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21:15:08

남부역

남인천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 수인선에 대한 내용은 숭의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석탄부두선 [ruby(인천항, ruby=1911~불명)] - 남부
남부역
(폐역)
역명 표기
축항선 남부
Nambu
南部 / [ruby(南部, ruby=ナンブ)]
석탄부두선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441-13
관리역 등급
폐역
(인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열차거리표
인천 방면
축항조차장
← 1.6 ㎞
축항선
남 부
종점
기점 석탄부두선
남 부
인천항 방면
인천항
5.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폐선 철도거리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주안 방면
주 안
← 1.0 ㎞
주인선
남 부
종점 }}}}}}}}}

南部 / Nambu station
1. 개요2. 역사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남부역.jpg
축항선 석탄부두선의 신호장 역할을 했던 인천역의 남부역사이다. 남부역은 인천역 본역사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편의상 별도의 문서에서 서술하지만 사실 남부역은 실제로는 드넓은 인천역의 구내에 해당된다.[1][2]

2012년 12월 13일에 석탄부두선과 제3부두선을 연결하는 직결삼각선이 개통[3]되면서 사용이 중지되었다. 컨테이너와 다양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야적 공간이 있지만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폐선 이후 줄곧 화물차 주차장으로만 쓰이다가 2016년 초부터 남부역 일대가 임대주택,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전부 헐렸고, 2019년 들어서는 완공이 되어 입주가 완료되었다.

이 역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은 아니지만, 해당 역 인근에 수인분당선 숭의역이 들어서 있다.

이 역 앞에 있던 삼거리는 아직도 '남부역 삼거리'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또한 이 삼거리 앞에 조성된 공원에는 작은 증기기관차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2. 역사

  • 인천역 본역사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편의상 별도의 문서에서 서술하지만, 사실 남부역은 실제로는 드넓은 인천역의 구내에 해당한다. 즉 공식적으로는 인천역에 소속된 여러 인입선의 하나이다.
  • 1973년 7월 수인선 남인천역~용현역 구간이 폐선되면서 그해 11월에 폐선 일부 구간을 표준궤로 새로 부설한 동양화학선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동양제철화학 인천 소다회 공장까지 인천항에서 들어오는 수입 원료 및 공장에서 반출된 화공약품을 수송하는 역할[4]을 하다가 공장이 2004년부터 소다회 생산을 중지하면서 쓸모가 없어진 동양화학선은 2005년에 운행이 중단되었다. 그리고 5년 동안 방치되어 있다가 2010년부터 수도권 전철 수인선 공사 및 용현동과 학익동에서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노선이 철거되어가기 시작하고 2012년에 철거가 완료되었다.
  • 주안역과 연결된 주인선 구간이 1992년 폐선된 뒤 인천역과 이어진 나머지 구간은 축항선으로 개명돼 석탄부두선과 제3부두선의 화물들을 실어날랐다. 그러나 부두에서 인천역으로 바로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스위치백 운행을 해야 했고,[5] 그 끝에 남부역이 있었다. 그래서 신호장 겸 입환작업 장소로 유지되고 있었다.
  • 2012년 12월 13일, 스위치백 구간을 대체할 삼각선이 개통되고 축항조차장역이 입환작업을 전담함에 따라 사용중지된다.
  • 2016년 수인선 부활에 따라 지상에는 화물, 지하에는 지하철 역으로 하려 했으나, 민원으로 지상의 역사와 선로는 철거된 채 지하철 부분만 남게 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숭의역이 된다.

3. 둘러보기

축항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석탄부두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주인선의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그러다보니 별개의 역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코레일 전산상에도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 [2] 2006년 12월까지 의정부북부역이 이와 같은 케이스로, 공식적으로 의정부북부역은 드넓은 의정부역의 북부역사 취급이었다. 2006년 12월에 소요산 - 의정부 구간이 수도권 전철 1호선시 들어가면서 아예 분리된 것. [3] http://cafe.daum.net/kicha/ANj/39446 [4]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 당시 원인이 된 화약의 원료가 동양화학에서 생산되어 한국화약으로 반출되었다. [5] 자세한 건 축항선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