웨이 ·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
교통 철도 환경 · 베르겐선 · 오포트바넨 · TUI fly 노르딕 · 노르위전 에어 셔틀 ·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국제공항 · 베르겐 공항
언어 고대 노르드어 · 노르웨이어 · 사미어
인물 로알 아문센( 아문센 vs 스콧) · 게르하르 아르메우에르 한센 · 프리드쇼프 난센 · 헨리크 입센
민족 노르드인 · 노르웨이인( 러시아계) · 노르웨이계 미국인 · 노르웨이계 러시아인 · 노르웨이계 캐나다인 · 노르웨이계 뉴질랜드인 · 사미족
국방 노르웨이군 · 노르웨이 해군 · 노르웨이 해안경비대 · 닐스 올라브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치안·사법 노르웨이 국가경찰
}}}}}}}}} ||
노르웨이의 경제 정보
파일:Norsk_Oljemuseum.jpg
파일:skyline-midnight-sun-bodo-norway-2-1_99eca994-01e7-47b1-a370-b551d6f53552.jpg
인구 526만 3,000명 # 2016년, 세계 114위
경제 규모(명목 GDP) 3,762억 6,800만 달러 2016년, 세계 30위
경제 규모( PPP) 3,646억 8,500만 달러 2016년, 세계 48위
GDP 성장률 0.81% 2016년, 세계 157위
1인당 명목 GDP 71,497 달러 2016년, 세계 3위
1인당 PPP 69,296 달러 2016년, 세계 8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27.94% 2016년, 세계 153위
고용률 74.2% 2016년, OECD 8위 #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aa 2003년, 1등급 #
피치 국가 신용등급 AAA 2007년, 1등급
S&P 국가 신용등급 AAA 1992년, 1등급

1. 개요2. 역사3. 주요 업종
3.1. 석유 및 천연가스3.2. 수산업
4. 미래 전망5. 기업
5.1. 파이낸셜 타임즈 500: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에 들어간 노르웨이 기업
6. 산업 구조
6.1. 수출 구조
7. 관련 문서

1. 개요

노르웨이는 기본적으로 석유 천연가스, 덧붙이자면 수산업과 임업에 의존하는 천연자원 의존형 경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건 너무 단순한 설명이고, 보다 정확히 이해하려면 다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2. 역사

유전이 터지기 이전에는 지금의 아이슬란드와 비슷한 경제 구조를 가졌었다. 수산가공업과 원목 수출, 제지업, 가구 제조[1] 정도가 전부라 가난해서 스웨덴에 일자리 찾아 넘어가는 가난한 국가였는데 석유로 선진국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흔히 돌아다니지만 이는 동시대 아이슬란드처럼 스웨덴의 입장에서 좀 살기 힘든 나라로 비춰졌다는 것이지 절대적으로 못 사는 나라였다는 소리는 절대 아니다.

사실 스웨덴이 지배하였던 18세기부터 노르웨이는 금속 제련업 등으로 상당히 유명한 나라였고, 이후 조선업이나 제지업 등 산업도 발달하면서 노르웨이는 이미 1960년도 1인당 국민소득은 1,440달러 수준이었다. 이는 아이슬란드(1,420달러), 영국(1,400달러), 덴마크(1,360달러), 프랑스(1,320달러), 핀란드(1,180달러), 네덜란드(1,070달러) 같은 유럽의 선진국보다도 높았고, 세계 평균(460달러)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던 일본(480달러)하고는 비교도 할 수 없었다. 스웨덴에 일자리 찾아 넘어갔다는 이야기도 단지 미국(3,010달러), 스웨덴(1,980달러)보다 소득이 적었기 때문에 생겨난 일화일 뿐 당시의 노르웨이가 객관적 수준으로 살기 힘든 나라라서 그랬다고 보기는 불가능하다.[2] 노르웨이는 1977년 이미 웬만한 서유럽 국가들보다도 먼저 1인당 GDP가 1만 달러를 넘긴 나라였고, 1992년에는 버블경제의 여파가 남은 일본과 비슷한 3만 달러를 넘길 정도로 잘 살았다.

상술했듯 이전부터 탄탄한 제조업 기반을 자랑하던 국가로, 노르스크 하이드로, 목시 엔지니어링, 엘켐 등의 쟁쟁한 중공업 기업들이 많이 소재한 국가이다.

3. 주요 업종

3.1. 석유 및 천연가스

1969년 북해에서 유전이 터진 이후로는 이론의 여지가 없이 천연자원 의존형 경제로 탈바꿈했다. 석유 수출 세계 9위, 천연가스 수출은 세계 3위다. 노르웨이의 인구가 500만밖에 안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규모. 덕분에 명목 1인당 GDP는 7만 불을 뛰어넘는 무시무시한 부국이 되었다.

2017년 기준으로 노르웨이 GDP에서 광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이르며 이는 중동의 산유국들을 제외하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천연가스 의존 국가인 러시아도 20%가 안 된다.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뿐만 아니라 세입(稅入)에서 석유 수입의 비중도 매우 커서 3~40%에 이른다. 주지하다시피 노르웨이는 국민부담률이 매우 높은 복지국가로 전체 근로자 중 국가에서 고용한 비중 또한 OECD는 물론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제조업이 발달하지 못한[3] 노르웨이의 고소득은 거의 전적으로 천연자원에 힘입은 것이다.[4]

3.2. 수산업


▲ 노르웨이 고등어 어업에 대한 입질의 추억 영상. 노르웨이 수산물위원회의 공식적인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다.

수산업의 경우, 역사적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과 규모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2위의 수산물 수출국[5]이다. 단순히 자동화와 같은 고급 양식기술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한 기술과 동물권 보호에서도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연어로 유명하며, 그 외에도 피오르드에서 자란 송어, 북동 대서양의 대구, 해덕대구, 청어, 홍합 고등어도 유명한 노르웨이산 수산물이다. 특히 송어는 노르웨이에서 양식한 최초의 어종이며, 노르웨이산 고등어와 연어는 한국에서도 절찬리에 팔린다.

그 외 냉전 시절 소련이 바렌츠 해에 방생한 킹크랩들이 번식하여 대서양 해안으로 남하한 이래로 노르웨이에서도 킹크랩 어업이 성행한다. 노르웨이의 수산업

4. 미래 전망

일종의 '사고 실험'으로서 만약 노르웨이의 천연자원이 단숨에 고갈된다면 나우루 베네수엘라처럼 알거지로 전락할까? 하고 물어본다면 꼭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노르웨이의 수출에서 전체 천연자원의 비율은 74%이고 석유-천연가스 비율은 50% 수준인데 이는 분명 매우 높은 수치이지만 동시에 답이 없을 정도로 높은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이는 노르웨이 당국에서 조성한 국부펀드의 액수가 거대한것도 한 몫한다. 나우루의 경우에는 국부펀드를 조성했지만, 9.11테러로 베네수엘라의 경우에는 호황기때에도 외환보유고와 국부펀드의 액수가 미화 수백억 달러로 인구규모에 비해 적었기 때문에,[6] 경제위기에 쉽게 휘둘릴수있는 환경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었고, 이것이 경제재제와 겹쳐 베네수엘라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물가폭등에 시달리게 되는 원흉이 된데 반해 노르웨이는 국부펀드의 액수는 1조 달러를 넘기때문에 석유가 고갈되도 일단 몇 년 정도는 버틸수있는 재력은 된다.

노르웨이에서 석유가 고갈될 경우 다시 수산업, 임업, 알루미늄 제련 등에 의지하는 경제 구조가 되어버리고 크로네화 가치가 폭락하므로 국민들이 누리는 삶의 질도 지금보다는 다소 나빠지게 되지만 앞에서 언급된 축적된 자본, 적은 인구, 선진적인 정치 시스템과 교육 시스템, 화석 연료 의존율이 적다는 점[7] 등을 고려한다면 만약 석유가 전부 고갈되더라도 (물론 지금처럼 국민소득 10만불에 달하는 풍요를 더 이상 계속 누리지는 못하겠지만) 최소한 국민 경제가 붕괴되지는 않고 장기적으로 봤을 때 안정적으로 회복할 잠재력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노르웨이의 산업 기술 수준이 중동 혹은 베네수엘라 등지의 자원 부국처럼 미약한 수준이냐면 그건 절대 아니다. 가령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인수한 노르웨이 기업 목시(Moxy)의 ADT(굴절식 덤프트럭) 기술은 각종 광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해양 플랜트 크루즈선을 중심으로 한 조선업과 해양 산업도 발전했다.[8] 시총 1위의 석유 천연가스 기업 에퀴노르 부터 해상 풍력발전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중이라 한국등 해외 진출에도 적극적이며 # 인공지능 #, 로봇 #1 #2 #3 #4 등 첨단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즉 단순히 자원 부국이 아니라 기술도 발전한 선진국이기 때문에 자원 고갈된다고 몰락할 나라가 아니다.

석유 가격이 폭락한 2015년 이후에는 실업률이 조금씩 상승하는 등 경제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다른 산업도 있고 기존에 쌓아놓은 부가 엄청난 만큼, 휘청거리는 정도는 아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석유사업에 대한 투자를 중단할 방침이다. #

코로나19와 원유 공급 과잉으로 인해 노르웨이는 6월부터 원유 생산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

5. 기업

5.1. 파이낸셜 타임즈 500: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에 들어간 노르웨이 기업

(2014/9/30)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파이낸셜 타임즈 500)에 들어가는 노르웨이의 3개 기업[9]
노르웨이 국내 순위 기업 업종 2014년 9월 시가총액(단위: 100만달러)
1위 Statoil Oil & gas producers 86,980.3
2위 Telenor Mobile telecommunications 32,962.0
3위 DNB Banks 30,508.0

6. 산업 구조

6.1. 수출 구조

파일:캡처_2018_06_03_14_48_33_463.jpg
2016년 노르웨이의 수출구조, 연한 갈색은 석유-천연 가스 관련, 노란색은 어업, 분홍색은 광공업이다. [10]

7. 관련 문서



[1] 비틀즈 Norwegian Wood가 바로 이 노르웨이산 가구를 말한다는 설이 있다. [2] 물론 1인당 GDP 비율 차이로 놓고 보면 오늘날의 한국 : 프랑스, 뉴질랜드, 영국 수준이기에 노르웨이 사람들이 고국에서보다 더 잘 살기 위해 스웨덴으로 이민을 떠났다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물론 당시 노르웨이가 가난한 나라였다는 주장도 오늘날로 치면 네덜란드가 싱가포르와 노르웨이보다 1인당 GDP가 낮다고 못 사는 나라라고 주장하는 꼴이다.(...) [3] 인접한 스웨덴과 핀란드가 나름대로 제조업을 발전시킨 것과 비교하면 꽤 빈약한 수준이다. [4] 서방권 국가로서 제조업은 빈약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에 경제력을 의지하는 것은 호주(우라늄, 철광석, 석탄 등)와 비슷하다. [5] 1위는 중국. 유럽연합을 포함할 경우 유럽연합, 중국에 이어 3위이다. [6] 베네수엘라와 비슷하게 자원의존도가 높은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에는 국부펀드와 외환보유고 액수가 위낙에 많았기 때문에 저유가를 넘어갈수있었다. [7] 유럽경제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중 40% 이상을 수력발전으로 충당한다. [8] 해당 분야 기업중 한곳인 Aker는 전세계에서 일하기 좋은 기업 1위로 꼽히기도 했다. # [9] http://im.ft-static.com/content/images/e563a0fa-4e14-11e4-adfe-00144feab7de.xls [10] http://atlas.cid.harvard.edu/explore/?country=163&partner=undefined&product=undefined&productClass=HS&startYear=undefined&target=Product&year=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