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06:31:41

일석이조

꿩 먹고 알 먹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희왕의 카드 종류에 대한 내용은 일석이조(유희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자성어
한 일 돌 석 두 이 새 조
언어별 독음
중국어 yì shí èr niǎo
일본어 いっせきにちょう

1. 개요2. 관련 어휘3. 여담

1. 개요

글자 그대로 한 개의 을 사용하여 두 마리의 를 잡는다는 말로,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득을 얻는 것을 뜻한다.

2. 관련 어휘

원래 killing two birds with one stone이란 영미 속담이 일본 메이지 시대 때 들어와 일본에서 一石二鳥로 직역한 것이다.

비슷한 성어로 일거양득(一擧兩得)[1], 일전쌍조(一箭雙鵰)[2]가 있다. 일석이조가 쓰이기 전까지 동양 3국 다 이 표현을 썼다. 일거양득을 제외한 성어들의 공격적인 이미지 때문인지는 몰라도, 방송에서는 주로 일거양득을 쓴다.

우리나라 속담 중에도 '꿩 먹고 알 먹고 둥지 털어 불 때고', '도랑 치고 가재 잡고 발 담그고 물구경 하고', '마당 쓸고 동전 줍고', '님도 보고 뽕도 따고', '배 먹고 이 닦고' 등이 비슷한 의미를 지녔다.

고스톱 용어로 일타쌍피도 완전히 같은 의미다.

3. 여담

현대중국어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지만 중국고사에서 유래한 성어는 아니고 대표적인 외래성어중 하나이다. 일석이조만큼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같은 의미의 일전쌍조(一箭双雕)도 사용된다.

기초급 한자들로만 구성된데다 뜻도 간단하고 관련 고사도 딱히 없어서 아이들이 제일 처음 배우는 사자성어 1순위이다.

돌 하나로 잡는 새의 수에 따라 바리에이션으로 일석삼조(一石三鳥), 일석사조(一石四鳥) 등 일석n조(一石n鳥) 시리즈가 있는데, 二를 반드시 '둘'로만 볼 근거는 없는 데다[3] 실제로 이런 말들은 없으므로 쓰지 않는 편이 좋다.[4] 다만 영어 원문에서는 가끔 쓰인다.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라고 도 표현한다.

영어 속담이 동아시아에 들어온 것이긴 한데, 헤이! 츄라이! 츄라이!가 등장한 만화 식객의 집단 가출 편에서 'One stone kills two birds"라는 번역으로 외국인들에게 알려주는 장면이 나온다.

따개비 한문숙어에서는 이게 많이 등장하는데, 쪼달 선생이 참새를 돌 하나로 잡은 뒤, 따개비가 죽은 새들을 묻어주어 "일석무조가 되었네."가 되거나 다치고 기절한 새들을 치료하면서 "일석삼조구나!"라고 즐거워하는 장면이 많다.


[1] 한 번 벌인 일에 두 가지 이득 [2] 화살 하나에 독수리 두 마리 [3] 일석이조(一石二鳥)의 문맥을 보면 二는 '둘'(two)이 아닌 '여럿'(multiple)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천년(千年)이 정확히 1,000년이 아닌 오랜 시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는 점과도 일맥상통한다. 의학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난 오늘날에도 100살을 채우고 죽는 사람이 드문데 1,000년이라 함은 그것을 아득히 넘는 세월이니 매우 오랜 시간을 비유적으로 이르기에 충분하다. [4] 호부견자라는 성어를 보고 '호부견녀'라든가 '호모견녀' 등의 말을 만들어내는 것이 유사한 사례인데, 여기에서 '부'는 '부모', '자'는 '자녀'를 가리키므로 적절하지 않은 것과 같은 이치다.

분류